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쓰는가 - 조지 오웰 에세이, 개정증보판
조지 오웰 지음, 이한중 옮김 / 한겨레출판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점  ★★★★  A-





문학과 정치는 의외로 친분이 두텁다. 문학은 특정 정당 정치와 정치인에 힘을 실어주는 지지자다. 종이 안에서 문자로 정치를 언급해 온 문학은 종이 밖으로 나오면 정치적인 목소리가 된다자신이 지지하는 정당과 정치인이 부당하게 억압을 받으면 문학은 격렬하게 저항한다이럴 때 펜은 폭군이 쥔 칼보다 강한 무기로 변한다정치를 위해 펜을 꺾은 문학은 정치인이다. 정치에 지나치게 몰입한 문학은 독재자를 위한 나팔수.







조지 오웰(George Orwell)문학과 정치의 친밀한 관계의 장단점을 잘 알고 있는 작가다. 종이 안에서 작가로 살아온 그는 정치를 자주 말했고, 정치적인 견해를 솔직하게 밝혔다. 하지만 오웰의 문학 속에 있는 정치는 종이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종이 밖으로 나온 오웰은 펜을 든 작가가 아니었다. 전체주의와 비민주적인 정치에 맞서 싸우기 위해 총을 든 저항군이었다.


오웰은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여 프랑코(Francisco Franco)의 파시스트 정권에 대항했다. 파시스트를 비판하는 유럽의 지식인들이 스페인에 모여 반()파시스트 저항군을 결성했다. 하지만 그들의 결속은 오래가지 못했다. 반파시스트 저항군 안에서도 파시즘이 꿈틀대고 있었다. 반파시스트 저항군에게 합류한 공산주의자들은 스탈린(Joseph Stalin)을 지지했다. 그들은 스탈린의 독재 정치를 외면했고, 이를 비판하는 사회주의자와 트로츠키(Leon Trotsky) 지지자들을 탄압했다. 사회주의자인 오웰은 저항군 안에서 일어난 갈등과 내전을 르포르타주 카탈로니아 찬가(Homage to Catalonia)에서 상세히 밝혔다. 스페인 내전은 오웰의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사건이다.


오웰은 문학과 정치가 어울려 지내는 것을 인정했지만, 정치에 아부를 떠는 문학을 비판했다. 정치가 문학을 송두리째 집어삼키면 표현의 자유를 없애는 거대한 검열관이 된다오웰은 나는 왜 독립노동당에 가입했나라는 글에서 정치에 거리를 두려는 충동을 느낀 작가는 평화롭게 책을 쓰는 데 전념한다고 했다정치에 굴복한 문학을 경멸하는 작가는 문학과 정치를 철저히 분리하려고 애쓴다오웰은 펜에 좀 더 힘을 주면서 나는 왜 쓰는가에서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강조한다. 이 글에서 그는 예술(문학)과 정치와 무관해야 한다는 의견 자체가 정치적 태도라고 말한다. 오웰은 정치에 무관심한 문학도 경계한다. 흐리멍덩한 문학은 표현의 자유를 조용히 죽이는 정치를 찬양한다. 자신들의 펜을 옥죄는 상황임을 모르는 것도 문제지만, 알면서도 침묵하는 태도가 더 심각하다. 문학이 정치를 외면할수록 전체주의와 독재에 찔러야 할 펜 끝이 무뎌진다. 오웰의 정치적인 글쓰기는 불의를 감지하는 순간 시작된다.


오웰은 파시즘을 지지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한 작가들을 언급하면서 비판한다지금도 독자들에게 영향을 주는 작가들만 언급하자면 미국의 시인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 타임머신투명 인간을 쓴 작가로 유명한 H. G. 웰스(Herbert George Wells), 탐정 브라운 신부(Father Brown)’ 시리즈를 쓴 영국의 추리소설 작가 G. K. 체스터턴(G. K, Chesterton) 등이 있다문학과 정치를 분리하려는 독자들은 정치색이 짙은 문학을 피한다. 이들은 파시즘과 제국주의를 찬양하거나 간접적으로 지지한 작가의 글을 거부한다. 글을 잘 쓴다고 해도 자신과 정치적 견해와 정반대인 작가는 반갑지 않다. 그러나 오웰은 비뚤어진 정치에 고개를 푹 숙인 작가들을 비판하면서도 그 작가들의 문학적 성취는 인정한다.


