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엠덴과 프랑크푸르트와 같은 도시들은 다른 지방(주정부) 출신의 망명자들을 받아들임으로써 그들의 경제적·세계시민적 영향력을 증대시켰다. 공부하려는 학생들이나 학문활동을 하는 교사들, 교회를 섬기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신앙적 확신 때문에 자신들의 조국을 떠나야만 했다.(28)

 

엠덴과 프랑크푸르트와 같은 도시들은 다른 나라 출신의 망명자들을 받아들임으로써 그들의 경제적·세계시민적 영향력을 증대시켰다. 공부하려는 학생들이나 학문활동을 하는 교사들, 교회를 섬기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신앙적 확신 때문에 자신들의 조국을 떠나 피해야만 했다.

 

독일어 원문: Städte wie Emden und Frankfurt am Main steigerten durch die Aufnahme der Flüchtlinge aus anderen Ländern ihre wirtschaftliche und kosmopolitische Ausstrahlung. Studierende und akademische Lehrer, aber auch im Dienst der Kirche Stehende, die wegen ihrer Glaubensüberzeugung ihr Land verlassen und fliehen mussten, [...]

 

aus anderen Ländern = 다른 나라들에서 온

 

Land = 여기서는, ‘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스트라스부르크에서는 이 도시교회 설교자의 부인인 카타리나 젤(Katharina Zell)1523년 최초의 개신교 목사의 아내 중 한 사람이 되었다. 동시에 그녀는 아주 중요한 개신교 시사평론가로 활약했다. 그녀는 공개적으로 가톨릭 성직자들의 독신제도를 폐기하라고 주장했다. [...] 그녀는 신앙 때문에 망명하는 사람들에게 물질적인 도움뿐만 아니라 위로의 편지로 그들을 돕는 일에도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 또한 보헤미아 형제단의 영성이 짙은 찬송가를 출간하였으며, 평화적인 재세례파 사람들을 공개적으로 처형하는 것에 반대하였다.(27)

 

스트라스부르에서는 이 도시교회 설교자의 부인인 카타리나 젤(Katharina Zell)1523년 최초의 개신교 목사의 아내 중 한 사람이 되었다. 동시에 그녀는 아주 중요한 개신교 문필가 활약했다. 그녀는 공개적으로 가톨릭 성직자들의 독신제도를 폐기하라고 주장했다. [...] 그녀는 신앙 때문에 망명하는 사람들에게 물질적인 도움뿐만 아니라 위로의 편지로 그들을 돕는 일에도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 또한 보헤미아 형제단의 영성이 짙은 찬송가를 출간하였으며, 평화적인 재세례파 사람들을 공개적으로 박해하는 것에 반대하였다.

 

독일어 원문: In Straßburg wurde Katharina Zell 1523 nicht nur als Ehefrau des Predigers am Straßburger Münster eine der ersten evangelischen Pfarrfrauen, sondern auch eine bedeutende reformatorische Publizistin. Sie verteidigte öffentlich die Aufhebung des Zölibats [...] Sie engagierte sich für Glaubensflüchtlinge nicht nur durch praktische Hilfe, sondern auch mit Trostbriefen. Sie veröffentlichte ein Liederbuch, das von der Spiritualität der Böhmischen Brüder geprägt war, und verteidigte die friedfertigen Täufer gegen öffentliche Hetze.

 

Publizistin = 여기서는, ‘문필가

 

Hetze = 박해, 비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종교개혁자들은 단순히 교회의 교회적 삶과 교회의 교리를 갱신하는 일에만 매진한 것이 아니라 구제와 사회사업, 예컨대 가난한 자를 돌보는 일, 병원에서 봉사하는 일, 유랑민을 보호하고 돌보는 문화를 개선하는 일에도 정진하였다.(1522년 뉘른베르크에서 생겨난 자선운동이 그 한 예이다.) 종교개혁자들은 가난한 자를 돌보기 위한 구제헌금을 교회의 영역에 한정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했다.(25)

 

