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이와는 달리 루터는 하늘 편재의 의미에서 하나님의 권한이며, 이것이 성만찬에 그리스도의 육적인 현존을 가능하게 한다고 이해했다.(478)

 

이와는 달리 루터는 하늘’, ‘하나님 우편 편재의 의미에서 파악했고, 이것이 성만찬에 그리스도의 육적인 현존을 가능하게 한다고 이해했다.

 

독일어 원문: Luther dagegen verstand den »Himmel«, die »Rechte Gottes«, im Sinne einer Ubiquität, die Christi leibliche Präsenz im Abendmahl ohne Weiteres möglich machte.

 

단어를 바로잡았다.

 

die »Rechte Gottes« = 하나님의 오른쪽

 

 

독일어 <사도신경>을 볼 것:

 

Ich glaube an Gott, den Vater,

den Allmächtigen,

den Schöpfer des Himmels und der Erde.

 

Und an Jesus Christus,

seinen eingeborenen Sohn, unsern Herrn,

empfangen durch den Heiligen Geist,

geboren von der Jungfrau Maria,

gelitten unter Pontius Pilatus,

gekreuzigt, gestorben und begraben,

hinabgestiegen in das Reich des Todes,

am dritten Tage auferstanden von den Toten,

aufgefahren in den Himmel;

er sitzt zur Rechten Gottes,

des allmächtigen Vaters;

von dort wird er kommen,

zu richten die Lebenden und die Toten.

 

Ich glaube an den Heiligen Geist,

die heilige christliche Kirche,

Gemeinschaft der Heiligen,

Vergebung der Sünden,

Auferstehung der Toten und das ewige Leben.

 

Am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화체설과 상반되는 공제설이 결코 아니며, ‘정체성 확인이다.(475)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화체설과 상반되는 공재설 결코 아니며, ‘정체성 확인이다.

 

독일어 원문: Es geht also gar nicht um eine Subkonstantiationstheorie im Gegenüber zur Transsubstantiationslehre, sondern um eine »Identitätsfeststellung«.

 

단어를 바로잡았다.

 

Subkonstantiationstheorie = 공재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루터 자신도 그가 지성으로 이해할 수 없음을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그리스도의 복종에 사로잡히도록자신의 지성을 주고, 가장 단순하게 그리스도의 말씀을 따른다.(473-474)

 

루터 자신은 그것을 지성으로 이해할 수 없음에 구애받지 않는다. 그는 자기 지성을 사로잡아 그리스도에게 복종하게하고, 가장 단순하게 그리스도의 말씀을 따른다.

 

독일어 원문: Luther selbst stößt sich nicht daran, dass er das intellektuell nicht anchvollziehen kann. Er gibt seinen Verstand »in den Gehorsam Christi gefangen« und folgt »seinen Worten in aller Schichtheit«.

 

번역을 바로잡았다.

 

sich an A stoßen = A에 구애되다

 

 

Luther selbst stößt sich nicht daran

 

= 루터 자신은 구애되지 않는다

 

dass er das intellektuell nicht anchvollziehen kann

 

= 그가 그것을 지성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는 것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그리스도는 빵과 포도주로 그 자신에 대해 말한다. 그 점을 의심해서는 안 된다.(471)

 

그리스도는 빵과 포도주로 그 자신을 준다고 자기 제자들에게 확언한다. 그 점을 의심해서는 안 된다.

 

독일어 원문: Christus sagt in Brot und Wein den Seinen sich selbst zu daran darf nicht gerüttelt werden!

 

번역을 바로잡았다.

 

den Seinen sich selbst zusagen

 

= 자기 사람들에게 자기 자신을 준다고 약속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스-마르틴 바르트, 마르틴 루터의 신학, 정병식홍지훈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5(9).

 

한편으로는 우선 성례전보다 말씀이 우선이라고 인정하며, 또한 표지적 성격에 강조점을 두고, 결국 성례전을 꼭 필요한 것으로 부각시키려는 경향을 추측할 수 있다.(463)

 

한편으로는 우선 성례전보다 말씀이 우선이라고 인정하며, 또한 표지적 성격에 강조점을 두고, 결국 성례전을 꼭 필요치 않는 것으로 부각시키려는 경향을 추측할 수 있다.

 

독일어 원문: Einerseits könnte sich die Tendenz nahelegen, dem Wort die Priorität gegenüber dem Sakrament in einer Weise einzuräumen, die den Akzent dann stärtker auf den Zeichenchrakter legen und das Abendmahl letzlich als entbehrlich erscheinen lässt.

 

번역을 바로잡았다.

 

entbehrlich = 없어도 되는, 무용의, 쓸데없는

 

die[=Weise] das Abendmahl letzlich als entbehrlich erscheinen lässt

 

= 성찬식을 결국에는 없어도 되는 것으로 보이게 하는 방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