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벤야민,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심철민 옮김, 도서출판 b, 2017(4).

 

심철민 선생님께

 

1

밀란 쿤데라가 장탄식을 한 적이 있습니다. 프란츠 카프카의 독일어 원문과 프랑스어 번역본을 비교하면서였습니다.

 

카프카가 쓴 모두 같은한 단어를 비슷한 뜻의 다른, 여러 단어로 죄다 바꾸어 놓았기 때문입니다.

 

쿤데라가 보기에, 카프카는 의도적으로 동일한 단어를 반복하고 있는데 말입니다.

 

 

2

Die zunehmende Proletarisierung der heutigen Menschen und die zunehmende Formierung von Massen sind zwei Seiten eines und desselben Geschehens.

 

 

3

벤야민이 의도적으로 ‘zunehmend’를 반복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무언가 동일성의 운율이 흐르는 것 같지 않은가요!

 

 

4

96, 해당 번역:

 

현대인의 급증하는 프로레타리아화와 대중의 광범한 형성은 동일한 사태의 두 측면이다.

 

 

5

현대인의 점진적인 프롤레타리아트와 대중의 점진적인 형성은 동일한 사건의 양면이다.

 

오늘날 사람들의 점진적인 무산계급화와 대중의 점진적인 형성은 동일한 사건의 양면이다.

 

오늘날 인간의 점진적인 프롤레타리아와 대중이란 표현이 늘어난 것은 한 사건의 양면이다.

 

 

6

쿤데라라면, ‘점진적인/점진적인이 반복되는 번역을 선호했을 것입니다.

 

 

7

선생님의 음악성있는 번역을 고대하겠습니다.

 

 

8

참고로, 위 인용 번역의 옮긴이는 순서대로 반성완, 최성만, 차봉희입니다.

 

 

박진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발터 벤야민,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심철민 옮김, 도서출판 b, 2017(4).

 

심철민 선생님께

 

1

오늘은, 번역어에 관한 질문을 드립니다.

 

 

2

68, 번역입니다:

 

영화촬영, 특히 유성영화의 촬영은 [...] [새로운] 현상을 제공한다.”(부분삭제 인용)

 

 

3

해당 독일어 원문:

 

Eine Film und besonders eine Tonfilmaufnahme bietet einen Anblick, [...].

 

 

4

제 질문은 이것입니다:

 

Anblick현상으로 옮기셨는데, 무슨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인지요?

 

 

5

일반적으로 Anblick바라봄’, ‘광경’, ‘모습으로 번역됩니다.

 

 

6

선생님께서도 92쪽에서 이런 뜻으로 번역하셨습니다:

 

“[...] 즉 그는, 마치 완성된 자기 작품을 보다가 그 속으로 들어갔다는 전설상의 중국의 한 화가처럼 [...]”(부분삭제 인용)

 

독일어 원문: [...] er geht in dieses Werk ein, wie die Legende es von einem chinesischen Maler beim Anblick seines vollendeten Bildes erzählt.

 

 

7

현상을, 굳이 독일어로 거꾸로 번역하자면 Erscheinung에 해당됩니다.

 

 

8

AnblickErscheinung은 차이가 많이 나는 낱말이라고 생각합니다. 간단히 주체와 객체로 설명하자면,  ‘바라보는 주체가 강조되는 것이 Anblick이라면, Erscheinung은  ‘나타나는객체에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

 

 

9

선생님의 고견(高見)이 궁금합니다.

 

 

박진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데미안의 독심술’.

 

“[...] 신호와 시선으로 그는, 나로 하여금 그가 나름으로 열중하는 일들에 관심을 갖게 할 줄 알았다. [...]

예를 들면 그는 내게, 학생들 중 누가 자기한테 관심이 있는지, 어떤 식으로 자기가 그들을 연구하고 있는지를 말해 주었다. 어떤 애들은 그가 아주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 성경 구절의 독송이 시작되기 전에 그가 말했다. <내가 너에게 엄지손가락으로 신호를 해보이면, 그러면 저애가 우리들 쪽을 돌아보거나 목덜미를 긁을 거야.> 등등. 그러다 수업 중에, [...]”(73, 문장부호 수정 및 부분삭제 인용)

 

“[...] 신호와 시선으로 그는, 나로 하여금 그가 나름으로 열중하는 일들에 관심을 갖게 할 줄 알았다. [...]

