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들이 기숙사에서 합숙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생리(월경) 주기는 같아질까? 이 말이 사실이라면 A라는 여성이 생리를 하면 그녀와 같이 사는 A의 친구 B도 생리를 한다. 1971년 미국의 생물학자 마사 매클린톡(Martha McClintock)과 캐서린 스턴(Catherine Stern)은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여자들이 함께 살면 생리 주기가 비슷해진다’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두 학자는 대학교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135명의 여학생의 생리 주기를 조사한 결과 이들이 거의 같은 시기에 생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마사 매클린톡은 여성들의 생리 주기를 일치하게 만든 원인이 페로몬(pheromone)이라고 주장했다. 땀 속에 페로몬이 있는데, 이 화학 물질이 공기 중으로 퍼지면 같이 사는 여자의 코로 향한다. 코는 페로몬을 ‘화학적 신호’로 받아들인 다음, 그 신호를 해독해서 생리를 일으키는 정보를 확인한다. 페로몬 속에 있는 정보를 인식한 여자의 몸은 페로몬을 발산한 여성의 생리 주기에 맞추려고 한다. 이 현상을 ‘생리 동기화(Menstrual synchrony, 또는 월경 동기화)’라고 한다. 동기화(同期化)란 두 개의 개체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같은 주기로 운동하는 현상이다. 생리 동기화는 발견자의 이름이 붙여진 ‘매클린톡 효과’라고 부르기도 한다.
* 정재승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복잡한 세상 명쾌한 과학》 (개정 증보 2판, 2020, 어크로스)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제4악장’ 편에 <박수의 물리학>이라는 제목의 글이 있다. 이 글의 주제는 동기화(synchronization)다. 책의 저자 정재승 교수는 이 글의 초반부에 매클린톡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면서 동기화 현상에 관해 설명한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여성의 생리 주기는 일정한 주기를 가진 운동이다. 여성들의 겨드랑이에 나온 땀에 호르몬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이 생리 동기화를 일으키는 매개체다.
* [절판] 스티븐 스트로가츠 《동시성의 과학, 싱크 Sync: 혼돈스런 자연과 일상에서 어떻게 질서가 발생하는가?》 (김영사, 2005)
이 글에 동기화 현상을 컴퓨터로 확인한 스티븐 스트로가츠(Steven Strogatz)가 언급된다. 《동시성의 과학, 싱크 Sync》(Sync: the emerging science of spontaneous order, 2003)는 국내에 처음 선보인 그의 책이다. 스트로가츠는 이 책에서 우리 주변에 있는 다양한 동기화 현상을 제시하는데, 여기에 매클린톡 효과도 포함되어 있다.
* [절판] 티나 캐시디 《출산, 그 놀라운 역사》 (후마니타스, 2015)
‘출산 문화의 역사’라는 주제를 다룬 책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출산, 그 놀라운 역사》는 좋든 나쁘든 인류 탄생과 아주 밀접한 출산 문화의 과거와 현재를 보여준다. 이 책의 저자는 쿠바드 증후군(Couvade syndrome)의 여러 가지 원인 중 하나로 친밀한 부부의 호르몬 수치 변화가 같아지는 현상을 제시한다. 그는 이 현상이 매클린톡 효과가 유사하다고 생각하는데, ‘자매, 수녀, 친한 동료처럼 매일매일 함께하는 여성들이 매달 거의 비슷한 시기에 월경을 한다’고 주장한다(379쪽).
