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마가는 역사 지리적-전기적 내러티브 본문과 케리그마적 호소를 확고하게 결합하고 십자가를 향한 예수의 길을 극적인 사건으로 묘사한다.(288)

 

마가는 사료 편찬적-전기적 내러티브 본문과 케리그마적 호소를 확고하게 결합하고 십자가를 향한 예수의 길을 극적인 사건으로 묘사한다.

 

독일어 원문: Indem Markus historiographisch-biographischen Erzähltext und kerygmatische Anrede fest verbindet und Jesu Weg zum Kreuz als dramatisches Geschehen darstellt, [...].

 

번역을 바로잡았다.

 

historiographisch = 사료 편찬의

 

 

508쪽의 번역을 볼 것:

 

역사 사료 편찬(Historiographie)은 무엇보다도 흩어져 있는 전승 파편에 의미 있는 맥락을 주입하는 예술이다.

 

Historiographie ist zuerst die Kunst, verstreuten berlieferungsfragmenten einen bedeutungsvollen Zusammenhang einzustift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볼터(M. Wolter)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이 다음과 같이 서로 관련된다고 본다. “예수의 역사는 누가가 두 번째 책에서 설명하는 그의 증인들의 선포에서 재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증인들의 시간을 어느 정도 추월하며’, 누가의 해석에 따르면 예수의 역사는 예수 그리스도를 선포하고 믿는 도처에 현존한다.”(506)

 

볼터(M. Wolter)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이 다음과 같이 서로 관련된다고 본다. “예수의 역사는 누가가 두 번째 책에서 설명하는 그의 증인들의 선포에서 재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증인들의 시간을 어느 정도 추월하며’, 누가의 해석에 따른 예수의 역사는 예수 그리스도를 선포하고 믿는 도처에 현존한다.”

 

독일어 원문: Das Lukasevangelium und die Apg verhalten sich dabei nach M. Wolter folgendermaßen: „Die Geschichte Jesu wird nicht nur in der Verkündigung durch seine Zeugen reaktualisiert, deren Geschichte Lukas im zweiten Buch erzählt, sondern sie ‚überholt‘ gewissermaßen die Zeit der Zeugen und ist in ihrer Deutung durch Lukas auch überall dort bleibend präsent, wo Jesus Christus verkündigt und geglaubt wird.“

 

번역을 바로잡았다.

 

in ihrer Deutung durch Lukas = in der Deutung der Geschichte durch Lukas

 

= 누가에 의한 그 이야기의 해석으로

 

 

아래, 예문을 참고할 것:

 

Johannes Beutler, Das Johannesevangelium: Kommentar, Freiburg im Breisgau 2013, 362.

 

참고 구절: 요한복음 12

 

29 곁에 서서 들은 무리는 천둥이 울었다고도 하며 또 어떤 이들은 천사가 그에게 말하였다고도 하니

30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이 소리가 난 것은 나를 위한 것이 아니요 너희를 위한 것이니라

31 이제 이 세상에 대한 심판이 이르렀으니 이 세상의 임금이 쫓겨나리라

32 내가 땅에서 들리면 모든 사람을 내게로 이끌겠노라 하시니

33 이렇게 말씀하심은 자기가 어떠한 죽음으로 죽을 것을 보이심이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사도행전이 바울의 전기는 아니지만, 사도행전을 상세한 서문을 지닌 바울의 역사로 볼 수도 있다.(507)

 

사도행전이 바울의 전기는 아니지만, 일종의 바울 전기를 담고 있다. 사도행전을 상세한 서문을 지닌 바울의 역사로 볼 수도 있다.

 

독일어 원문: Die Apostelgeschichte ist keine Paulus-Biographie, enthält aber eine; man kann „die Apostelgeschichte als Paulusgeschichte mit ausführlicher Einleitung“ lesen.

 

빠진 문장을 보완했다.

 

die Apostelgeschichte ist keine Paulus-Biographie

 

= 사도행전은 바울 전기가 아니다

 

die Apostelgeschichte enthält aber eine [Paulus-Biographie]

 

= 하지만 사도행전은 일종의 바울 전기를 지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M. Lang)은 누가의 바울 묘사에서 새로운 종교(religio nova)와 동시대의 문화 지식에 대한 이해/수용이 중심에 있음을 본다.(507)

 

(M. Lang)은 누가의 바울 묘사에서 새로운 종교(religio nova)의 생성과 동시대의 문화 지식 내의 새로운 종교 이해/수용이 중심에 있음을 본다.

 

독일어 원문: Für M. Lang steht das Entstehen einer religio nova und ihr Verstehen/ihre Rezeption innerhalb des zeitgenössischen Kulturwissens im Mittelpunkt der lk. Paulusdarstellung.

 

빠진 단어를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das Entstehen einer religio nova und ihr Verstehen/ihre Rezeption

 

= 새 종교의 생성과 새 종교의 이해/수용이

 

innerhalb des zeitgenössischen Kulturwissens

 

= 동시대 문화 지식 내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2) 비문의 증거들 외에 무엇보다도 필로(LegGai 18, 99, 231)와 요세푸스(Bell IV 618, 656)가 헬라의 황제 숭배의 틀에서 복음이 사용됨을 증거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복음들(εαγγέλια),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로 등극하는 것과 요세푸스에게 희생을 바치는 것 사이의 관계이다.(285)

 

(2) 비문의 증거들 외에 무엇보다도 필로(LegGai 18, 99, 231)와 요세푸스(Bell IV 618, 656)가 헬라의 황제 숭배의 틀에서 복음이 사용됨을 증거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복음들(εαγγέλια), 요세푸스 역사 기록에서 보는 바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로 등극하는 것과 등극 황제에게 제물을 바치는 것 사이의 관계이다.

 

독일어 원문: 2) Neben Inschriftenbelegen bezeugen vor allem Philo (LegGai 18.99.231) und Josephus (Bell IV 618.656) die Verwendung von εαγγέλιον im Rahmen hellenistischer Kaiserverehrung. Signifikant ist dabei der Zusammenhang zwischen εαγγέλια, der Erhebung Vespasians zum Kaiser und der Darbringung von Opfern bei Josephus.

 

번역을 바로잡았다.

 

bei Josephus = 요세푸스 저작에서

 

 

아래, 저자의 전거(典據)요세푸스의 유대인 전쟁사(Bell IV 618, 656)독일어 번역을 볼 것:

 

618 Von Vespasian bereits bevollmächtigt, alle Anstalten zur Befestigung der neuen Herrschaft zu treffen, machte sich Alexander nunmehr daran, auch seiner Person einen entsprechenden Empfang zu bereiten. Ueber Erwarten schnell verbreitete sich allerorts das Gerücht von dem im Oriente auftauchenden Kaiser: jede Stadt hielt Freudenfeste für diese Botschaft und brachte Bittopfer für das Wohl des Kaisers dar.

 

656 (5.) Die Freudenbotschaft über die Vorgänge in Rom erreichte den Vespasian, da er schon in Alexandrien war, wohin denn auch Gesandte aus dem gesammten, ihm jetzt unterstehenden Erdkreise kamen, um ihre Glückwünsche darzubringen. Obschon die größte Stadt nach Rom, erwies sich doch Alexandria für diese Massen als zu klein.

 

https://de.wikisource.org/wiki/Juedischer_Krieg/Buch_IV_8-11

 

 

한국어 번역: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유대 전쟁사 1(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226), 박찬웅·박정수 옮김, 나남, 2008.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유대 전쟁사 2(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227), 박찬웅·박정수 옮김, 나남, 20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