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시 당국은 1531년 그[=볼프강 모이슬린]를 성 십자가 교회의 설교자로 임명했다. 그곳에서 그는 1537년까지 설교했다. 이 시기는 시 개혁의 시기, 즉 신학자들과 평신도, 그리고 조합과 시 당국의 투쟁 속에서 교회를 바로 세우는 시기였다.(58)

 

시 당국은 1531년 그[=볼프강 모이슬린]를 성 십자가 교회의 설교자로 임명했다. 그곳에서 그는 1537년까지 설교했다. 이 시기는 () 주도 종교개혁 시기, 즉 신학자들과 평신도, 그리고 길드와 시 당국의 투쟁 속에서 교회를 바로 세우는 시기였다.

 

독일어 원문: Der Rat berief ihn 1531 nach Hl. Kreuz, wo er bis 1537 predigte. Es war die Zeit der Ratsreformation: Aufbau des evangelischen Kirchenwesens im Ringen von Theologen und Laien, den Zünften und dem Rat.

 

Ratsreformation = 결의(決議) 종교개혁, 관료 종교개혁

 

= 대의(代議) 기관의 결의에 의해 시행되는 관료 주도의 위로부터의종교개혁.

 

이와 대립되는 개념 = Volksreformation

 

= 아래로부터의 일반 백성이 주도하는 종교개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볼프강 뮈슬린(Wolfgang Mäuslin, 무스쿨루스는 뮈슬린의 라틴어 이름이다.)은 평민 출신으로 일찍이 엘사스(Elsass) 지방의 인문주의에 공감했으며, 락스하임(Lixheim) 수도원에서 베네딕트회의 수도사로 살았다.(1512-27) [...] 그는 수도사 생활을 청산하면서 직공(職工)으로 일했다. 부처와 카피토는 무스쿨루스를 엘사스 지방의 도들리스하임(Dorlisheim)의 설교자로, 1528년에는 스트라스부르크 대성당의 부제(副祭, Diakon)로 세웠다.(57)

 

볼프강 모이슬린(Wolfgang Mäuslin, 무스쿨루스는 모이슬린의 라틴어 이름이다.)은 평민 출신으로 일찍이 알자스(Alsace) 지방의 인문주의에 공감했으며, 락스하임(Lixheim) 수도원에서 베네딕트회의 수도사로 살았다.(1512-27) [...] 그는 수도사 생활을 청산하면서 직공(織工)으로 일했다. 부처와 카피토는 무스쿨루스를 알자스 지방의 도들리스하임(Dorlisheim)의 설교자로, 1528년에는 스트라스부르 대성당의 부목사(Diakon)로 세웠다.

 

독일어 원문: Wolfgang Mäuslin (lat. Musculus) kam aus einfachen Verhältnissen. Geprägt war er vom elsässischen Humanismus, vom benediktinischen Leben im Kloster Lixheim (1512-1527), [...]. Dorthin war er nach dem Klosterleben gezogen, hatte geheiratet und als Weber gearbeitet. Bucer und Capito machten ihn zum Prediger für Dorlisheim im Elsass, 1528 zum Diakon am Straßburger Münster.

 

Wolfgang Mäuslin = 볼프강 모이슬린

 

Elsass = Alsace = 알자스

 

Weber = 직공(織工)

 

한자에 주의할 것.

 

Diakon = 부목사

 

가톨릭이 아닌 종교개혁 시행 이후의 용어를 쓸 것.

 

 

 

볼프강 무스쿨루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 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55:

 

1525년 성 안나 교회에서 거행된 성찬식 광경. 이 그림은 빵과 포도주가 함께 배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출처: Augustin Scheller, Chronica Ecclesiastica Augustana, 1744. 아우크스부르크 시립도서관과 국립도서관에 소장된 필사본

 

1525년 성 안나 교회에서 거행된 성찬식 광경. 이 그림은 빵과 포도주가 함께 배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출처: Augustin Scheller, Chronica Ecclesiastica Augustana, 1744. 아우크스부르크 ()시립도서관 소장된 필사본

 

독일어 원문: Das Abendmahl in beiderlei Gestalt 1525 in St. Anna. Illustration aus: [Augustin Scheller], „Chronica Ecclesiastica Augustana‟, 1744 Handschrift der Staats- und Stadtbibliothek Augsburg

