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예배 규정은 1536년에 공포되었는데, 주일예배에 루터교적 미사가 아닌설교를 중심 위치에 세워놓는북부 독일적인 설교자 예배의 종교개혁 이전 형식을 고려했다.(264)

 

예배 규정은 1536년에 공포되었는데, 주일예배에 루터교적 미사가 아닌설교를 중심 위치에 세워놓는남부 독일적인 설교자 예배의 종교개혁 이전 형식을 고려했다.

 

독일어 원문: Eine Gottesdienstordnung wurde 1536 erlassen, die fur den sonntäglichen Gemeindegottesdienst nicht die lutherische Messe vorsah, sondern die vorreformatorische Form des oberdeutschen Prädikantengottesdienstes, die die Predigt in den Mittelpunkt stellte.

 

oberdeutsch = 남부 독일의

 

독일의 방위와 지형을 구분할 것:

 

독일 남부 = 고지(ober), 북부 = 저지(nieder).

 

단어를 바로잡았다.

 

 

다음 번역문도 모두 바로잡을 것:

 

북부 독일 제국도시들에서, 예컨대 메밍겐, 이스니, 켐프텐, 울름, 가이슬링엔, 그리고 린다우(262)

 

남부 독일 제국도시들에서, 예컨대 메밍겐, 이스니, 켐프텐, 울름, 가이슬링엔, 그리고 린다우

 

[...] in den oberdeutschen Reichsstädten erbeten wurde, so in Memmingen, Isny, Kempten, Ulm, Geislingen, Esslingen und Lindau.

 

 

북부 독일 신학자들로 하여금(264)

 

남부 독일 신학자들로 하여금

 

[...] der oberdeutschen Theologen

 

 

북부 독일 도시들은 황제에게 굴복해야 했다.(266)

 

남부 독일 도시들은 황제에게 굴복해야 했다.

 

[...] die oberdeutschen Städte mussten sich ihm unterwerfen.

 

 

 

 

지도를 참고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개혁자들은 수도원 설득에 큰 노력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 암브로시우스는 수도원 규정을 기안했다. 1525 공포된 이 규정은 성서적 예배를 통해 수도원 생활을 개신교적으로 재편하려고 했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264)

 

개혁자들은 수도원 설득에 큰 노력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 암브로시우스는 수도원 규정을 기안했다. 1535 공포된 이 규정은 성서적 예배를 통해 수도원 생활을 개신교적으로 재편하려고 했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

 

독일어 원문: Große Mühe verwendete man auf die Überzeugungsarbeit in den Klöstern. Hierfür wurde 1535 eine wohl von Blarer verfasste Klosterordnung erlassen, die eine evangelische Neugestaltung des Klosterlebens mit schriftgemäßem Gottesdienst vorsah. Dieser Ordnung blieb jedoch ein durchschlagender Erfolg versagt.

 

규정의 공포 연도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그들의 연합은 아주 밀접했다. 콘스탄츠가 메밍겐 및 린다우와 함께 스트라스부르크의 종교개혁자(마르틴 부처옮긴이 주) 기초한 신앙고백을 받아들였을 정도였다. 이 신앙고백은 1530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회의에서 <콘페시오 테트라폴리타나>(Confessio Tetrapolitana) 또는 <네 도시의 신앙고백>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된 신앙고백이다.(262)

 

그들의 연합은 아주 밀접했다. 콘스탄츠가 메밍겐 및 린다우와 함께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자들(마르틴 부처와 볼프강 카피토옮긴이 주) 기초한 신앙고백을 받아들였을 정도였다. 이 신앙고백은 1530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회의에서 <콘페시오 테트라폴리타나>(Confessio Tetrapolitana) 또는 <네 도시의 신앙고백>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된 신앙고백이다.

 

독일어 원문: Die damit Konstanz geknüpften Verbindungen waren so eng, dass Konstanz, zusammen mit Memmingen und Lindau, dem von den Straßburgern verfassten Bekenntnis beitrat, das auf dem Augsburger Reichstag 1530 als Confessio Tetrapolitana oder Vierstädtebekenntnis vorgelegt wurde.

 

dem von den Straßburgern verfassten Bekenntnis beitreten

 

= 스트라스부르 사람들에 의해 작성된 신앙고백에 동의하다

 

 

주의할 것: 작성자는 복수(複數)

 

= 마르틴 부처, 볼프강 카피토

 

 

문장과 옮긴이 주를 바로잡았다.

 

 

마르틴 부처(1491-1551)

볼프강 카피토(1478-15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암브로시우스는 콘스탄츠 종교개혁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으며, 다른 제국도시에 영향을 미쳤다.(262)

 

암브로시우스 블라러는 금방 콘스탄츠 종교개혁의 종교적 지주가 되었으며, 곧 콘스탄츠를 넘어서 또한 영향을 미쳤다.

 

독일어 원문: Ambrosius Blarer wurde rasch das geistliche Haupt der Konstanzer Reformation und wirkte bald auch über die Reichsstadt hinaus.

 

단어에 주의할 것:

 

geistlich = 종교적, 교회의

 

정신적 = geistig

 

über die Reichsstadt hinaus

 

= 제국도시[=콘스탄츠]를 넘어서

 

단어와 문장을 바로잡았다.

 

 

 

 

암브로시우스 블라러(1492-15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마르가레테 블라러

 

특히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그의 책소통집(Colloquia)에서 영국 모루스 가문의 여성과 여성교육의 모범인 뉘른베르크의 피르카하이머 가문의 여성들과 그녀를 함께 거론함으로써 그녀에게 기념비적인 평가를 해주었다. 그녀는 여성으로서 독립적인 삶을 살기 위해 수도원에 들어가거나 결혼하는 것을 거부했다.(260)

 

다른 사람이 아닌 바로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그의 책대화집(Colloquia)에서 영국 모루스 가문의 여성들과 뉘른베르크의 피르크하이머와 함께 그녀를 여성교육의 모범으로 거론함으로써 그녀에게 기념비적인 평가를 해주었다. 그녀는 여성으로서 독립적인 삶을 살기 위해 수도원에 들어가거나 결혼하는 것을 거부했다.

 

독일어 원문: Kein Geringerer als Erasmus von Rotterdam hat ihr in seinen Colloquia ein Denkmal gesetzt, indem er sie neben den Frauen im Hause Morus in England und Pirckheimer in Nürnberg als Muster weiblicher Bildung nennt. Um als Frau unabhängig zu bleiben, lehnte sie es ab, ins Kloster zu gehen oder sich zu verheiraten.

 

kein Geringerer als Erasmus von Rotterdam

 

= 다른 사람이 아닌 바로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가

 

Colloquia = 대화집(對話集)

 

Caritas Pirckheimer(1467-1532) = 카리타스 피르크하이머 = 뉘른베르크 수도원장

 

sie neben A und B als Muster weiblicher Bildung nennen

 

= A 그리고 B와 더불어 그녀를 여성교육의 모범으로 칭하다

 

책이름과 인명 및 문장을 바로잡았다.

 

 

 

마르가레테 블라러(1494-15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