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하르트 부쉬, 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그러나 여기서 하나님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 자신을 인식하도록 해주실 때만 우리가 그분을 인식하게 되는 그런 분으로 여전히 머물러 계신다>(43f.) 이와 같이 우리는 하나님이 약자인 우리의 인식에 더해주시는 가산점(Vor-gabe)에 지속적으로 의존해 있다.”(125, 문장부호 수정인용)

 

그러나 여기서 하나님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 자신을 인식하도록 해주실 때만 우리가 그분을 인식하게 되는 그런 분으로 여전히 머물러 계신다>(43f.) 이와 같이 우리는 하나님이 약자인 우리의 인식에 더해주시는 앞선-주심(Vor-gabe)에 지속적으로 의존해 있다.”

 

독일어 원문: [...] aber Gott »bleibt der, den wir nur erkennen, indem er sich uns zu erkenne gibt« (43 f.). Und so bleiben wir auf diese göttliche Vor-gabe unserer Erkenntnis angewiesen.

 

Vorgabe핸디캡Vor-gabe는 다르다.

 

Vor-gabeVorgabe와는 다른 독해를 요구한다.

 

그것은 앞선-주심’.

 

vor앞에Gabe수여’, ‘주어진 것의 합성 명사.

 

 

42쪽의 번역도 수정할 것:

 

동시에 그의 신학은 자신의 일에 확신을 가지면서 하나님의 우선성(Vor-gabe)에 관하여 수없이 묻지만, 그것을 의심하지는 않는다.”

 

동시에 그의 신학은 자신의 일에 확신을 가지면서 하나님의 앞선-주심(Vor-gabe)에 관하여 수없이 묻지만, 그것을 의심하지는 않는다.”

 

독일어 원문: [...] und sie[=Barths Theologie] ist zugleich ihrer Sache gewiß, fragt viel aber zweifelt nicht, nämlich nicht an der göttlichen Vor-gab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종교개혁자들이 신학적 사유에 근거한 지성적인 공로-칭의의 가능성을 직시하고 공격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들은 그리스도교적인 삶에 근거한 도덕적 공로-칭의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위와 마찬가지로 폭넓고 날카롭게, 그리고 철저하게 [직시하지 못하고] 공격하지 못했다.> 전자(지성적인 공로-칭의)의 가능성에 한계를 정하는 것은 사람이 자신의 공로를 통해 할 수 없는 것만큼 자신의 인식능력을 통해서도 하나님과의 관계 안으로 들어가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님과의 관계는 인식의 관점에서도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순수하고 자유로운 은혜 덕분임을 의미한다.”(123-124, 문장부호 수정 및 누락보완 인용)

 

“<종교개혁자들이 신학적 사유에 근거한 지성적인 공로-칭의의 가능성을 직시하고 공격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들은 그리스도교적인 삶에 근거한 도덕적 공로-칭의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위와 마찬가지로 폭넓고 날카롭게, 그리고 철저하게 [직시하지 못하고] 공격하지 못했다.> 전자(지성적인 공로-칭의)의 가능성에 한계를 정하는 것은 사람이 자신의 공로를 통해 할 수 없는 것만큼 자신의 인식능력을 통해서도 하나님과의 관계 안으로 들어가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님과의 관계는 후자(도덕적 공로-칭의)의 관점에서도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순수하고 자유로운 은혜 덕분임을 의미한다.”

 

독일어 원문: »Sie[=die Reformatoren] haben die Möglichkeit einer intellektuellen Werkgerechtigkeit in der Basis des thologischen Denkens wohl auch, aber nicht in derselben Breite, Schäffe und Grundlichkeit gesehen und angegriffen wie die der moralischen Werkgerechtigkeit in der Basis des christlichen Lebens.« Die Abgrenzung gegen jene erstere Möglichkeit bedeutet aber, daß der Mensch genauso wenig wie durch seine Werke sich durch seine Erkenntnisfähigkeit in die Gottesbeziehung zu versetzen vermag, daß sie sich auch in letzterer Hinsicht rein der freien Gnade Gottes verdankt.

