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개혁이 하이델베르크와 선제후령(Kurpfalz)에서 실현되기까지는 참으로 많은 시간이 걸렸다. 군주는 오랫동안촉진과 금지 그리고 관용을 혼합시킨모호한 종교정책을 실행해왔다. 선제후였던 루드비히 5세는 1520년대와 1530년대에 종교개혁적인 정치를 따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교회개혁에 반대하는 단호한 태도를 취하였다.(224)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개혁이 하이델베르크와 선제후령(Kurpfalz)에서 실현되기까지는 참으로 많은 시간이 걸렸다. 군주는 오랫동안촉진과 금지 그리고 관용을 혼합시킨모호한 종교정책을 실행해왔다. 선제후였던 루트비히 5세는 1520년대와 1530년대에 종교개혁적인 정치를 따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교회개혁에 반대하는 단호한 태도를 취하지도 않았다.

 

독일어 원문: Es dauerte jedoch noch recht lange, bis sich Heidelberg und die Kurpfalz der Reformation anschlossen. Die Religionspolitik der Herrscher war lange Zeit durch eine eigenartige Mischung aus Förderung, Verbot und Toleranz gekennzeichnet. Kurfürst Ludwig. verfolgte in den zwanziger und dreißiger Jahren noch keine reformatorische Politik. Zugleich schritt er aber auch nicht gegen kirchliche Neuerungen ein.

 

nicht gegen A einschreiten

 

= A를 거부하는 태도를 취하지 않다

 

문장을 바로잡았다.

 

• 121쪽을 참고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종교개혁이 시작되자 하이델베르크에서는 풍성한 후속 결과가 나타났다. 루터는 151710월 말 면죄부에 반대하는 95개조 논제를 가지고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논제들은 빠르게 재()인쇄되었으며 1518년부터는 독일어와 라틴어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223)

 

종교개혁이 시작되자 하이델베르크에서는 풍성한 후속 사건나타났다. 루터는 151710월 말 면죄부에 반대하는 95개조 논제를 가지고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논제들은 빠르게 재()인쇄되었으며, 루터는 1518년 초 이 논제들을 독일어와 라틴어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 게 불가피하다고 생각했다.

 

독일어 원문: Gleich zu Beginn der Reformation kam es in Heidelberg zu einem folgenreichen Ereignis. Luther hatte Ende Oktober 1517 mit seinen 95 Thesen gegen die Ablasspraxis eine hitzige Debatte ausgelöst. Die Thesen wurde rasch nachgedruckt, und Luther sah sich gezwungen, sie Anfang 1518 in deutscher und lateischer Sprache eingehender zu erläutern.

 

두 단어의 차이에 주의할 것:

 

Ereignis = 사건

 

Ergebnis = 결과

 

sich gezwungen sehen = 불가피하다고 생각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15275월에 자틀러는 뷔르템베르크의 로텐베르크에서 처형되었다. 그에 대한 기억은 재세례파 운동의 순교자로서 계속 살아남았다.(562)

 

15275월에 자틀러는 뷔르템베르크의 로텐부르크에서 처형되었다. 그에 대한 기억은 재세례파 운동의 순교자로서 계속 살아남았다.

 

독일어 원문: Im Mai 1527 wurde Sattler im würtembergischen Rottenburg hingerichtet. Als Märtyrer der Täuferbewegung lebte die Erinnerung an ihn fort.

 

착독(錯讀):

 

RottenburgRottenberg로 잘못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152715일 펠릭스 만츠를 리마트 호수에 익사시킨 사건과 같은 정부의 잔인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재세례 운동은 궁극적으로 근절될 수 없었고 은밀한 환경 속에서 살아남았다.(561)

 

152715일 펠릭스 만츠를 리마트 강(江) 익사시킨 사건과 같은 정부의 잔인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재세례 운동은 궁극적으로 근절될 수 없었고 은밀한 환경 속에서 살아남았다.

 

독일어 원문: Trotz massiver obrigkeitlicher Repressionsmaßnahmen, etwa der Ertränkung des Felix Mantz in der Limmat (5. 1. 1527), ließ sich das Täufertum nicht definitiv ausrotten, sondern überlebte in Geheimmilieus.

 

in der Limmat = 리마트 강()에서

 

 

 

다음 지도를 참고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로마가톨릭 도시인 그로닝어란트(Groningerland) 전쟁 같은 논쟁을 일삼느라 지나치게 많은 경제적 손실을 입은 오스트프리스란트 백작 영지에 전쟁에서 승리한 칼 판 겔더른(Karl van Geldern, 1467-1538)은 루터 교회의 법을 갱신하여 도입하도록 명령하였다. 그래서 1535년에 루터의 교회법이 도입되었다. 이 법은 뉘른베르크 출신의 두 신학자가 작업한 것이다.(169)

 

로마가톨릭 도시인 흐로닝언 지역(Groningerland) 전쟁 같은 논쟁을 일삼느라 지나치게 많은 경제적 손실을 입은 오스트프리스란트 백작 영지에 전쟁에서 승리한 칼 판 겔더른(Karl van Geldern, 1467-1538)은 루터 교회의 법을 갱신하여 도입하도록 명령하였다. 그래서 1535년에 루터의 교회법이 도입되었다. 이 법은 뤼네부르크 출신의 두 신학자가 작업한 것이다.

 

독일어 원문: Nach einer verlustreichen kriegerischen Auseinandersetzung mit dem katholischen Groningerland wurde der Grabschaft Ostfriesland von dem obsiegenden Karl van Geldern (1467-1538) erneut die Einführung einer lutherischen Kirchenordnung auferlegt. Diese wurde 1535 eingeführt und war das Werk zweier Theologen aus Lüneburg.

 

Groningerland = 흐로닝언(Groningen) 지역 = 네덜란드 북부에 있는 지역

 

Lüneburg = 뤼네부르크 = 독일 니더작센 주(州) 의 도시

 

착독(錯讀):

 

LüneburgNürnberg로 잘못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