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싱클레어, 피스토리우스.

 

그의 직분은 어쩌면, 나에게 해주었듯이, 인간이 그 자신에게로 이르도록 돕는 일일 것이다. 그들에게 들어보지 못한 전대미문의 것, 새로운 신들을 제시하는 것, 그것은 그의 직분이 아니었다.

그리고 여기서 갑자기 예리한 불꽃같은 인식이 나를 불태웠다. 누구에게나 하나의 <직분>이 있지만, 그것은 그 누구도 자의로 택하고 고쳐 쓰고 그리고 마음대로 주재해도 되는 직분은 아니라는 것. [...] 각성된 인간에게는 한 가지 의무 이외에는 아무런, 아무런, 아무런 의무도 없었다. 자기 자신을 찾고, 자신 속에서 확고해지는 것, 자기 자신의 길을 앞으로 더듬어 나가는 것, 어디로 가든 마찬가지였다. 그 생각이 내 마음을 깊이 뒤흔들었다.”(171쪽, 부분삭제 인용)

 

그의 직분은 어쩌면, 나에게 해주었듯이, 인간이 그 자신에게로 이르도록 돕는 일일 것이다. 그들에게 들어보지 못한 전대미문의 것, 새로운 신들을 제시하는 것, 그것은 그의 직분이 아니었다.

그리고 여기서 갑자기 예리한 불꽃같은 인식이 나를 불태웠다. 누구에게나 하나의 <직분>이 있지만, 그것은 그 누구도 자의로 택하고 규정하고 그리고 마음대로 주재해도 되는 직분은 아니라는 것. [...] 각성된 인간에게는 한 가지 의무 이외에는 아무런, 아무런, 아무런 의무도 없었다. 자기 자신을 찾고, 자신 속에서 확고해지는 것, 자기 자신의 길을 앞으로 더듬어 나가는 것, 어디로 가든 마찬가지였다. 그 생각이 내 마음을 깊이 뒤흔들었다.”

 

독일어 원문: Sein Amt war vielleicht, Menschen zu sich selbst führen zu helfen, wie er es mit mir getan hatte. Ihnen das Unerhörte zu geben, die neuen Götter, war sein Amt nicht.

Und hier brannte mich plötzlich wie eine scharfe Flamme die Erkenntnis: —es gab für jeden ein »Amt«, aber für keinen eines, das er selber wählen, umschreiben und beliebig verwalten durfte. [...] Es gab keine, keine, keine Pflicht für erwachte Menschen als die eine: sich selber zu suchen, in sich fest zu werden, den eigenen Weg vorwärts zu tasten, einerlei wohin er führte. Das erschütterte mich tief, [...]

 

umschreiben = ‘규정하다’, ‘해석하다’.

 

여기서는 비분리 동사로 쓰였다.

 

고쳐 쓰다는 뜻의 분리 동사로 쓰려면, 목적어가 직분Amt이 아닌 문서Text, Artikel, Aufsatz 가 되어야 한다.(이를 Kollokation이라 한다.)

 

 

번역본 비교

 

누구나 한 가지 직분을 갖고 있지만, 이 직분은 스스로 택하거나 마음대로 규정하고 수행할 수 있는 게 아니다.(김재혁: 178)

 

누구에게나 <직분>이 있지만 그 누구도 자신의 직분을 스스로 선택하고 규정하고 임의로 수행할 수 없다[...](김인순: 174, 부분삭제 인용)

 

누구에게나 직무는 있지만, 누구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선택하고 그 내용을 규정하고, 마음대로 말아도 되는 일은 없다.(박종대: 188)

 

즉 누구에게나 하나의 직분은 있지만, 누구에게도 스스로 선택하고 정의하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직분은 없다는 것이었다.(홍성광: 181)

 

누구에게나 하나의 <직분>이 있지만, 그것은 그 누구도 자의로 택하고 고쳐 쓰고 그리고 마음대로 주재해도 되는 직분은 아니라는 것.(전영애: 171)

 

누구에게나 사명이 있지만, 누구도 그 사명을 스스로 선택하거나, 고쳐 쓰거나, 마음대로 관장할 수 없다는 사실었다.(이영임: 148)

 

각자에게 직분이 주어져 있지만, 그 누구도 자신이 직접 그것을 고르거나 고쳐 쓰거나 멋대로 지배할 수 할 수는 없다는 사실이었다.(안인희: 153)

 

 

보완: 2017. 6. 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사랑할 때와 죽을 때(세계문학전집 246), 장희창 옮김, 민음사, 2010(4).

