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게다가 복음서 기자들은 예수를 모세나 엘리야, 더욱이 다윗 왕의 부활(redivivus)로는 묘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약성서의 모티브를 참조하는 것은 거시 문학 장르인 복음서를 설명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292)

 

게다가 복음서 기자들은 예수를 모세나 지상 재귀한 엘리야(Elia redivivus), 더욱이 다윗 왕으로는 묘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약성서의 모티브를 참조하는 것은 거시 문학 장르인 복음서를 설명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

 

독일어 원문: Zudem zeichnen die Evangelisten Jesus weder als Mose bzw. Elia redivivus noch als davidischen König, so dass der Hinweis auf atl. Motive zur Erklärung der Makrogattung Evangelium nicht ausreicht.

 

번역을 바로잡았다.

 

weder als Mose bzw. Elia redivivus noch als davidischen König zeichnen

 

= 모세 및 지상 재귀한 엘리야도 아니고 다윗 왕도 아니라고 칭하다

 

Elia redivivus = 지상 재귀(再歸)한 엘리사

 

= wiedergekehrter Elia

 

아래 글을 참고할 것:

 

Nina Irrgang, „Judentum“ im Markusevangelium und in den Paulusbriefen. Begriffe, Konzepte und Narrationen, in: Paul and Mark: Comparative Essays Part I: Two Authors at the Beginnings of Christianity, 2014, 103-156: 1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이를 입증하고자 그는 무엇보다도 취임(참조. 1:9-11), 기적 전승(엘리야-엘리사 전승), 논쟁 대화에서 율법적이며 실천적인 질문들과 평행되는 것들을 끌어들인다.(292)

 

이를 입증하고자 그는 무엇보다도 취임(참조. 1:9-11), 기적 전승(엘리야-엘리사 전승), 논쟁 대화에서 율법적이며 실천적인 질문들의 해결과 평행되는 것들을 끌어들인다.

 

독일어 원문: Dafür kann er sich vor allem auf die Parallelen bei der Einsetzung (vgl. Mk 1,911), der Wunderberlieferung (Elia-Elisa-Tradition) und der Lösung rechtlicher bzw. praktischer Fragen in den Streitgesprächen berufen.

 

빠진 단어를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모든 대설교가 심판을 향한 전망으로 끝날 뿐만 아니라(참조. 7:327, 10:31-32, 3942, 13:3743, 4750, 18:2335), 다수의 개별 장도(12:337, 3842, 16:27, 19:30) 마찬가지다.(427)

 

모든 대설교가 심판을 향한 전망으로 끝날 뿐만 아니라(참조. 7:1327, 10:31-32, 3942, 13:3743, 4750, 18:2335), 다수의 개별 장도(12:3337, 3842, 16:27, 19:30) 마찬가지다.

 

독일어 원문: [...] nicht nur alle großen Reden schließen mit einem Ausblick auf das Gericht (vgl. Mt 7, 1327; 10,31f.3942; 13, 3743.4750; 18, 2335), sondern auch zahlreiche Einzelkapitel (vgl. Mt 12,3337. 3842; 16, 27; 19, 30).

 

성경 구절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의 신약정경개론
우도 슈넬레 지음,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 대한기독교서회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약정경개론> 수정할 곳:
http://blog.aladin.co.kr/livrebuch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양식과 내용은 하나의 통일성을 형성하며, 그 문학적 구조는 신학의 형태화 의지(Gestaltungswillen)간접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신약성서 각 문서의 신학은 신약성서 전체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38)

 

양식과 내용은 하나의 통일성을 형성하며, 그 문학적 구조는 신학의 형태화 의지(Gestaltungswille)직접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신약성서 각 문서의 신학은 신약성서 전체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독일어 원문: Weil Form und Inhalt eine Einheit bilden, die literarische Struktur unmittelbarer Ausdruck eines theologischen Gestaltungswillens ist, kommt der Theologie einer ntl. Schrift eine entscheidende Bedeutung für ihr Gesamtverständnis zu.

 

표제어와 번역을 바로잡았다.

 

unmittelbar = 직접적인

 

간접적인’ = mittelba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