작가의 정치적 견해에 동의하는 반응과 작가의 문학을 즐기는 행위가 일치한다고 믿는 독자라면 정치 대 문학: 걸리버 여행기에 대하여(약칭 정치 대 문학’)를 읽어야 한다. 걸리버 여행기를 쓴 작가로 유명한 조너선 스위프트(Jonathan Swift)는 당대 영국 정치를 비판하는 팸플릿도 썼다. 어린이를 위한 동화로 알려진 걸리버 여행기는 사실 18세기 영국 사회와 정치를 풍자한 소설이다. 오웰은 스위프트의 정치적 견해에 동의하지 않지만, 여덟 살부터 처음 읽은 이후로 여섯 번 이상 읽었다는 걸리버 여행기를 극찬한다. 오웰은 문학을 감상할 수 있는 자유를 강조한다. 글에서 드러난 작가의 정치색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분노하게 되면 그 작가의 문학적 매력과 글의 장점을 즐기지 못한다(정치 대 문학, 358).


작가와 리바이어던(Writers and Leviathan)정치적인 시대를 살아가는 작가들에게 전하는 충고와 같은 글이다. 리바이어던은 성경에 나오는 괴물이다. 오웰은 문학을 침범하는 정치와 이데올로기를 이 괴물로 비유한다오웰은 작가의 정치적 활동을 독려하면서도 정당을 위해서 글을 쓰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한다. 정당이 공유하는 이데올로기를 찬양하는 글쓰기는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죽이는 일이다문학을 비굴하게 만드는 정치는 위험하다그렇다고 해서 문학과 정치를 못 만나게 할 수 없다


문학과 정치가 잘 협력하면 훌륭한 예술 작품이 나온다. 오웰은 자신의 대표작 동물농장정치적 목적과 예술적 목적을 융합해 보려고 시도한 소설이라고 했다(나는 왜 쓰는가, 325). 오웰은 문학과 정치를 결합한 새로운 소설을 쓰고 있다고 밝히면서도, 이 작품은 실패작이 될 거로 생각했다. 하지만 그의 예측은 빗나갔다. 개인의 삶을 억압하고 파괴하는 전체주의의 위력을 암울하게 보여준 1984는 성공했다.













오웰의 에세이 선집 나는 왜 쓰는가15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단장했다구판[주1]에 수록된 에세이는 총 29. 이번 개정 증보판에는 국내에 처음 소개된 에세이 2이 추가되었다사진 도판의 배치가 달라졌다. 구판에 실린 도판들은 갓난아기부터 말년까지 오웰의 모습이 남아 있는 사진들과 글이 써진 시대적 배경을 보여주는 역사 자료와 같은 사진들이다구판의 사진 도판은 글 중간에 삽입되어 있었다. 개정 증보판에서는 사진 도판이 책 마지막에 나온다. 그런데 구판에 있었던 사진 도판 몇 개가 빠졌다.






[1] 나는 왜 쓰는가구판 

서평 <나는 왜 조지 오웰을 읽는가>

2010111일 작성

https://blog.aladin.co.kr/haesung/4234956







<cyrus가 만든 주석과 정오표>



* 134




 

 그의 책 역사 개괄[주2]에서 가장 큰 악한은 군인 모험가인 나폴레옹이다.

 


[주2] 인용한 문장은 웰스, 히틀러 그리고 세계 국가에 나온다. 역사 개괄 H. G. 웰스가 쓴 책이다. 원제는 <Outline of History>. 1920년에 출간된 세 권짜리 책이다. 지구의 기원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의 세계사를 연대순으로 정리한 책이다. 1922년에 웰스는 방대한 <Outline of History>를 한 권으로 요약한 <A Short History of the World>를 썼다. 이 책의 국역본은 총 세 권이다. 