 

19444월 초, 러시아 전선.

 

독일군 하사 뮈케와 부하들은 라이케 소위의 시신을 발견한다.

 

“<즉시 보고해야겠다. 여기서 대기하도록! 나는 곧 돌아올 테니까.> 뮈케가 말했다.

뮈케는 중대장이 있는 본부로 달려갔다. 그곳은 그나마 유일하게 쓸 만한 건물로, 혁명 이전에는 아마도 교황 소속이었을 것이다. 라에는 넓은 바에 앉아 있었었다. 뮈케는 불이 타오르는 커다란 러시아제 난로를 증오에 찬 눈길로 쳐다보았다. [...] 뮈케가 보고를 마치자 라에는 즉시 시체가 있는 곳으로 달려갔다.”(20)

 

“<즉시 보고해야겠다. 여기서 대기하도록! 나는 곧 돌아올 테니까.> 뮈케가 말했다.

뮈케는 중대장이 있는 본부로 달려갔다. 그곳은 그나마 유일하게 쓸 만한 건물로, 혁명 이전에는 아마도 러시아정교회 신부가 살았을 것이다. 라에는 넓은 바에 앉아 있었었다. 뮈케는 불이 타오르는 커다란 러시아제 난로를 증오에 찬 눈길로 쳐다보았다. [...] 뮈케가 보고를 마치자 라에는 즉시 시체가 있는 곳으로 달려갔다.”

 

독일어 원문: [...] Er ging zu dem Hause hinüber, in dem der Kompanieführer wohnte. Es war das einzige, das noch einigermaßen instand war. Vor der Revolution hatte es wahrscheinlich dem Popen gehört. [...]

 

Pope = (슬라브어권의) 정교회 신부.

 

중대장 라에가 막사로 쓰는 건물은 러시아 혁명 후 몰수된 러시아정교회 신부의 거주지.

 

로마가톨릭 교황은 사전적 의미의 무리한 적용.

 

 

2. 줄리언 반스,시대의 소음, 송은주 옮김, 다산책방, 2017(5).

 

Pope

 

러시아 마을 신부

 

그의 아버지는 이전 전쟁에서 살아남은 생존자였다. 그는 마을 신부의 축복을 받고 고향과 차르를 위해 싸우러 떠났다. 돌아왔을 때는 신부도 차르도 이제 없고 고향도 예전 같지 않았다.”(11)

 

독일어 번역문: Sein Vater hatte den vorigen Krieg überlebt. Der Dorfpope hatte ihn gesegnet, und dann war er in den Kampf für Zar und Vaterland gezogen. Als er zurückkam, gab es keinen Popen und keinen Zaren mehr, und sein Vaterland war nicht mehr dasselbe.

 

영어 원문: His father had been a survivor of the previous war. Blessed by the village priest, he had set off to fight for his homeland and the Tsar. By the time he returned, priest and Tsar were gone, and his homeland was not the same.

 

 

보완: 2017. 6. 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데미안과 싱클레어.

 

그 무렵이었다. 다시 한 번 우리는 활발한 논쟁을 벌였다. 그것은 바로 교리문답 수업 전이었다. 내 친구는 단추라도 채워진 듯, 꽤 노숙하고 점잔빼는 것이었을 내가 늘어놓은 이야기에 아무런 기쁨을 느끼지 않았다.

<우리, 이야기를 너무 많이 한다.>라고 그가 서먹할 만큼 진지하게 말했다.”(88, 문장부호 수정인용)

 

그 무렵이었다. 다시 한 번 우리는 활발한 논쟁을 벌였다. 그것은 바로 교리문답 수업 전이었다. 내 친구는 냉담했고, 꽤 노숙하고 점잔빼는 것이었을 내가 늘어놓은 이야기에 아무런 기쁨을 느끼지 않았다.

<우리, 이야기를 너무 많이 한다.>라고 그가 서먹할 만큼 진지하게 말했다.”

 

독일어 원문: In jenen Tagen war es, daß ich wieder einmal lebhaft mit ihm disputierte; es war gerade vor einer Unterweisungsstunde. Mein Freund war zugeknöpft und hatte keine Freude an meinen Reden, die wohl ziemlich altklug und wichtigtuerisch waren.

