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누락(7)

 

따라서 삼위일체론은 교의학에서 <먼저 말해져야 하는 것>(프로레고메나)에 속하는 것으로 강조된다. 바르트는 삼위일체론이 <계시에 대한 필수적이고 적합한 분석>이라고 이해한다.”(91, 문장부호 수정인용)

 

따라서 삼위일체론은 교의학에서 <먼저 말해져야 하는 것>(프로레고메나)에 속하는 것으로 강조된다. 바르트는 삼위일체론이 <계시에 대한 필수적이고 적합한 분석>이라고 이해한다 (/1, 327).”

 

독일어 원문: Er[=Barth] versteht sie[=die Trinitätslehre] als »notwendige und sachgemäße Analyse der Offenbarung« (/1, 327)

 

빠진 출전을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교의학은 <프로레고메나>(Prolegomena, 서론)로 시작한다. 19세기의 교의학은 그것을 일반적·인간적인 그리고 인간적·종교적인 전제들, <신앙론>을 가능하게 만드는 전제들을 미리 서술하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하지만 바르트는 자신의 교의학에서 프로레고메나를 이와 정확하게 반대로 이해하면서 곧바로 북소리를 크게 울리기 시작했다. 프로레고메나에서 중요한 것은 <(믿음의 전제 아래서) 내용과의 연속성 안에서 단지 앞서(zuerst) 말하는 것이며, (믿음의 전제 없이 이성적으로) 내용과 독립적으로(vorher) 믿음을 해명하는 것이 아니다>(KD /1, 41)”(88, 인용부호 수정인용)

 

교의학은 <프로레고메나>(Prolegomena, 서론)로 시작한다. 19세기의 교의학은 그것을 일반적·인간적인 그리고 인간적·종교적인 전제들, <신앙론>을 가능하게 만드는 전제들을 미리 서술하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하지만 바르트는 자신의 교의학에서 곧바로 파문을 일으키며, 즉 기존 이해와 정확히 반대되는 프로레고메나의 이해로 시작했다. 프로레고메나에서 중요한 것은 <(믿음의 전제 아래서) 내용과의 연속성 안에서 단지 앞서(zuerst) 말하는 것이며, (믿음의 전제 없이 이성적으로) 내용과 독립적으로(vorher) 믿음을 해명하는 것이 아니다>(KD /1, 41)”

 

독일어 원문: [...] Barth hebt in seinem Werk gleich mit einem Paukenschlag an, mit einem dem genau entgegengesetzten Verständnis der Prolegomena: [...]

 

Paukenschlag = Eklat = 파문, 센세이션

 

독일어 <Duden>사전을 참고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크리스토퍼 프라이(Chr. Frey)는 바르트와 틸리히를 비교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틸리히는 <새로운 목재들을 가지고 낡은 건축구조를 축조하는 반면에바르트는 낡은 목재들을 사용하여 새로운 구조물을 만들어낸다.> 다른 비유로 말하자면, 우리는 이제교회교의학움직였던 그 지형 위에서 그것이 앞으로 나아갔던 길들로부터, 하나의 지도를 그려보려고 시도할 것이다.”(88, 문장부호 수정인용)

 

크리스토퍼 프라이(Chr. Frey)는 바르트와 틸리히를 비교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틸리히는 <새로운 목재들을 가지고 낡은 건축구조를 축조하는 반면에바르트는 낡은 목재들을 사용하여 새로운 구조물을 만들어낸다.> 다른 비유로 말하자면, 우리는 이제교회교의학통과해 움직였던 그 풍경들과교회교의학이 앞으로 나아갔던 그 길들의 지도 그려보려고 시도할 것이다.”

 

독일어 원문: [...] Es sei versucht, noch einmal in jenem anderen Bild gesprochen, eine Landkarte von den Landschaften zu zeichnen, durch die diese Dogmatik sich bewegt, und von den Wegen, auf denen sie hier vorwärtsgeht.

 

eine Landkarte von A und B zu zeichnen

 

= AB의 지도를 그리다.

 

A = von den Landschaften zu zeichnen, durch die diese Dogmatik sich bewegt

 

B = von den Wegen [zu zeichnen], auf denen sie hier vorwärtsgeht.

 

Landschaft = 풍경

 

지형 = Bodengestalt, Bodenbeschaffenhei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자신의 교의학을 여전히 계속 또 계속해서 집필하고 있었던 노년의 바르트를 향해 폰 발타자르(H. U. von Balthasar)<그대, 영원한 풍요의 뿔(Füllhorn)이여!>¹³라고 외쳤다. 만일 우리가 바르트의 글쓰기 작업을 지속시켰던 영혼(psychischen)의 원동력을 이해하려고 한다면, 반드시 다음 한 가지 사실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85, 문장부호 수정인용)

 

자신의 교의학을 여전히 계속 또 계속해서 집필하고 있었던 노년의 바르트를 향해 폰 발타자르(H. U. von Balthasar)<그대, 영원한 풍요의 뿔(Füllhorn)이여!>¹³라고 말했다. 만일 우리가 바르트의 글쓰기 작업을 지속시켰던 영혼(psychisch)의 원동력을 이해하려고 한다면, 반드시 다음 한 가지 사실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각주 163: E. Busch, Lebenslauf, 391. 비교. KD /1, 83ff.

 

각주 163: E. Busch, Lebenslauf, 457.

 

독일어 원문: »Sie ewiges Füllhorn!«¹³, sagte H. U. von Balthasar zum alten Barth, der an seiner Dogmatik immer noch weiter und weiter schrieb. Aber wir verstehen nicht nur den psychischen Motor nicht, der das Schreiben in Gang hielt, [...]

 

각주 출전을 바로잡았다. (비교. KD /1, 83ff.는 삭제할 것.)

 

아울러, 병기된 독일어psychisch도 수정했다.

 

형용사<독일어사전 표제어>에 따른, 기본형을 쓸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각주: 156 So der Titel seines Berichts darüber: Zürich, 1967.

 

각주: 157 A.a.O., 41.

 

각주 157 같은 곳, 41.

 

각주: 158 같은 곳, 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