* 《웰스의 세계 문화사(지명관 옮김, 가람기획, 2003, 절판)


* 《H. G. 웰스의 세계사 산책: 세계 대문호와 함께 인류 문명의 위대한 역사를 걷다(김희주 · 전경훈 함께 옮김, 옥당, 2023)


* 《인류의 세계사: 생명의 탄생부터 세계 대전까지, 인류가 걸어온 모든 역사(육혜원 옮김, 이화북스, 2024).





* 205






정신분열증 환자 조현병 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술, 마음, 뇌 - 미술과 뇌과학에 관한 에세이
에릭 캔델 지음, 이한음 옮김 / 프시케의숲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점  ★★★★  A-





당신은 그림을 그리지 않아도 그림을 그릴 수 있다당신도 그림의 창작자다먼저 마음에 드는 그림에 다가가자. 완성된 그림은 창작자인 당신을 위한 캔버스다. 그림을 가만히 바라보라이제 당신의 마음이 움직일 때이다



그림에 당신의 느낌을 색칠하라

그림을 보면서 마음대로 느낀 것도 좋다

칠해라, 당신이 마음 내키는 대로.



그림을 그리기 전에 그림 속에 서성이고 있는 화가에 기죽지 말자화가와 눈을 마주쳐도 아는 척 하지 말자어떤 그림은 온통 화가의 생각으로 도배되어 있다. 당신이 화가를 좋아하더라도 그림에 칠해진 화가의 생각을 말끔히 지우시라. 화가에게 맞춰진 팬심은 당신의 창작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화가가 그림의 주인이라면 당신은 그림의 주인공이다



창작자는 그림을 소유할 수 없지만

그림을 무궁자재(無窮自在) 그릴 수 있다

창작자가 새로 그린 그림은 무궁화(無窮畵).



무궁화는 화사하다. 창작자의 그림은 특별하다. 그 속에 화가가 처음에 그림을 그리면서 느끼지 못했던 새뜻한 아름다움이 피어 있다.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그려도 된다얼마든지 새로 그릴 수 있다. 당신의 느낌을 칠해라당신이 마음 내키는 대로. 그러면 무궁화는 매일매일 새로운 매력을 드러낸다.


미국의 뇌과학자 에릭 캔델(Eric Kandel)은 미술에 조예가 깊다. 그의 관심사이자 연구 주제는 우리가 미술을 경험하는 방식이다미술을 경험하는 것은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활동을 뜻한다그러나 미술관에서 작품을 보면서 즐거웠던 경험이 없으면 작품 감상을 어려워한다미술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가진 사람은 자신은 절대로 예술과 친해질 수 없다고 단정한다. 2016년에 나온 그의 책 어쩐지 미술에서 뇌과학이 보인다(이한음 옮김, 프시케의숲, 2019)난해한 현대 추상 미술이 의외로 우리 뇌와 친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주1]


캔델은 추상 미술이 우리 뇌를 멈추게 할 정도로 어렵지 않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뇌는 난해한 예술 작품을 만나면 평소보다 더 분주하게 움직인다. 뇌는 어려운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 끊임없이 생각한다. 그러면서 어려운 예술 작품을 만나면 눈을 제대로 못 마주치는 우리를 다독인다.


 

괜찮아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작품을 감상하는 것이 뭐 어때서

작품에 대해서 몰라도 돼


네가 과거에 경험했던 것을 떠올려 봐

그림을 보면서 느낀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해도 좋아.

 


이처럼 과거의 경험과 감정들을 모아서 정보를 해석하는 뇌의 반응을 뇌과학에서는 하향 처리(top-down processing)’라고 한다.