»Wir reden zu viel,« sagte er mit ungewohntem Ernst.

 

zugeknöpft = ‘냉담한’, ‘마음을 터놓지 않은’, ‘무뚝뚝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귄터 그라스,암실 이야기, 장희창 옮김, 민음사, 2015.

 

팟과 요르쉬는 가족과 함께 휴가를 떠난다. 프랑스 브르타뉴 해변.

 

해변 모래사장에 남아 있는 전쟁의 흔적. 콘크리트 덩이의 벙커들.

 

마리 아주머니는 벙커를 배경으로 팟과 요르쉬 사진을 찍는다.

 

현상된 사진들을 본 팟과 요르쉬 아버지의 반응.

 

“<이건 너무 심해, 마리!>하고 사진들을 모두 찢어 버리기 전에 아버지는 상당히 격분해서 그렇게 썼다고 .”(73쪽, 문장부호 수정인용)

 

“<이건 너무 심해, 마리!>하고 사진들을 모두 찢어 버리기 전에 아버지는 상당히 격분해서 그렇게 소리쳤다고 .”

 

독일어 원문: [...] soll er ziemlich wütend geschrien haben, [...]

 

착독(錯讀): geschrien / geschrieben

 

geschrien = schreien소리치다의 과거분사

 

geschrieben = schreiben쓰다의 과거분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베른하르트 슐링크,책 읽어주는 남자, 김재혁 옮김, 2014(4).

 

저녁 7. 미하엘 가족의 저녁식사 시간.

 

한나 집에 머물다 미하엘은 식사 시간을 놓친다.

 

아버지의 추궁.

 

나는 길을 잃었었다고 말했다. 에렌프리트호프를 거쳐 몰켄쿠어까지 가는 산책을 계획했는데 아무리 걸어도 아는 곳은 나오지 않았으며 그러다가 마침내 누스로흐에 도착했다고 말했다. <돈이 없어서 누스로흐에서 집까지 뛰어오는 수밖에 없었어요.>

<히치하이크를 할 수도 있었잖아.> [...]

[...]

<저 내일부터 다시 학교에 나갈래요.>

[...]

엄마가 형의 말을 가로막았다. <3주는 더 쉬어야 한다고 의사 선생님이 말씀하셨어.>

<에렌프리트호프를 거쳐 누스로흐까지 갔다가 뛰어서 돌아올 수 있다면, 얘는 학교에도 다시 나갈 수 있어요. 얘한테 부족한 것은 힘이 아니라 이해력이에요.>”(41-42쪽, 문장부호 수정인용)

 

나는 길을 잃었었다고 말했다. 에렌프리트호프를 거쳐 몰켄쿠어까지 가는 산책을 계획했는데 아무리 걸어도 아는 곳은 나오지 않았으며 그러다가 마침내 누스로흐에 도착했다고 말했다. <돈이 없어서 누스로흐에서 집까지 걸어오는 수밖에 없었어요.>

<히치하이크를 할 수도 있었잖아.> [...]

[...]

<저 내일부터 다시 학교에 나갈래요.>

[...]

엄마가 형의 말을 가로막았다. <3주는 더 쉬어야 한다고 의사 선생님이 말씀하셨어.>

<에렌프리트호프를 거쳐 누스로흐까지 갔다가 걸어서 돌아올 수 있다면, 얘는 학교에도 다시 나갈 수 있어요. 얘한테 부족한 것은 힘이 아니라 이해력이에요.>”

 

독일어 원문:

 

Ich hatte kein Geld und mußte von Nußloch nach Hause laufen.

 

Wenn er uber den Ehrenfriedhof nach Nußloch und wieder zurück laufen kann, kann er auch in die Schule gehen.

 

여기서, ‘laufen’뛰다는 뜻이 아니라 걷다는 의미.

 

황달에 걸려, 4개월 째 집에서 요양 중인 미하엘에게 허용된 것은 의무적인 산책. 그것도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27쪽을 볼 것).

 

(부기: 하이델베르크 에렌프리트호프에서 누스로흐까지의 직선거리는 약 7.72km)

 

다음 문장을 참고할 것:

 

그녀는 한 손에는 내 책가방을 들고 다른 손으로는 내 팔을 잡고서 나와 함께 걸어갔다.”(11)

 

독일어 원문: Sie lief neben mir, in der einen Hand meine Schultasche und die andere an meinem Ar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