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죽은 자를 부활시키는 하나님의 능력은 십자가에 달리신 분에게서 입증되며, 인간의 무()에서 창조적인 하나님의 능력이 실현된다.(241)

 

죽은 자들 부활시키는 하나님의 능력은 십자가에 달리신 분에게서 입증되며, 인간의 무()에서 창조적인 하나님의 능력이 실현된다.

 

독일어 원문: Am Gekreuzigten erweist sich die Kraft des die Toten auferweckenden Gottes; am Nichts des Menschen verwirklicht sich Gott schöpferisch.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252, 각주 60

 

Vgl. 174, 각주 17.

 

Vgl. 240, 각주 17.


독일어 원문: Vgl. oben 174, Anm. 17!

 

쪽수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변증법의 서두에 놓인 통일성은 전체성을 지나 더 높은 차원의 통일성으로 귀결된다.”(263)

 

변증법의 서두에 놓인 통일성은 상반성을 지나 더 높은 차원의 통일성으로 귀결된다.”

 

 

독일어 원문: »Die zu Beginn der dialektischen Bewegung vorliegende Einheit kehrt über die Gegensätzlichkeit zu einer höheren Einheit zurück.«

 

번역을 바로잡았다.

 

Gegensätzlichkeit = 상반, 대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추측하건대 그들의 성서인용이 루터로 하여금 성서의 말씀을 파악하도록 자극시켰다.(256)

 

추측하건대 그들의 성서인용이 루터로 하여금 발언하도록 자극했다.

 

독일어 원문: Vermutlich war es die Berufung auf die Heilige Schrift, die Luther dazu bewogen hat, überhaupt das Wort zu ergreifen.

 

번역을 바로잡았다.

 

das Wort ergreifen = 발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비판을 즐기는 이러한 태도는 칸트의 의무감과 결합되었던 후기 개신교에서처럼 루터에게 있어서 아직은 그렇게 분명하지 않다.(256)

 

향락 비판적인 이러한 태도는 칸트의 의무감과 결합되었던 후기 개신교에서처럼 루터에게 있어서 아직은 그렇게 분명하지 않다.

 

독일어 원문: Bei Luther selbst ist dies noch nicht so deutlich wie im späteren Protestantismus, in dem sich diese genusskritische Haltung mit Kant’schem Pflichtbewusstsein verbunden hat.

 

번역을 바로잡았다.

 

genusskritisch = 향락 비판적인

 

 

아래, 예문을 볼 것:

 

Frederic Fredersdorf, Wolfgang Heckmann (hrg.), Der T-Faktor: Mäßigungskonzepte in der Sozialen Arbeit, 2010, 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