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이것은 동시에 루터의 성만찬론을 성숙한 경지로 이끌어 주었다. 소교리문답 포함된 설명은 바로 그 같은 논쟁을 완전히 불식시킬 수 있다.(462)

 

이것은 동시에 루터의 성만찬론을 성숙한 경지로 이끌어 주었다. ·소교리문답 포함된 설명은 바로 그 같은 논쟁을 완전히 불식시킬 수 있다.

 

독일어 원문: Damit ist zugleich die »reife Gestalt« von Luthers Abendmahlslehre erreicht; die Darstellung in den Katechismen kann auf jegliche Polemik voll verzichten.

 

번역을 바로잡았다.

 

in den Katechismen = 교리문답서들에서

 

복수(複數)에 주의할 것.

 

아래 저자가 462쪽, 각주 72에 언급한 참고도서를 볼 것:

 

Ulrich Kühn, Sakramente, 1985, 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403, 각주 152

 

Lehrveranstaltungen kirchentrennend? I Rechtfertigung, Sakramente und Amt im Zeitalter der Reformation und heute. K. Lehmann und W. Pannenberg(Hg.), Fr 1986, 35-75.

 

Lehrverurteilungen kirchentrennend? I Rechtfertigung, Sakramente und Amt im Zeitalter der Reformation und heute. K. Lehmann und W. Pannenberg(Hg.), Fr 1986, 35-75.

 

독일어 원문: Lehrverurteilungen kirchentrennend? I Rechtfertigung, Sakramente und Amt im Zeitalter der Reformation und heute. Hg. von K. Lehmann und W. Pannenberg, Fr 1986, 35-75.

 

각주 단어를 바로잡았다.

 

아래 독일도서관(DNB)의 서지 정보를 참고할 것:

 

https://portal.dnb.de/opac/showFullRecord?currentResultId=%22kirchentrennend%22+and+%22Lehmann%22%26any&currentPosition=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신학적으로 보면, 칭의는 하나의 예술 개념이다. 이것은 일반 그리스어에서는 드물며, 신약성서에서 단지 두 번 나타나는 디카이오시스’(dikaiosis)란 개념과 라틴어 동의어인 유스티피카시오’(iustificatio)란 개념에 해당된다.(350)

 

신학적으로 보면, 칭의는 하나의 인공 개념이다. 이것은 일반 그리스어에서는 드물며, 신약성서에서 단지 두 번 나타나는 디카이오시스’(dikaiosis)란 개념과 라틴어 동의어인 유스티피카치오’(iustificatio)란 개념에 해당된다.

 

독일어 원문: Theologisch gesehen, ist »Rechtfertigung« ein Kunstbegriff; dies gilt sowohl für den im profanen Griechisch seltenen und auch im Neuen Testament nur zweimal auftauchenden Begriff »diskaiosis« als auch für dessen lateinisches Äquivalent »iustificatio«.

 

단어를 바로잡았다.

 

Kunst = (여기서는) 인공, 인위

 

‘iustificatio’ 참고 사이트:

 

https://latina.bab2min.pe.kr/xe/lk/iustificatio?form=iustificatio&q=iustificati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따라서 믿는 자는 그의 칭의와 세례로부터 이해되어야 좋으며, 여러 가지 예전 규칙들이 규정하고 있듯이, 예배가 참으로 죄 고백이나 혹은 더 낫지는 않지만 세례의 회상과 더불어 시작되어도 좋은지 하는 질문이 생긴다.(395)

 

따라서 믿는 자는 그의 칭의와 세례로부터 이해되어야 좋으며, 여러 가지 예전 규칙들이 규정하고 있듯이, 예배가 참으로 죄 고백으로 시작해야 하는지, 아니면 세례의 회상으로 시작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질문이 생긴다.

 

독일어 원문: Folglich darf der Glaubende von seine Rechtfertigung und von der Taufe her verstanden werde, und es fragt sich, ob der Gottesdienst wirklich, wie es manche liturgischen Ordnungen vorsehen, mit dem Sündenbekenntnis oder nicht besser mit einer Tauferinnerung beginnen sollte.

 

번역을 바로잡았다.

 

es fragt sich, ob der Gottesdienst nicht besser mit einer Tauferinnerung beginnen sollte

 

= 질문이 제기된다, 예배가 세례 회상으로 시작되어야 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아래 예문을 참고할 것:

 

Schon die Frage, ob das Wort, das in den Evangelien für das Tun des Judas verwendet wurde, überhaupt mit „verraten“, oder nicht besser mit „übergeben“ bzw. sogar „überliefern“ im Sinne einer heilstiftenden Überlieferung an das Kreuz zu Gunsten aller Menschen zu übersetzen sei, ist über die Jahrhunderte immer wieder umstritten gewesen.

 

예문 출처:

 

http://www.movingpoints.de/die-moving-points-gmbh/produktionen/theater/juda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용으로 표현된 악마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형태로 내어준 먹이를 먹는다. 마귀는 뒤늦게 낚시 바늘’, 곧 그리스도의 신성을 눈치 챈다. 그리스도는 악마에게서 개에게서처럼 풀을 얻는다. 왜냐하면 마귀가 그를 다시 내뱉어야할 정도로 그리스도는 그의 목에 그대로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371)

 

용으로 표현된 마귀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형태로 내어준 먹이를 먹는다. 마귀는 뒤늦게 낚시 바늘’, 곧 그리스도의 신성을 눈치 챈다. 그리스도는 마귀에게서 풀 먹은 개와 같은 작용을 한다. 왜냐하면 마귀가 그를 다시 내뱉어야할 정도로 그리스도는 그의 목에 그대로 걸려 있기 때문이다.”

 

독일어 원문: Der Teufel, als Drache vorgestellt, frisst den Köder, den Gott ihm in Gestalt Christi ausgelegt hat. Der Teufel bemerkt den »Angelhaken« zu spät die Gottheit Christi! Christus bekommt dem Teufel »wie dem Hund das Gras. Denn der Christus bleibt ihm im Hals stecken«, so dass er ihn »wieder speien« muss.

 

번역을 바로잡았다.

 

Christus bekommt dem Teufel wie dem Hund das Gras.

 

= 그리스도가 마귀에게는 마치 개에게 풀과 같이풀 먹은 개가 먹은 풀을 토해내야 하듯작용한다

 

 

아래 숙어es bekommt ihm wie dem Hunde das Gras의 설명을 볼 것:

 

Lutz Röhrich, Lexikon der sprichwörtlichen Redensarten, Bd. 2, 1995, 5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