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슈바벤 농민들의12개 조항:

 

그러므로 이 글은 도시 평신도와 종교개혁과 신학자, 그리고 농민 간의 긴밀한 접촉에 의해 탄생한 것이다. 농민 종교개혁의 이 중대한 강령 문서의 대량 유포(24쇄가 출판되었고 이로써 종교개혁기에 가장 많이 인쇄된 문서에 속한다)는 여러 곳의 농민들의 요구가 균등해지고 농민전쟁이라는 전체 사건이 발생하는 데 본질적으로 기여했다. 또한 개혁이라는 의미에서의 종교적 표상과 사회적 요구의 결합이12개 조항의 성공을 가능하게 만들었다.(494)

 

그러므로 이 글은 도시 평신도와 종교개혁과 신학자, 그리고 농민 간의 긴밀한 접촉에 의해 탄생한 것이다. 농민 종교개혁의 이 중대한 강령 문서의 대량 유포(24쇄가 출판되었고 이로써 종교개혁기에 가장 많이 인쇄된 문서에 속한다)는 여러 곳의 농민들의 요구가 균등해지고 농민전쟁이라는 전체 사건이 발생하는 데 본질적으로 기여했다. 또한 종교개혁이라는 의미에서의 종교적 표상과 사회적 요구의 결합이12개 조항의 성공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독일어 원문: [...] Die massenhafte Verbreitung dieses wichtigsten Programmtextes der bäuerlichen Reformation, [...], trug wesentlich dazu bei, daß sich die Forderungen der Bauern vielerorts anglichen und ein Gesamtereignis Bauernkriegentstand. Auch die Verbindung religiöser Vorstellungen im Sinne der Reformation und sozialer Forderungen dürfte den Erfolg der Zwölf Artikel ermöglicht haben.

 

Reformation = 종교개혁

 

개혁 = Refor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봉기한 농민들의 표준적인 강령문, 이른바 슈바벤 농민들의 12개 조항오늘까지 가장 합리적인 저자 가설에 의하면15252월에 메밍겐의 모피 가공 도제이자 토지 관리인인 제바스티안 로처(Sebastian Lotzer)가 초안을 작성했고 샤펠러가 서문을 붙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494)

 

봉기한 농민들의 표준적인 강령문, 이른바 슈바벤 농민들의 12개 조항오늘까지 가장 합리적인 저자 가설에 의하면15252월에 메밍겐의 모피 가공 장인이자 농민군 서기(書記) 제바스티안 로처(Sebastian Lotzer)가 초안을 작성했고 샤펠러가 서문을 붙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일어 원문: Die maßgebliche Programmschrift der aufständischen Bauern, die sogenannten Zwölf Artikel der schwäbischen Bauernschaften, wurde so die bis heute plausibelste Verfasserhypothese im Februar 1525 von dem Memminger Kürschnergesellen und Feldschreiber Sebastian Lotzer formuliert und von Schappeler mit einem Vorwort versehen.

 

Kürschnergeselle = 모피 가공 장인(匠人)

 

Feldschreiber = Regimentschreiber = 야전군(野戰軍) 서기

 

참고로, 제바스티안 로처(Sebastian Lotzer)1524-1525년의 농민전쟁 때 발트링 농민부대(Baltringer Bauernhaufen)의 서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누락

 

복음의 깃발 아래서 또한 초기 자본주의의 경제적 근대화 과정에 속한 것들 가운데 여러 가지 요소들이 모였다. 몇몇 지역에서는 도시 봉기와 산악 지대 광부들의 폭동과 농민전쟁사이에 협조가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다양한 충돌의 징후라고 표현할 수 있다.(493)

 

복음의 깃발 아래 또한 초기 자본주의의 경제적 근대화 과정의 희생자와 패배자에 속한 자들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모였다. 몇몇 지역에서는 도시 봉기와 광산 지대 광부들의 폭동과 농민전쟁사이에 상호작용이 생겼는데, 농민전쟁 다양한 갈등의 증후군이라 표현할 수 있다.

 

독일어 원문: Unter dem Panier des Evangeliums sammelten sich auch manche derer, die zu den Opfern und Verlierern der frühkapitalistischen ökonomischen Modernisierungsprozesse gehörten. In einigen Regionen kam es zu einem Zusammenspiel zwischen städtischen Aufstandsbewegungen, Revolten der Bergknappen in den Montanregionen und dem Bauernkrieg, der als Syndrom unterschiedlicher Konflikte zu beschreiben ist.

 

manche derer, die zu A gehörten

 

= A에 속했던 자들의 많은 사람들이

    

der[=der Bauernkrieg] als A zu beschreiben ist

 

= ‘농민전쟁A라 기술할 수 있다

 

빠진 곳을 보완하고,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외르크 폰 루카스 크라나흐가 1522년에 루터를 융커(Junker) 시각적으로 연출함으로써 귀족들의 마음을 본격적으로 사로잡으려고 했다면, 농민의 경우 카르스트한스라는 인물[...], 두 명의 스위스 농민의신의 맷돌[...], 그리고 다른 많은 텍스트를 통해서 농민과 종교개혁 사이의 정신적 다리를 놓았던 것은 차라리 종교개혁적 사고를 지닌 남독일의 인문주의자들이었다.(492)

 

루터1522년 융커 외르크의 복장으로 루카스 크라나흐에 의해서 시각적으로 연출된 귀족들의 마음을 본격적으로 사로잡으려고 했다면, 농민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오히려 종교개혁적 사고를 지닌 남독일의 인문주의자들이었다. 이 인문주의자들은 카르스트한스라는 인물[...], 두 명의 스위스 농민의신의 맷돌[...], 그리고 다른 많은 텍스트를 통해서 농민과 종교개혁 사이의 정신적 다리를 놓았다.

    

독일어 원문: Hatte Luther, 1522 im Habit des Junkers Jörg von Lucas Cranach visuell inszeniert, um den Adel regelrecht geworben, so waren es im Falle der Bauern eher reformationsgesinnte oberdeutsche Humanisten, die [...] mentale Brücken zwischen Bauerntum und Reformation gebaut hatten.

 

주문장:

 

Hatte Luther, [A], um den Adel regelrecht geworben

 

= 루터가 귀족들의 마음을 본격적으로 사로잡으려고 했다면

 

분사구문:

 

A = 1522 im Habit des Junkers Jörgvon Lucas Cranach visuell inszeniert

 

= 1522년 융커 외르크의 복장으로 루카스 크라나흐에 의해서 시각적으로 연출된

 

융커 외르크 = 1521-1522, 바르트부르크 성()에 은둔했을 당시 루터의 가명

 

루카스 크라나흐 = ‘융커 외르크의 루터 초상화를 그린 화가

 

아래 그림을 볼 것:

 

 

 

루카스 크라나흐, 15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마스 카우프만, 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1522년 여름에 지킹겐의 주도 아래 남부 라인 지역 기사들의 형제 동맹이 형성되었는바, 이것은 그것에 비견될 만한 프랑켄 귀족 연합과 연결되어 있었다.(490)

 

1522년 여름에 지킹겐의 주도 아래 라인강 상류 지역 기사들의 형제 동맹이 형성되었는바, 이것은 그것에 비견될 만한 프랑켄 귀족 연합과 연결되어 있었다.

 

독일어 원문: Im Sommer 1522 formierte sich unter Sickingens Führung eine »brüderliche Vereinigung« der oberrheinischen Ritterschaft, die mit einer vergleichbaren fränkischen Adelseinigung in Verbindung stand.

 

oberrheinisch = ‘라인강 상류의

 

oberdeutsch남독일의와 구분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