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152010 파문 위협 교서가 공표되자 비텐베르크 신학 교수[=루터]는 첫 번째 출판 이후, 자신은 면죄에 대한 자신의 초기 글들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는 진술을 통해서 지나간 3년의 시간의 극적인 측면과 역동성을 표현했다. 그는 황금에 탐욕스러운 교황청의 전제주의적 무용성을 아직 통찰하지 못했으며 평신도에게 잔을 금지하는 것에서 드러난 무신성을 아직 분명히 언급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서적 상인들은 시대에 뒤떨어진 그의 이전 저술들을 소각해야 했다.(151-152)

 

파문 위협 교서가 공표된 후, 152010월의 첫 출판물에서 비텐베르크 신학 교수[=루터] 면죄에 대한 자신의 초기 글들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는 진술을 통해서 지나간 3년의 시간의 극적인 측면과 역동성을 표현했다. 즉 자신은 황금에 탐욕스러운 교황청의 전제주의적 무용성을 그 당시 아직 통찰하지 못했으며 평신도에게 잔을 금지하는 것에서 드러난 무신성과 같은 다른 점들을 아직 분명히 언급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적 상인들은 시대에 뒤떨어진 그의 이전 저술들을 소각해야 했다.

 

독일어 원문: In seiner ersten Veröffentlichung nach der Pullikation der Bannandrohungsbulle, im Oktober 1520, brachte der Wittenberger Theologieprofessor die Dramatik und Dynamik der vergangenen drei Jahre darin zum Ausdruck, daß er seine früheren Schriften über den Ablaß bedauerte; er habe die tyrannische Nichtsnutzigkeit des geldgierigen Papsttums damals noch nicht durchschaut, aber auch andere Punkte wie die Gottlosigkeit, die im Verbot des Laienkelchs bestehe, noch nicht deutlich genug beim Namen genannt. Die Buchhändler sollten deshalb seine früheren Schriften, die überholt seien, verbrennen.

 

In seiner ersten Veröffentlichung nach der Pullikation der Bannandrohungsbulle, im Oktober 1520,

 

= 파문 위협 교서가 공표된 후, 152010월 그의 첫 출판물에서

 

 

쉼표의 사용에 주의할 것.

 

쉼표가 있을 때:

 

In seiner ersten Veröffentlichung nach der Pullikation der Bannandrohungsbulle, im Oktober 1520,

 

= 파문 위협 교서가 공표된 후, 152010월 그의 첫 출판물에서

 

쉼표가 없을 때:

 

In seiner ersten Veröffentlichung nach der Pullikation der Bannandrohungsbulle im Oktober 1520

 

= 152010월 파문 위협 교서가 공표된 후 그의 첫 출판물에서

 

 

파문 위협 교서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258쪽을 볼 것:

 

초고작성 = 1520. 5월 초

 

집필완료 = 1520. 6. 15.

 

공표게시 = 1520. 7. 24.

 

 

루터의 152010월 첫 출판물

 

= 교회의 바빌론 포로에 관하여

 

164쪽을 볼 것.

 

 

아울러, 빠진 부분을 보완했고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항변을 야기한 마그데부르크 대주교구에서의 베드로 면죄부 판매에 대해 책임이 있었던 마인츠의 대주교 알브레히트에게 루터가 논제와 함께 보낸 서신은 교회 제후가 마인츠 대학으로 하여금 신학적 평가를 내리도록 했고 대학이 소견을 개진하기 전에 로마에서 이 사안에 대한 조사아마도 이단 혐의 때문이 아니라 다만 면죄부 팜매의 방해 요소를 제거하는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를 개시하게 만들었다.(151)

 

항변을 야기한 마그데부르크 대주교구에서의 베드로 면죄부 판매에 대해 책임이 있었던 마인츠의 대주교 알브레히트에게 루터가 논제와 함께 보낸 서신은 이 알브레히트 대주교 마인츠 대학으로 하여금 신학적 평가를 내리도록 했고 대학이 소견을 개진하기 전에 로마에서 이 사안에 대한 조사아마도 이단 혐의 때문이 아니라 다만 면죄부 팜매의 방해 요소를 제거하는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를 개시하게 만들었다.

 

독일어 원문: Luthers mit den Thesen übersandter Brief an Erzbischof Albrecht von Mainz, der für den in der Erzdiözese Magdeburg vertriebenen Petersablaß, der den Widerspruch hervorrief, verantwortlich war, führte dazu, daß der Kichenfürst eine theologische Begutachtung durch die Unversität Mainz veranlaßte und noch vor der Vorlage ihres Votums eine Untersuchung der Angelegenheit vielleicht nicht wegen des Verdachts der Häresie, sondern lediglich zur Erwirkung von Maßnahmen, die die Störung des Ablaßhandels beseitigen sollten in Rom einleitete.

 

Kichenfürst = 고위 성직자(주교, 대주교, 추기경 따위)

 

여기서는 = 마인츠의 대주교 알브레히트(Erzbischof Albrecht von Mainz)

 

동어반복을 피하려고 ‘der Kichenfürst’를 쓴 것.