대다수 여성은 ‘매클린톡 효과’라든가 ‘생리 동기화’를 들어본 적이 없어도, 함께 생활하는 친구와 생리 주기가 비슷해지는 경험을 한 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이 신기한 경험을 잊지 못한 여성들은 매클린톡 효과를 여성의 우정과 연대감을 보여주는 생리적 징표로 여기고 싶을 것이다. 또 누군가는 성차별적 관용어 ‘여자의 적은 여자’에 반박하기 위해 매클린톡 효과를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매클린톡 효과는 ‘과학적 회의주의’라는 필터를 거쳐야 하는 가설로 남아 있어야 한다. 중요한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매클린톡 효과의 인과관계를 증명할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 1980년대부터 여러 과학자가 매클린톡 효과를 재현하는 실험을 수행했고, 페로몬과 생리 동기화의 연관성에 반박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매클린톡 효과를 비판하는 과학자들은 생리 동기화가 ‘우연의 일치’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 마르탱 뱅클레르 《나는 여자고, 이건 내 몸입니다: 여성의 몸과 건강에 관한 사소하지만 절실한 질문과 답변》 (교양인, 2022)
* 프랑스 카르프, 카트린 조르주와이오 《완경기, 그게 뭐가 어때서?: 초경에서 완경까지 내 몸으로 쓰는 일기》 (도서출판 온, 2019)
* 엘리즈 티에보 《이것은 나의 피: 익숙하고 낯선 생리에 관한 거의 모든 이야기》 (클, 2018)
페미니스트와 여성의학 전문가들은 월경을 부정적인 편견(생리혈은 더럽다)으로 바라보게 만들고, 이를 금기하는 사회적 분위기(생리하는 날을 ‘그날’이라고 부르는 것)에 꾸준히 문제 제기해왔다. 그들도 과학적 증거가 빈약한 매클린톡 효과를 부정한다.
페미니스트 기자 엘리즈 티에보(Élise Thiébaut)는 생리에 관한 부정적 편견과 잘못된 인식을 깨뜨리기 위해 《이것은 나의 피》를 썼다. 이 책에 그녀는 매클린톡 효과를 소개하면서도 그것에 대해 ‘과학이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194~195쪽)’라고 말한다. 그뿐만 아니라 매클린톡 효과와 상반되는 연구 결과들도 언급한다. 1992년 미국의 인류학자 H. 클라이드 윌슨 주니어(H. Clyde Wilson Jr.)는 매클린톡의 연구 방법이 잘못되었으며 생리 주기가 예측 불가능하게 나타난다고 밝혔다.
《완경기, 그게 뭐가 어때서?》는 두 명의 프랑스 출신 기자가 함께 쓴 책이다. 두 저자는 여성 언론지에 여성의 몸과 건강을 주제로 한 글을 써왔다. 이 둘 중 한 명이 매클린톡 효과에 관한 내용을 썼을 텐데, (누군지 알 수 없는) 저자에 따르면 여성을 포함한 인간에게는 생리 동기화와 관련된 화학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 그것을 해독할 능력도 없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책인 《나는 여자고, 이건 내 몸입니다》는 올해에 나온 책이다. 책의 저자 마르탱 뱅클레르(Martin Winckler)는 의사다. 그는 25년 동안 병원에 일하면서 수많은 여성 환자를 만났는데, 이를 계기로 여성의 건강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저자는 매클린톡 효과가 ‘낭설’이라고 말한다(54쪽).
매클린톡 효과는 과학적 회의주의 필터를 여전히 통과하지 못한 상태다. 그렇다고 해서 50여 년 전에 나온 연구 결과를 폐기해야 할까? 생리 동기화를 냉정하게 바라보는 과학계의 시선이 상식이 된 이상, 낡은 지식에 이별을 고하고 싶은 사람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매클린톡 효과는 버려야 할 지식이 아니라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한 ‘가설’이다.
정재승 교수의 <박수의 물리학>은 ‘과학 콘서트에 연주된 4악장’에서 생긴 ‘음 이탈(삑사리)’이다. 지금으로선 이 음 이탈(글 이탈?)이 거슬리긴 하지만, 개정 증보 3판이 나올 때까지 10년을 참아야 한다.[주] 10년 후에 나올 개정 증보 3판에 음 이탈이 나지 않은 글이 수록되길 고대한다.
[주] 10년 후에 다시 쓰게 될 《과학 콘서트》의 ‘20년 늦은 커튼콜’에는 다시 10년의 성과가 덧붙여질 것이다.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10년 늦은 커튼콜’ 중에서, 34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