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537:

 

울름대성당으로 둘러싸인 무역도시

 

울름대성당을 중심으로 형성된 무역도시

 

독일어 원문: Ulm - Handelsstadt rund ums Münster

 

 

rund um A = A를 중심으로 빙 둘러서

 

문장을 바로잡았다.

 

 

 

아래 그림을 볼 것:

  

그림 중앙에 보이는 건물 = 울름 대성당

  

울름 1597

울름 16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1550카트리나는 가톨릭 사제들을 위해 목사관을 비워줘야 했다.(522)

 

1550리나는 가톨릭 사제 위해 목사관을 비워줘야 했다.

 

독일어 원문: 1550 hatte Katharina das Pfarrhaus für einen katholischen Geistlichen frei machen mussen.

 

für einen katholischen Geistlichen

 

= 가톨릭 사제 한 사람을 위해

 

주의할 것: 복수가 아니라 단수.

 

인명과 단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그 후 카타리나는 루터 정통주의 신봉자들인 스트라스부르크 종교개혁자들의 제2세대와 갈등을 겪게 된다. 다름 면에서 그녀는 신령주의자인 카스퍼 슈벵크벨트(Caspar von Schwenckfeld)와 정기적으로 서신을 교환했다. 그녀는 1531년과 1533년 사이에 그를 은닉시켜 준 것과 관련해 비난을 받기도 했다. 카타리나는 1557년에 츠빙글리와 그의 동료들이 이단으로 규정한 정교회의 젊은 설교자인 루드비히 라부스(Ludwig Rabus)와 나눈 서신들을 출판했다.(521-522)

 

그 후 카타리나는 스트라스부르 종교개혁자들의 제2세대, 즉 루터 정통주의 신봉자들과 갈등을 겪게 된다. 무엇보다도 그녀는 신령주의자인 카스파 슈벵크(Caspar von Schwenckfeld)와 정기적으로 서신을 교환하고, 1531년과 1533년 사이에 그를 은닉시켜 준 것과 관련해 비난을 받기도 했다. 그래서 카타리나는 1557년에 정통주의의 젊은 설교자인 루트비히 라부스(Ludwig Rabus)츠빙글리와 그의 추종자들을 이단으로 규정한와 나눈 서신들을 출판했다.

 

독일어 원문: In den folgenden Jahren geriet Katharina in Konflikt mit der „zweiten Generation“ der Straßburger Reformatoren, nämlich mit den Anhängern der lutherischen Orthodoxie. Man warf ihr unter anderem vor, mit dem Spiritualisten Caspar von Schwenckfeld regelmäßig Briefe ausgetauscht und ihn zwischen 1531 und 1533 beherbergt zu haben. So veröffentlichte sie 1557 ihren Briefwechsel mit Ludwig Rabus, einem jungen Prediger der „Orthodoxie“, der Zwingli und seine Anhänger als Ketzer gebrandmarkt hatte.

 

unter anderem = 특히, 무엇보다도

 

der[=Ludwig Rabus] Zwingli und seine Anhänger als Ketzer gebrandmarkt hatte

 

= 루트비히 라부스는 츠빙글리와 그의 추종자들을 이단자로 낙인찍었었다

 

단어와 인명, 문장을 바로잡았다.

 

 

 

카스파 슈벵크펠트(1490-15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1548년 남편 마테우스 젤이 죽었을 때, 카타리나는 부처의 묘비에 새겨져 있는 말씀을 마음에 붙잡고 그 말씀을 함께 모인 사람들에게 증거했다. 하지만 신의 입장 표명이 설교로는 충족될 수 없었기에, 그녀는 책으로 출판했다. 그 안에서 카타리나는 설교자나 제자의 직무를 감당하기를 원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오직 사랑의 막달라 마리아(Maria Magdalena)처럼 깊이 고뇌하지 않고 사도가 되며 그리고 주님의 인도함을 받아 제자들에게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다.’고 증거하기를 원한다라고 말했다.(521)

 

1548년 남편 마테우스 젤이 죽었을 때, 카타리나는 부처의 장례 설교 후에 직접 말씀을 모인 사람들에게 증거했다. 하지만 그녀의 설교가 논란거리가 되었기에, 그녀는 또한 글을 한 편 발표했다. 이 글에서 카타리나는 설교자나 사도의 직분자가 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오직 친애하는 막달라 마리아(Maria Magdalena)처럼 자기가 의도치 않게 사도가 되어 주님 자신의 강권으로 제자들에게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다.’고 증거하기를 원한다.”라고 강조했다.

 

독일어 원문: Als im Januar 1548 ihr Mann Matthäus Zell starb, ergriff Katharina nach der Grabrede Bucers selbst das Wort und wandte sich an die Gemeinde. Da ihre „Predigt“ für Unmut gesorgt hatte, gab sie noch eine Schrift heraus. Darin betont sie, dass sie nicht das Amt des Predigers oder des Apostels bekleiden wollte, „sondern allein wie die liebe Maria Magdalena ohne Vorbedacht ihrer Gedanken zu einer Apostolin ward und vom Herrn selbst gedrungen den Jüngern zu sagen, dass Christus auferstanden wäre“.

 

nach der Grabrede Bucers = 부처의 장례 설교 후에

 

마르틴 부처(1491-1551)의 생몰 연도를 볼 것:

 

현재 시점은 1548. 부처의 묘비는 아직 존재하지 않음.

 

 

das Wort ergreifen = 말씀을 전하다

 

für Unmut sorgen = 논란을 야기하다, 논란거리가 되다

 

das Amt bekeiden = 관직을 차지하다

 

ohne Vorbedacht ihrer Gedanken = 그녀 생각의 고려 없이

 

vom Herrn selbst gedrungen = 주님 자신의 강권으로

 

단어와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그녀[=카타리나 젤]는 루터에게 편지를 써서 성만찬 논쟁을 중재하려고 했으나 아무런 성과 없이 루터로부터 다음과 같은 답변을 들어야 했다. “당신이 알다시피 사랑은 모든 것 위에 있어야 하며 우선권을 가져야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모든 것 위에 또한 사랑 위에 계십니다.”(521)

 

그녀[=카타리나 젤]는 루터에게 편지를 써서 성만찬 논쟁을 중재하려고 했으나 아무런 성과 없이 루터로부터 다음과 같은 답변을 들어야 했다. “당신이 알다시피 사랑은 모든 을 능가하며 우선권을 가져야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모든 을 능가하며 또한 사랑을 능가합니다.”

 

Mit einem Brief an Luther mischte sie sich sogar direkt in den Abendmahlsstreit ein. Ohne Erfolg: „Ihr wisst, dass wohl die Liebe soll über alles gehen und den Vortritt haben, ausgenommen Gott, der über alles, auch über die Liebe ist“, so Luthers Antwort.

 

über alles gehen = 모든 것을 능가하다

 

전치사 über 뒤에 오는 단어의 격()에 주의할 것:

 

über + 4= 위로, 넘어

 

über + 3= 위에

 

여기서는 모두 4.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