 

오독(誤讀):

 

낱말을 분해하고 유추해서 뜻을 조합했다.

 

Kichenfürst > Kichen + Fürst > ‘교회 제후

 

 

마인츠 대주교 알브레히트의 마인츠 대학교 요청은 다음 책, 78쪽을 참고할 것:

 

Bischof Albrecht von Mainz übergab die Thesen den Juristen und Theologen der Mainzer Universität zur Prüfung.

Udo Kern, Dialektik der Vernunft bei Martin Luther, Berlin: LIT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루터가 1512년 봄까지 자신의 신학적 관심을, 막시밀리안 통치기에 강력한 추진력을 얻은 반()로마적 사고 및 정서와 결부시키고 교황에 대한 비판을 자신의 성서적 은총신학의 필연적 결론으로 제시하는 데 성공했을 때, 그가 주도하는 듯 보이고 정치적으로 책임 있는 자들이 공적 질서의 요소로서 고려해야 할 하나의 운동이 생겨났다.(150)

 

루터가 1512년 봄까지 자신의 신학적 관심을, 막시밀리안 통치기에 강력한 추진력을 얻은 반()로마적 사고 및 정서와 결부시키고 교황에 대한 비판을 자신의 성서적 은총신학의 필연적 결론으로 제시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에 그를 견지하는, 그가 주도하는 듯 보이고 정치적으로 책임 있는 자들이 공적 질서의 요소로서 고려해야 할 하나의 운동이 생겨났다.

 

독일어 원문: Da es Luther bis zum Frühjahr 1521 gelungen war, seine theologischen Anliegen mit den antirömischen Gesinnungen und Stimmungen, die in der Regierungszeit Maximilians einen kräftigen Auftrieb genommen hatten, zu verbinden, ja die Kritik am Papst als notwendige Konsequenz seiner biblischen Gnadentheologie zu präsentieren, war eine Bewegung entstanden, die ihn trug, die er anzuführen schien und die als Faktor der öffentlichen Ordnung ins Kalkül der politisch Verantwortlichen zu ziehen war.

 

Da es Luther [...] gelungen war

 

= 루터가 성공했기 때문에

 

da 뒤에 오는 동사 위치에 주의할 것:

 

da [...] +동사 = [...] 때문에

 

da +동사 [...] = [...] 할 때

 

아울러, 빠진 곳을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독일 정치에 개입할 권한이 상대적으로 작은 점과 제국 출신이거나 그와 가까운 로마 교황청의 고위 성직자들이 거의 참석하지 않는 점은 로마에서 게르만 야만인들 가운데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었다.(150)

 

독일 정치에 개입할 권한이 상대적으로 작은 점과 제국 출신이거나 그와 가까운 고위 성직자들이 로마 교황청에 거의 없다는 점은 로마에서 게르만 야만인들 가운데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독일어 원문: Das relativ bescheidene Maß an deutschlandpolitischer Kompetenz und die geringe Präsenz aus dem Reich stammender oder mit ihm vertrauter Prälaten an der römischen Kurie mögen dazu beugetragen haben, daß man sich in Rom recht schwertat, das zu begreifen, was unter den germanischen Barbaren vor sich ging; [...]

 

die geringe Präsenz (+A) an der römischen Kurie

 

= 교황청에 (A) 미미한 현존

 

(+A) = aus dem Reich stammender oder mit ihm vertrauter Prälaten

 

= 제국 출신이거나 그와 가까운 고위 성직자들의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로마 교황 특사 알레안더의 편지:

 

지금 전 독일은 반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10명 가운데 9명은 루터!’라고 구호를 외치며, 나머지 1명은 루터와 상관이 없다면, 적어도 구호는 로마 궁전에 죽음을!’입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깃발에, 독일에서 공의회가 개최되기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런 요구는 차라리 우리를 위해서, 혹은 정확히 말해서 그 자체를 위해서 받아들여져야 할 것입니다.”(150)

 

지금 전 독일은 반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10명 가운데 9명은 루터!’라고 구호를 외치며, 나머지 1명은 루터와 상관이 없다면, 적어도 구호는 로마 궁전에 죽음을!’입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표방하는 바, 독일에서 공의회가 개최되기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런 요구는 차라리 우리를 위해서, 혹은 정확히 말해서 그 자체를 위해서 받아들여져야 할 것입니다.”

 

독일어 원문: »Jetzt aber ist ganz Deutschland in hellem Aufruhr; neun Zehnteile erheben das Feldgeschrei: Luther!und für das übrige Zehntel, falls ihm Luther gleichgültig ist, lautet die Losung wenigstens: Tod dem römischen Hofe!Alle aber haben die Forderung eines Konzils auf ihre Fahnen geschrieben, welches in Deutschland abgehalten werden soll, auch die, welche mehr für uns, oder richtiger für sich selbst thun sollten«.

 

A auf seine Fahne schreiben

 

= A를 목표로 설정하다, A를 표방하다

 

숙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