 

Staats- und Stadtbibliothek Augsburg = 아우크스부르크 주()시립도서관

 

Staat = 여기서는, ‘()’

 

201212월부터 바이에른 주() 귀속 도서관

 

다음 사이트를 볼 것:

 

https://www.sustb-augsburg.de/index.php?id=48

 

https://de.wikipedia.org/wiki/Staats-_und_Stadtbibliothek_Augsburg

 

 

 

아우크스부르크 주()시립도서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탁발교단은 비록 교구는 없지만 종교개혁 사상을 폭넓게 받아들였다. 카르멜 수도원(Karmeliterkloster) 소속인 성 안나 교회는 수도원장 요한 프로쉬(Johann Frosch)의 통솔하에 루터를 따른다고 천명했다. 시는 1523년 추가적으로 울반 레게우스(Urban Rhegius)를 설교자로 임명했다. 1523 성 안나 교회에서는 빵과 포도주 모두를 분배하는 성찬식이 거행되었다. 요한 쉴링(Johann Schilling)은 맨발교회(Barfüßerkirche)의 프란체스코 수도사들에게 정치적인 어조로 시 당국에 문제가 있다고 설교했다.(54)

 

탁발수도회는 비록 교구는 없지만 종교개혁 사상을 폭넓게 받아들였다. 성 안나 가르멜 수도원(Karmeliterkloster) 요한 프로쉬(Johann Frosch)의 수도원장 재임 시 루터신학의 아성으로 간주되었다. 시는 1523년 추가적으로 우르반 레게우스(Urban Rhegius)를 설교자로 임명했다. 1525 성 안나 교회에서는 빵과 포도주 모두를 분배하는 성찬식이 거행되었다. 요한 쉴링(Johann Schilling)은 맨발교회(Barfüßerkirche)의 프란체스코 수도사들에게 정치적인 어조로 시 당국에 문제가 있다고 설교했다.

 

독일어 원문: Die Bettelorden wurden zu weiteren Türöffnern reformatorischer Ideen, auch wenn sie keine Pfarrei hatten. Das Karmeliterkloster St. Anna profilierte sich unter dem Prior Johann Frosch als lutherische Hochburg. 1523 stellte der Rat zusätzlich Urban Rhegius als Prediger ein. 1525 gab es in St. Anna das Abendmahl in beiderlei Gestalt. Bei den Franziskanern in der Barfüßerkirche predigte Johann Schilling derart politisierend, dass sich die Ratsobrigkeit in Frage gestellt sah.

 

성찬 시행 연도를 바로잡았다.

 

 

Bettelorden = 탁발수도회

 

Karmeliterkloster St. Anna = 성 안나 가르멜 수도원

 

성 안나 교회는 이 수도원의 부속 교회.

 

sich als A profilieren = A로 명망을 얻다, 인정받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1523811일 시의회가 거룩한 복음과 하나님의 말씀이외의 다른 것을 설교하는 것을 금지시켰을 때, 평신도들은 설교할 수 있는 권한도 갖게 되었다. 1524년 성 게오르크 교회 근처의 빈민가에서는 요한 자이프리트(Johann Seifried)가 교구민(敎區民)에 의해 선발되고 조합초빙을 받았다.(54)

 

1523811일 시의회가 거룩한 복음과 하나님의 말씀이외의 다른 것을 설교하는 것을 금지시켰을 때, 평신도들도 설교 담당자를 임명하는데 관여했다. 그래서 1524년 성 게오르크 교회 빈민가에서는 요한 자이프리트(Johann Seifried)가 교구민(敎區民)에 의해 선발되고 길드청빙을 받았다.

 

독일어 원문: Als der Rat am 11. August 1523 verbot, etwas anderes zu predigen als das „hailig Evangelium und das gotzwort‟, griffen die Laien auch zur Besetzung von Predigerstellen. So wurde im Armenviertel bei St. Georg 1524 Johann Seifried vom Pfarrvolk gewählt und von der Zeche berufen.

 

griffen die Laien auch zur Besetzung von Predigerstellen

 

= 평신도들도 설교 담당자를 임명하는데 관여했다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