 

jene erster[=der intellektuellen Werkgerechtigkeit] Möglichkeit

 

= 전자(지성적인 공로-칭의)의 가능성

 

in letzterer[=der moralischen Werkgerechtigkeit] Hinsicht

 

= 후자(도덕적 공로-칭의)의 관점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누락(13)

 

“<종교개혁자들이 신학적 사유에 근거한 지성적인 공로-칭의의 가능성을 직시하고 공격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들은 그리스도교적인 삶에 근거한 도덕적 공로-칭의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위와 마찬가지로 폭넓고 날카롭게, 그리고 철저하게 공격하지 못했다.”(123)

 

“<종교개혁자들이 신학적 사유에 근거한 지성적인 공로-칭의의 가능성을 직시하고 공격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들은 그리스도교적인 삶에 근거한 도덕적 공로-칭의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위와 마찬가지로 폭넓고 날카롭게, 그리고 철저하게 직시하지 못하고 공격하지 못했다.”

 

독일어 원문: »Sie[=die Reformatoren] haben die Möglichkeit einer intellektuellen Werkgerechtigkeit in der Basis des thologischen Denkens wohl auch, aber nicht in derselben Breite, Schäffe und Grundlichkeit gesehen und angegriffen wie die der moralischen Werkgerechtigkeit in der Basis des christlichen Lebens.«

 

빠진 단어gesehen를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역주 보완

 

바르트는 이러한 과제를 흡사 보덴제(Bodensee, 독일과 스위스 국경의 호수 이름역자 주)에서 말을 달리는 사람 같은 것이라고 했다. 말하자면 <그것은 한마디로 위험한 시도이며그 시도에서 가장 적절한 것은 모든 이름 가운데 가장 높으신 이름을 부르는 최종 해결책(ultima ratio)을 단지 시작에서만 행하는 것이 아니라 또한 중심과 끝으로도 삼는 일>이다”(121, 문장부호 및 띄어쓰기 수정인용)

 

바르트는 이러한 과제를 흡사 보덴제(Bodensee, 독일과 스위스 국경의 호수 이름역자 주) 위를 말을 타고 달리는 사람의 과제와 같은 것이라고 했다. 말하자면 <그것은 한마디로 목숨이 위태로운 시도이며그 시도에서 가장 적절한 것은 모든 이름 가운데 가장 높으신 이름을 부르는 최종 해결책(ultima ratio)을 단지 시작에서만 행하는 것이 아니라 또한 중심과 끝으로도 삼는 일>이다

 

독일어 원문: Barth nennt diese Aufgabe gleichsamm die des Reiters auf dem Bodensee, »ein lebensgefährliches Unternehmen ..., bei dem es am Platze ist, mit der ultima ratio der Anrufung des höchsten Namen nicht nur den Anfang zu machen, sondern auch die Mitte und das Ende.«

 

die [Aufgabe] des Reiters auf dem Bodensee

 

= 보덴제 호수 위에서 말을 타고 달리는 사람의 과제

 

lebensgefährlich = 생명이 위험한

 

 

역주 보완:

 

보덴제 호수 위에서 말을 타고 달리는 사람이라는 표현은 원래말을 탄 사람과 보덴제 호수(Der Reiter und der Bodensee)라는 독일 담시(譚詩)에서 나왔다.

 

1826, 구스타프 슈바브(Gustav Schwab)가 이 작품을 썼다.

 

그는 15731월 겨울, 말을 탄 채 얼어붙은 보덴제 호수를 건넜다는 알자스 출신의 역참관리인 안드레아스 에글리슈페르거(Andreas Egglisperger)의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다.

 

작품 내용:

 

천지가 온통 눈에 파묻힌 어느 한겨울, 어떤 말을 탄 사람이 보덴제 호수를 향해 서둘러 가고 있었다. 그는 호수에 다다르면 거룻배에 말을 싣고 호수를 건널 생각이었다. 한데 아무리 가도, 나무 한 그루 없는 허허벌판만 계속될 뿐이었다.

 

겨우 어느 동네에 도착한 그는 마을 사람에게 물었다. 얼마나 더 가야 호수에 닿을 수 있냐고. 그러자 마을 사람은, 당신 뒤에 있는 게 호수이고, 당신은 지금 막 호수 위로 말을 타고 지나왔다고 대답한다.

 

그러자 아무것도 모른 채 말을 타고 호수를 건너온 그 사람은 소스라치게 놀라 정신을 잃고, 말에서 떨어져 죽고 만다. 그리고 호숫가에 묻혔다.

