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자기 노력에 근거한 행위의 의의 총괄 개념으로서 수도사로서의 삶의 길을 후에 배격한 것은 오인의 여지없이, 자신의 수도사로서의 삶에 대한 영적 아포리아, 절망과 유혹을 비극화하고 이런 어두운 묘사를 배경 삼아 수도원과의 단절을 자명하게 만들려는 경향으로 이끌었다. 루터의 수도원 시설은 어쨌든 순전히 고난의 시기는 아니었다.(121, 띄어쓰기 수정인용)

 

자기 노력에 근거한 행위의 의의 총괄 개념으로서 수도사로서의 삶의 길을 후에 배격한 것은 오인의 여지없이, 자신의 수도사로서의 삶에 대한 영적 아포리아, 절망과 유혹을 극적으로 만들고 이런 어두운 묘사를 배경 삼아 수도원 제도와의 단절을 자명하게 만들려는 경향으로 이끌었다. 루터의 수도원 시설은 어쨌든 순전히 고난의 시기는 아니었다.

 

독일어 원문: [...] die späterer Verwerfung des monastischen Lebenswegs als Inbegriff einer aus eigenen Anstrengungen gespeisten Werkgerechtigkeithat unverkennbar zur Tendenz geführt, die geistlichen Aporien, die Verzweiflung und die Anfechtung seiner eigenen monastischen Existenz zu dramatisieren und seinen eigenen Bruch mit dem Klosterwesen vor dem Hintergrund dieser dunklen Schilderung plausibel zu machen. Luthers Klosterzeit ist jedenfalls keine reine Leidenszeit gewesen; [...]

 

dramatisieren = 극적으로 표현하다

 

Klosterwesen = 수도원 제도

 

참고할 것:

 

Schulwesen = 학교 제도

 

단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 1517년 후반 내지 1818년 초반 이전의 루터에 관해서, 그가 종교개혁의 발단을 제공했다고는 거의 말할 수 없다. 물론 그는 비텐베르크 대학에서의 교수활동[...] 중에 거듭하여 교회 실천의 의심스러운 현상들무엇보다도 면죄, 그리스도인의 삶, 그것의 신학적 근거에 대해 언급하곤 했다.(117)

 

[...] 1517년 후반 내지 1818년 초반 이전의 루터에 관해서, 그가 종교개혁의 발단을 제공했다고는 거의 말할 수 없다. 물론 그는 비텐베르크 대학에서의 교수활동[...] 중에 거듭하여 교회 실천무엇보다도 면죄과 기독교적 삶, 그 신학적 근거의 의심스러운 현상들에 대해 언급하곤 했다.

 

독일어 원문: [...] Natürlich war er [...] immer auf problematische Erscheinungen kirchlicher Parxis unter anderem den Anlaß -, christlicher Lebensführung und ihrer theologischen Begründung zu sprechen gekommen.

 

• auf problematische Erscheinungen (+A, B und C) sprechen

 

= (AB, C) 문제가 되는 현상들을 언급하다

 

(+A, B und C)

 

= 교회 실천무엇보다도 면죄과 기독교적 삶, 그 신학적 근거의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이클 리브스·팀 체스터,종교개혁 핵심질문, 오현미 옮김, 복 있는 사람, 2017(11).

 

1519년 그해, 나는 시편을 다시 한 번 번역하기 시작했다. 이제는 좀 더 숙련되었다는 자신감이 있었다. 대학에서 강의할 때 바울의 로마서, 갈라디아서, 그리고 히브리서를 다뤄 봤기 때문이었다.(26)

 

1519년 그해, 나는 시편을 다시 한 번 주석하기 시작했다. 이제는 좀 더 숙련되었다는 자신감이 있었다. 대학에서 강의할 때 바울의 로마서, 갈라디아서, 그리고 히브리서를 다뤄 봤기 때문이었다.

 

영어 번역문: Meanwhile in that same year, 1519, I had begun, interpreting the Psalms once again. I felt confident that I was now more experienced, since I had dealt in university courses with St. Paul’s Letters to the Romans, to the Galatians, and the Letter to the Hebrews.

 

단어를 바로잡았다.

 

독일어 원문을 볼 것:

 

Inzwischen war ich in diesem Jahr [1519] zum Psalter zurückgekehrt, um ihn von neuem auszulegen, im Vertrauen darauf, daß ich geübter sei, nachdem ich St. Pauli Epistel an die Römer und Galater und die an die Hebräer in Vorlesungen behandelt hatte.

 

참고로, 루터가 구역성경의 시편을 독일어로 처음 번역한 때는 15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이클 리브스·팀 체스터,종교개혁 핵심질문, 오현미 옮김, 복 있는 사람, 2017(11).

 

저자 오류

 

1512, 스물여섯 살의 루터는 수도회의 파송을 받아 비텐베르크에 새로 생긴 대학교에서 성경 관련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가 되었다. 이곳에서 아우구스티누스를 연구하고 시편과 로마서, 갈라디아서를 강의하면서 루터는 복음을 근본적으로 새롭게 이해하게 된다.(25)

 

1512, 스물아홉 살의 루터는 수도회의 파송을 받아 비텐베르크에 새로 생긴 대학교에서 성경 관련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가 되었다. 이곳에서 아우구스티누스를 연구하고 시편과 로마서, 갈라디아서를 강의하면서 루터는 복음을 근본적으로 새롭게 이해하게 된다.

 

영어 원문: In 1512 Luther, aged twenty-six, was sent by his order as a lecturer of biblical studies to the new university at Wittenberg. It was here, studying Augustine and lecturing on the Psalms, Romans and Galatians, that Luther came to a radically fresh understanding of the gospel.

 

 

루터 나이를 바로잡았다.

 

12, 루터 생몰년을 볼 것:

 

Martin Luther, 1483-15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그러나 루터교도들은 시정부에 충성을 약속하면서 가톨릭과 투쟁하려고 했다. 뒤로 물러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 칼뱅주의자들은 루터교도들이 프로테스탄트 정신을 배신한 자들이요 정치적으로 화해할 수 없는 자들이라고 비난했다.(43)

 

그러나 루터교도들은 시정부에 충성을 약속하면서 가톨릭 편에 가담했다. 뒤로 물러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 칼뱅주의자들은 루터교도들이 프로테스탄트 정신을 배신한 자들이요 정치적으로 화해할 수 없는 자들이라고 비난했다.

 

독일어 원문: Die Lutheraner blieben jedoch loyal gegenüber der Stadtregierung und schlugen sich auf die Seite der Katholiken. Die Calvinisten, die sich nun zurückziehen mussten, sahen dies als Verrat an der protestantischen Sache seitens der Lutheraner an und hielten sie auch weiterhin für politisch unzuverlässig.

 

sich auf die Seite A schlagen = A 편에 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