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틴 루터,대교리문답, 최주훈 옮김, 복 있는 사람, 2017(초판 3).

 

세례의 능력, 행위, 효과, 열매, 최종 목적 모두 복됨 있습니다.(297)

 

세례의 능력, 행위, 효과, 열매, 최종 목적 모두 구원 있습니다. 사람들은 그 누구도 군주가 되라고 세례를 주는 것이 아니라, 말씀과 마찬가지로 구원을 얻으라고세례를 주기 때문입니다.

 

독일어 원문: Der Taufe Kraft, Werk, Nutzen Frucht und Endziel ist dies, daß sie selig mache. Denn man tauft niemand dazu, daß er ein Fürst werde, sondern, wie die Worte lauten, daß er »selig werde«.

 

구분할 것:

 

selig machen = 구원하다

 

selig werden = 구원을 얻다

 

selig sein = 복되다

 

빠진 문장을 보완하고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르틴 루터,대교리문답, 최주훈 옮김, 복 있는 사람, 2017(초판 3).

 

믿고 세례를 받는 사람은 복되다!”selig werden(297)

 

믿고 세례를 받는 사람은 구원을 얻을 것이다!”selig werden

 

독일어 원문: »Wer da glaubt und getauft wird, der wird selig

 

구분할 것:

 

selig werden = 구원을 얻다

 

selig sein = 복되다

 

문장을 바로잡았다.

 

 

• 다음 글을 참고할 것: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

 

Q. 61. Are all they saved who hear the gospel, and live in the church?

A. All that hear the gospel, and live in the visible church, are not saved; but they only who are true members of the church invisible.

 

61. Frage

Werden alle selig, die das Evangelium hören und in der Kirche leben?

Antwort: Nicht alle, die das Evangelium hören und in der sichtbaren Kirche leben, werden selig, sondern nur die, welche wahre Glieder der unsichtbaren Kirche sind.

 

61: 복음을 듣고 교회 안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다 구원을 얻습니까?

: 복음을 듣고 유형교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다 구원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다만 무형교회의 진정한 회원만이 구원을 얻습니다.

 

 

출처: http://neuenburginternational.com

 

 

보완: 2019. 6. 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르틴 루터,대교리문답, 최주훈 옮김, 복 있는 사람, 2017(초판 3).

 

혹시 그리스도께서 세례 받으실 때 성령이 하늘에서 임하고 거룩한 하나님의 영광과 권능이 임하셨다는 것을 농담으로 여기십니까?(296)

 

혹시 그리스도께서 세례 받으실 때 하늘이 열리고 성령이 눈에 보이게 내려와 거룩한 하나님의 영광과 권능이 임하셨다는 것을 농담으로 여기십니까?

 

독일어 원문: Meinst du denn, daß es ein Scherz war, wenn sich Christus taufen ließ, der Himmel sich auftat, der Heilige Geist sichtbar herabfuhr und lauter göttliche Herrlichkeit und Majestät da war?

 

der Himmel sich auftat, der Heilige Geist sichtbar herabfuhr

 

= 하늘이 열렸고, 성령이 눈에 보이게 내려왔다

 

빠진 문장을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르틴 루터,대교리문답, 최주훈 옮김, 복 있는 사람, 2017(초판 3).

 

도대체 내가 저들을(부모와 세상 정부) 다른 사람들보다 더 겸손하게 대할 이유가 뭐지?”(295)

 

도대체 내가 이 사람을(부모) 다른 사람들보다 더 존경해야 할 이유가 뭐지?”

 

독일어 원문: »Warum sollte ich von diesem [Menschen] mehr halten als von anderen?«

 

viel von A halten = A를 존경하다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르틴 루터,대교리문답, 최주훈 옮김, 복 있는 사람, 2017(초판 3).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부모의 지위와 세상 정부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습니다. , , 피부, 머리카락, 몸 같은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295)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부모의 지위와 세상 정부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습니다. , , 피부, 머리카락, , 다리 같은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독일어 원문: Denn ebenso reden wir auch vom Vater- und Mutterstand und weltlicher Obrigkeit; will man diese [daraufhin], ansehen, wie sie Nasen, Augen, Haut und Haar, Fleisch und Bein haben, [...]

 

Bein = 다리

 

빠진 단어를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