종교개혁자들은 단순히 종교적 삶과 교리를 갱신하는 일에만 매진한 것이 아니라 구제와 사회사업, 예컨대 가난한 자를 돌보는 일, 아픈 사람을 돕는 일, 고아를 보호하고 돌보는 문화를 개선하는 일에도 정진하였다.(1522년 뉘른베르크에서 생겨난 자선운동이 그 한 예이다.) 종교개혁자들은 가난한 자를 돌보기 위한 구제헌금을 교회의 영역에 한정하지 않고 교회 밖 영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독일어 원문: Die Reformatoren strebten nicht nur eine Erneuerung des kirchlichen Lebens und der kirchlichen Lehre an, sondern auch eine Verbesserung der Kultur des Helfens, der Diakonie, z. B. der Armenfürsorge, des Dienstes an den Kranken und der Betreuung von Waisen (vgl. die Almosenordnung von 1522 in Nürnberg). Die Reformatoren transferierten die Armenfürsorge weitgehend aus dem kirchlichen Bereich in den weltlichen.

 

A weitgehend aus dem kirchlichen Bereich in den weltlichen [Bereich] transfertieren

 

= A를 교회 영역에서 세속 영역으로 확대하다

 

weltlich = 여기서는, ‘세속적인’, ‘비종교적인

 

아울러, 단어와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종교개혁이 수용되면서 여러 곳에서 교회의 규례들이 생겨났다.[1525년 슈트랄준트에서 용한네스 에피누스(Johannes Aepinus)에 의해 가장 먼저] 그리고 교리문답은 신도들에게 삶과 교리에 관한 믿을 만한 지침을 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루터의()교리문답서()교리문답서(1528/29),하이델베르크 소()요리문답서(1563)와 토머스 크랜머(Thomas Cranmer)공동기도서(1549)는 시간이 흐르면서 전 세계에 확산되어 가장 오래 그리고 가장 많이 팔리는 종교서가 되었다.(25)

 

종교개혁이 수용되면서 여러 곳에서 교회의 규례들[1525년 슈트랄준트에서 용한네스 에피누스(Johannes Aepinus)에 의해 가장 먼저] 그리고 교리문답이 생겨났다. 이는 신도들에게 삶과 교리에 관한 믿을 만한 지침을 주기 위함이었다. 루터의()교리문답서()교리문답서(1528/29),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1563)와 토머스 크랜머(Thomas Cranmer)공동기도서(1549)는 시간이 흐르면서 전 세계에 확산되어 가장 오래 그리고 가장 많이 팔리는 종교서가 되었다.

 

독일어 원문: Mit der Einführung der Reformation entstanden an vielen Orten Kirchenordnungen (die erste schon 1525 von Johannes Aepinus in Stralsund) und Katechismen, um dem Leben und der Lehre zuverlässig Orientierung zu geben. Luthers Kleiner Katechismus und sein Großer Katechismus (1528/29) sowie der Heidelberger Katechismus (1563), aber auch Thomas Cranmers Book of Common Prayer (1549) wurden im Laufe der Zeit auf der ganzen Welt verbreitete geistliche Long- und Bestseller.

 

Kirchenordnungen [...] und Katechismen entstanden, um A zu

 

= A를 위해 교회규례들과 교리문답들이 생겨났다

 

아울러, 책제목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24-25:

 

“1520년의 공개 혹은 반()공개로 이루어진 모든 논쟁에서는 구()교도들이[옛 신앙에 매여 있는 신도들] 패배한 후 떠났다.”(페터 블리클레, 메밍겐)

 

“1520년의 공개 혹은 반()공개로 이루어진 모든 논쟁에서는 구()교도들이 [옛 신앙에 매여 있는 신도들] 패배한 후 떠났다.”(메밍겐 도시에 관한 페터 블리클레의 언급)

 

독일어 원문: In allen öffentlich oder halböffentlich geführten Disputationen in den 1520er Jahren verließen die Altgläubigen [die am alten Glauben Festhaltenden] geschlagen das Feld (Peter Blickle zu Memmingen).

 

Peter Blickle zu Memmingen

 

= 메밍겐 도시에 관한 페터 블리클레의 언급

 

 

• 독일 역사학자, 페터 블리클레(1938-2017)의 언급은 다음 문헌을 참고할 것:

 

Peter Blickle, Memmingen - ein Zentrum der Reformation, in: Joachim Jahn (Hg.), Die Geschichte der Stadt Memmingen, 1.Bd., Stuttgart 1997, 349-4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