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 프리드리히 3세는 팔츠 짐메른 태생으로 통치를 시작할 때 이미 45세였다. 40대 중반부터 루터를 지지하던 그는 낭시, 뤼티히, 브뤼셀의 궁정에서 교육을 받았다.(227)

 

[...] 프리드리히 3세는 팔츠 짐메른 태생으로 통치를 시작할 때 이미 45세였다. 40대 중반부터 루터를 지지하던 그는 낭시, 리에주, 브뤼셀의 궁정에서 교육을 받았다.

 

독일어 원문: [...] Friedrich. entstammte dr Linie Pfalz-Simmern und war beim Antritt der Herrschaft bereits 45 Jahre alt. Er galt seit Mitte der vierziger Jahre als Lutheraner und war an den Höfen von Nancy, Lüttich und Brüsel erzogen worden.

 

Lüttich = Liège = 리에주 = 벨기에 동부에 있는 도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지리적인 인접성뿐만 아니라 오트하인리히의 개인적인 의도 때문에 독일 북부의 종교개혁에 접근이 용이해졌다. 바젤과 취리히처럼 스트라스부르크와 남서부 독일의 다른 도시들은 매우 강한 인문주의적인 염원을 가지고 있었다.(226)

 

지리적인 인접성뿐만 아니라 오트하인리히의 개인적인 의도 때문에 독일 남부 종교개혁에 접근이 용이해졌다. 바젤과 취리히처럼 스트라스부르와 남서부 독일의 다른 도시들은 매우 강한 인문주의적인 염원을 가지고 있었다.

 

독일어 원문: Nicht nur in der regionalen Nähe, sondern auch in persönlichen Intentionen Ottheinrichs lag eine Annährung an die oberdeutsche Reformation begründet. In Straßburg und anderen Städten Südwestdeutschlands war man, ähnlich wie in Basel und Zürich, aufs Stärkste humanistischen Anliegen verpflichtet.

 

15571024일에 반포되고 그해 12월에 다시 반복된 훈령, 즉 형상과 부속제단을 교회에서 제거하라는 훈령은 선제후령이 북부 독일의 종교개혁을 받아들였다는 명백한 증거이다.(226)

 

15571024일에 반포되고 그해 12 14일에 다시 반복된 훈령, 즉 형상과 부속제단을 교회에서 제거하라는 훈령은 선제후령이 남부 독일의 종교개혁을 받아들였다는 명백한 증거이다.

 

독일어 원문: Ausdruck fand die Annährung an die oberdeutsche Reformation in einem am 14. Oktober 1557 ergangenen und am 14. Dezember 1557 wiederhoten Mandat über die Entfernung der Bilder und Nebenaltäre aus den Kirchen.

 

 

oberdeutsch = 남부 독일의

 

독일의 방위와 지형을 구분할 것. 독일 남부는 고지(ober), 북부는 저지(nied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선제후령에서 직접적으로 그의 통치가 시작된 직후인 1566416 오트하인리히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과 성서에 일치하는 교회의 질서와 교리를 추구하는 종교개혁 칙령을 공직자들에게 반포했다. 이것은 잘못된 예배를 중지하고’, 성만찬과 함께 진행되는 교황 미사를 금지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226)

 

선제후령에서 직접적으로 그의 통치가 시작된 직후인 1556416 오트하인리히는 종교개혁 칙령을 내려 공직자들에게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과 성서에 일치하는 교회의 규정과 교리를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것은 잘못된 예배를 중지하고’, 빵만 분배하는 성만찬과 함께 진행되는 교황 미사를 금지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독일어 원문: Unmittelbar nach dem Antritt seiner Herrschaft in der Kurpfalz wies er am 16. April 1556 die Amtsleute in einer Reformationsmandat an, Lehre und Ordnung der Kirche entsprechend der Heiligen Schrift und dem Augsburger Bekenntnis zu gestalten. Das bedeutete, dass „falscher Gottesdienst abgestellt‟ und die „päpstliche Messe‟ mit der Austeilung des Abendmahls unter einer Gestalt verboten worden wurde.

 

anweisen, A zu gestalten

 

= A를 마련하라고 지시하다

 

mit der Austeilung des Abendmahls unter einer Gestalt

 

= 한 가지 형태, 즉 빵만 분배하는 성만찬과 함께

 

아울러, 연도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하지만 법은 곧 종교개혁자들 편으로 돌아섰다. 1555년의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회의는 시민들에게 선택의 자유, 즉 전통적인 신앙을 고백하거나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1530>의 종교개혁 신앙을 고백할 수 있는 자유를 허용하였다.(225-226)

 

하지만 상황은 곧 종교개혁자들 편으로 돌아섰다. 1555년의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회의는 제국의회 의원들에게 선택의 자유, 즉 전통적인 신앙을 고백하거나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1530>의 종교개혁 신앙을 고백할 수 있는 자유를 허용하였다.

 

독일어 원문: Das Blatt wendete sich jedoch bald zugunsten der Protestanten. Im Augsburger Religionsfrieden von 1555 wurde es den Reichsständen freigestellt. beim hergebrachten Glauben zu bleiben, oder die Reformation im Sinne des Augsburger Bekenntnisses von 1530 einzuführen.

 

das Blatt wendete sich = 상황이 급변했다

 

Reichstände = 제국의회 의원들(성직자 선제후, 세속 선제후, 주교, 백작 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하이델베르크 종교개혁:

 

1545년 프리드리히 2세는 성례를 제한하고 라틴어가 아닌 독일어로 미사를 거행할 것을 촉구하는 첫 번째 교회 규칙을 공포하였다. 동시에 지속적으로 가톨릭 황제와 개신교 군주를 중재하려는 노력을 중단하지 않았다.(225)

 

1545년 프리드리히 2세는 성인 숭배 제한하고 라틴어가 아닌 독일어로 미사를 거행할 것을 촉구하는 첫 번째 교회 규칙을 공포하였다. 동시에 지속적으로 가톨릭 황제와 개신교 군주를 중재하려는 노력을 중단하지 않았다.

 

독일어 원문: Im Jahr 1545 erließ er[=Friedrich.] eine erste Kirchenordnung, der zufolge die Messe in deutscher, nicht mehr in lateinischer Sprache zu halten und der Heiligenkult einzuschränken war. Gleichwohl suchte er weiterhin zwischen dem katholischen Kaiser und den evangelischen Fürsten zu vermitteln.

 

Heiligenkult = 성인 숭배

 

단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