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569

 

5) 이원론-당혹감?

 

5) 이원론-편집성(偏執性)?

 

독일어 원문: 9.7.5 Dualismus-Befangenheit?

 

번역을 바로잡았다.

 

Befangenheit = 편견에 사로잡힘, 편파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루터의 칭의와 경건의 관점에서 본다면, 무엇보다도 성자의 살인자로 등장하는 것은 유대인들이 아니라, [...].(568)

 

루터의 칭의와 경건의 관점에서 본다면, 무엇보다도 성자(聖子) 살인자로 등장하는 것은 유대인들이 아니라, [...].

 

독일어 원문: Vom Ansatz der lutherischen Rechtfertigungsfrömmigkeit her waren es auch nicht die Juden, die in erster Linie als Mörder des Gottessohnes zu stehen kamen, [...].

 

한자를 병기했다.

 

Gottessohn = 하나님의 아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게르하르트 뮐러는 국가의 유대인 정책에 대한 루터의 제안은 루터가 유대교 신앙을 확신을 가지고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 기초하고 있다.”고 본다. 이것은 바르게 관찰한 듯하다. 그러나 오늘날 관점에서는 왜 루터가 다른 사람의 확신을 그토록 미미하고 가볍게 수용했는지에 대한 질문이 생긴다.(567)

 

게르하르트 뮐러는 국가의 유대인 정책에 대한 루터의 제안은 루터가 유대교 신앙을 확신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 기초하고 있다.”고 본다. 이것은 바르게 관찰한 듯하다. 그러나 오늘날 관점에서는 왜 루터가 다른 사람의 확신을 그토록 미미하고 가볍게 수용했는지에 대한 질문이 생긴다.

 

독일어 원문: Gerhard Müller findet Luthers Vorschläge zur staatlichen Judenpolitik »darin begründet, dass der jüdische Glaube von Luther nicht als Überzeugung anerkannt wird«. Dies dürfe richtig beobachtet sein. Doch aus heitiger Sicht stellt sich natürlich die Frage, wieso Luther die Überzeugung eines anderen Menschen so wenig wahr- und ernst nehmen konnte.

 

번역을 바로잡았다.

 

der jüdische Glaube [wird] von Luther nicht als Überzeugung anerkannt

 

= 유대교 신앙은 루터에 의해 확신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게르하르트 뮐러(Gerhard Müller)신앙에서 서로 갈라선다.”고 해석한다.(567)

 

게르하르트 뮐러(Gerhard Müller)신앙에서 서로 갈라선다.”고 해석한다. 갈라선 길에만 머물렀다면 얼마나 좋았겠는가!

 

독일어 원문: »Am Glauben«, so interpretiert Gerhard Müller, »scheiden sich die Wege«. Wenn es nur bei einem Auseinadertreten der Wege geblieben wäre!

 

빠진 문장을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 다른 한편으로 루터의 촉구는 입술의 고백으로 이해할 수 있는 몇몇 공식적인 언급에도 불구하고 관용의 방향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567)

 

[...] 다른 한편으로 루터의 촉구는 입에 발린 말로도 이해할 수 있는 몇몇 공식적인 언급에도 불구하고 비관용 방향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독일어 원문: Zum anderen ist trotz einiger formaler Äaußerungen, die man aber auch als Lippenbekenntnisse verstehen könnte, ein »Drängen« Luthers eher in Richtung Intoleranz zu beobachten.

 

번역을 바로잡았다.

 

Lippenbekenntnis = 입에 발린 말

 

Intoleranz = 비관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