 

 

다음은 이 담시의 전문(全文):

 

Der Reiter und der Bodensee

 

                                       Gustav Schwab

 

Der Reiter reitet durchs helle Tal,

aufs Schneefeld schimmert der Sonne Strahl.

Er trabet im Schweiß durch den kalten Schnee,

er will noch heut an den Bodensee.

 

Noch heut mit dem Pferd in den sicheren Kahn,

will drüben landen vor Nacht noch an.

Auf schlimmen Weg, über Dorn und Stein,

er braust auf rüstigem Ross feldein.

Aus den Bergen heraus, ins ebene Land,

da sieht er den Schnee sich dehnen wie Sand.

Weit hinter ihm schwinden Dorf und Stadt,

der Weg wird eben, die Bahn wird glatt.

 

In weiter Fläche kein Bühl, kein Haus,

die Bäume gingen, die Felsen aus.

So fliegt er hin eine Meil und zwei,

er hört in den Lüften der Schneegans Schrei.

Es flattert das Wasserhuhn empor,

nicht anderen Laut vernimmt sein Ohr.

 

Kein Wandersmann sein Auge schaut,

der ihm den rechten Weg vertraut.

Fort gehts, wie auf Samt, auf dem weichen Schnee,

wann rauscht das Wasser, wann glänzt der See?

 

Da bricht der Abend, der frühe herein,

von Lichtern blinket ein ferner Schein.

Es hebt aus dem Nebel sich Baum an Baum,

und Hügel schließen den weiten Raum.

Er spürt auf dem Boden Stein und Dorn,

dem Rosse gibt er den scharfen Sporn.

Und Hunde bellen empor am Pferd,

und es winkt ihm im Dorf der warme Herd.

 

"Willkommen am Fenster Mägdelein,

an den See, an den See, wie weit mag es sein?"

Die Maid, sie staunet den Reiter an:

"Der See liegt hinter dir und der Kahn.

Und deckt´ ihn die Rinde von Eis nicht zu,

ich spräch aus dem Nachen stiegest du".

 

Der Fremde schaudert, er atmet schwer:

"Dort hinten die Ebne, die ritt ich her!"

Da recket die Maid die Arm in die Höh:

"Herr Gott, so rittest du über den See!

An den Schlund, an die Tiefe bodenlos,

hat gepocht des rasenden Hufes Stoß!

Und unter dir zürnten die Wasser nicht?

Nicht krachte hinunter die Rinde dicht?

Und du wardst nicht die Speise der stummen Brut?

Der hungrigen Hecht´ in der kalten Flut?"

 

Sie rufet das Dorf herbei zu der Mär,

es stellen die Knaben sich um ihn her.

Die Mütter, die Greise, sie sammeln sich:

"Glückseliger Mann, ja segne du dich!

Herein zum Ofen, zum dampfenden Tisch,

brich mit uns das Brot und iss vom Fisch!"

 

Der Reiter erstarrte auf seinem Pferd,

er hat nur das erste Wort gehört.

Es stocket sein Herz, es sträubt sich sein Haar,

dicht hinter ihm grinst noch die grause Gefahr.

Es siehet sein Blick nur den gräßlichen Schlund,

sein Geist versinkt in den schwarzen Grund.

 

Da seufzt er, da sinkt er vom Ross herab,

da ward ihm am Ufer ein trocken Grab.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당황

 

<당황 외에 다른 어떤 것이 신학의 근거가 될 수 없다.> 바르트는 신학의 길을 시작하면서 프란츠 오버베크(F. Overbeck)의 이 문장을 인용했다.”(115, 문장부호 수정인용)

 

당황

 

<담대함 외에 다른 어떤 것이 신학의 근거가 될 수 없다.> 바르트는 신학의 길을 시작하면서 프란츠 오버베크(F. Overbeck)의 이 문장을 인용했다.”

 

독일어 원문:

 

Verlegenheit

 

»Anders als mit Verwegenheit ist Theologie nicht wieder zu gründen«, so zitierte Barth am Anfang seines Weges F. Overbeck.

 

 

Verwegenheit = 담대함, 대담함

 

121쪽의 번역과 비교할 것:

 

담대한 태도를 취하는 것 외에 신학을 재건할 길은 사실상 없다.”

 

독일어 원문: Anders als mit Verwegenheit ist in der Tat die Theologie nicht wieder zu gründ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