예를 들면 그는 내게, 학생들 중 누구에게 관심이 있는지, 어떤 식으로 자기가 그들을 연구하고 있는지를 말해 주었다. 어떤 애들은 그가 아주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 수업시작되기 전에 그가 말했다. <내가 너에게 엄지손가락으로 신호를 해보이면, 그러면 저애가 우리들 쪽을 돌아보거나 목덜미를 긁을 거야 등등.> 그러다 수업 중에, [...]”

 

독일어 원문: [...] mit Zeichen und Blicken [...], verstand er es, mich an seinen eigenen Beschäftigungen teilnehmen zu lassen. [...]

Er sagte mir zum Beispiel, welche von den Schülern ihn interessierten, und auf welche Weise er sie studiere. Manche kannte er sehr genau. Er sagte mir vor der Lektion: »Wenn ich dir ein Zeichen mit dem Daumen mache, dann wird der und der sich nach uns umsehen, oder sich am Nacken kratzen usw.« Während der Stunde dann, [...]

 

Lektion = 수업

 

성경 구절의 독송은 학교의 수업이 아닌 교회에서 예배나 미사 시간에 행해진다. 정확한 용어는 성경 봉독(奉讀)과 독서(讀書).

 

학생들 중 누가 자기한테 관심이 있는지”:

 

관심의 객체와 주체가 모호하다.

 

원문의 뜻: 주체 = 데미안, 객체 = 학생들.

 

뜻이 분명하게 바로잡았다.

 

아울러, “등등usw.도 원문에 따라 수정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싱클레어와 데미안의 합반(合班).

 

어느 날 학교에서 간혹 그러듯, 무슨 이유에선가 매우 넓은 우리 교실에 또 한 반이 들어와 앉는 일이 있었다. 그것은 데미안네 반이었다. 우리 어린 학생들은 성경 이야기 시간이었고, 큰 학생들은 작문을 해야 했다. 우리들이 카인과 아벨의 역사배우는 동안, 나는 독특하게 나를 매료시키는 데미안의 얼굴을 자주 건너다보았다.”(37)

 

어느 날 학교에서 간혹 그러듯, 무슨 이유에선가 매우 넓은 우리 교실에 또 한 반이 들어와 앉는 일이 있었다. 그것은 데미안네 반이었다. 우리 어린 학생들은 성경 이야기 시간이었고, 큰 학생들은 작문을 해야 했다. 우리들이 카인과 아벨의 이야기주입 받는 동안, 나는 독특하게 나를 매료시키는 데미안의 얼굴을 자주 건너다보았다.”

 

독일어 원문: Eines Tages traf es sich, wie es in unsrer Schule hie und da vorkam, daß aus irgendwelchen Gründen noch eine zweite Klasse in unser sehr großes Schulzimmer gesetzt wurde. Es war die Klasse Demians. Wir Kleinen hatten biblische Geschichte, die Großen mußten einen Aufsatz machen. Während man uns die Geschichte von Kain und Abel einbleute, sah ich viel zu Demian hinüber, dessen Gesicht mich eigentümlich faszinierte [...]

 

einbleuen = ‘(끊임없이 되풀이하여 억지로) 주입하다’.

 

당시 수업 상황과 싱클레어의 반감을 엿볼 수 있는 열쇳말.

 

Geschichte = 이 문맥에서는 이야기’.

 

이야기번역은 다음을 볼 것: 39, 41-44, 56, 71쪽 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누락(22)

 

데미안의 카인 이야기, 싱클레어의 혼란, 유사 감정의 회상.

 

그렇다. 그때 마음속에서 기억 하나가 번쩍 떠올라, 한순간 거의 숨을 쉴 수 없었다. 비참한 이 상황이 시작되었던 저 고약한 저녁, 그때 나는 한순간 아버지와 아버지의 밝은 세계 그리고 지혜를 꿰뚫어본 듯 경멸했다!”(43)

 

그렇다. 그때 마음속에서 기억 하나가 번쩍 떠올라, 한순간 거의 숨을 쉴 수 없었다. 비참한 이 상황이 시작되었던 저 고약한 저녁, 그때 아버지와 함께 있었는데, 그때 나는 한순간 아버지와 아버지의 밝은 세계 그리고 지혜를 꿰뚫어본 듯 경멸했다!”

 

독일어 원문: Ja, und jetzt blitzte eine Erinnerung in mir herauf, die mir für einen Augenblick fast den Atem nahm. An jenem üblen Abend, wo mein jetziges Elend angefangen hatte, da war das mit meinem Vater gewesen, da hatte ich, einen Augenblick lang, ihn und seine lichte Welt und Weisheit auf einmal wie durchschaut und verachtet!

 

빠진 부분을 보완했다.

 

유사 감정26쪽을 볼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