작년에 출간된 미술, 마음, 미술을 바라보고 즐길 줄 아는 뇌를 주제로 한 일곱 편의 글을 모아 놓은 책이다캔델의 국적은 미국이지만, 태어난 곳은 예술의 도시로 유명한 오스트리아의 빈(Wien)이다. 빈에는 나이가 젊고, 다양한 국적의 지식인과 예술가들이 모여들었다. 19세기 중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빈은 근대(modernism) 문화의 중심지였다. 오늘날 예술사가들은 1900(Wine 1900)’라고 부른다.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에곤 실레(Egon Schiele)는 빈 1900을 대표하는 예술가다이들은 전통을 과감히 거부하면서 새로운 예술을 선보였다보수적인 예술을 선호하는 대중과 비평가는 자유분방한 신진 예술가들을 못마땅하게 여겼지만, 이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는 지식인들과 동료 예술가들이 많았다.


저자가 주목하는 빈 1900의 매력은 예술과 학문을 구분 짓는 경계가 희미한 사회적 분위기이다. 빈의 예술가와 과학자들은 서로 어울리면서 생각을 자유롭게 주고 받았다1900에 활동한 미술사학자 알로이스 리글(Alois Riegl)예술과 과학의 만남을 주도했다. 그가 선호한 과학은 인간의 복잡미묘한 정신을 이해하기 위한 심리학이었다. 빈에서 활동한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자신이 정립한 정신분석학을 과학으로 여겼다. 리글은 개인의 무의식적 감정을 중시한 프로이트에게 공감했다. 그는 예술 작품을 보고 느끼는 감상자의 참여가 부족하거나 외면받으면 미술이 불완전한 상태로 발전된다고 주장했다. 예술은 예술가들의 머리와 손에서만 태어나지 않는다. 예술은 감상자를 만나야 한다. 감상자의 참여가 예술 작품을 완성한다. 미술과 심리학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춘 리글의 연구 주제는 그의 두 제자이자 미술사학자인 에른스트 크리스(Ernst Kris)에른스트 곰브리치(Ernst Gombrich)가 이어받는다


미술, 마음, 는 미술을 어려워하는 독자들을 자극하고, 영감을 준다. 우리는 무조건 화가에 대한 정보와 전시 해설가(docent)가 알려주는 지식에 끼워 맞추면서 감상할 필요가 없다. 계속 관련 연구를 해야 하겠지만뇌과학은 예술 작품을 만난 감상자의 뇌가 예술가의 뇌에서 일어나는 창작 과정을 재현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감상자의 참여는 예술 작품을 새롭게 해석하는 창작 행위이다. 감상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은 예술 작품을 다시 태어나게 하는 물감과 붓이다. 



그림에 당신을 색칠하라.

칠해라, 창작자가 된 감상자의 마음 내키는 대로.

마음대로 그림을 다시 그려 보자. 

미술관에 무궁화(無窮畵)를 피우자.






[주1] 어쩐지 미술에서 뇌과학이 보인다》 서평 

<어려운 추상 미술, 어떻게 감상해야 할까?>

2019510일에 작성

https://blog.aladin.co.kr/haesung/10848491

 







<cyrus가 만든 주석과 정오표>






* 32




 

 클림트는 서양 미술의 에로티시즘에 새로운 차원을 도입했다. 그는 감상자에게 전혀 신경을 쓰지 않은 채 실제 여성을 묘사했다. 전통적인 나체 그림은 세 가지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첫째, 그림 속 여성은 신화적 존재다. 비너스, 마이아(마하), 올랭피아[주2]



[주2] 신화적 존재는 현실의 인간이 아닌 상상의 인물, 즉 말 그대로이다. 비너스(Venus)는 로마 신화에 나오는 사랑의 신이라서 신화적 존재다. 그러나 마하(maja)와 올랭피아(Olympia)는 신화적 존재라 할 수 없다. 그녀들은 현실 속 여성이므로 근대적인 나체 그림으로 분류한다.






 

마하프란시스코 데 고야(Francisco de Goya)의 누드 그림 옷을 벗은 마하』(1798~1805년경)를 가리킨다마하는 18세기 스페인에 새로운 유행을 받아들이고, 옷을 세련되게 입는 젊은 여성을 뜻하는데, 젊은 남성은 마호(Majo)’라고 한다이 그림 속 여성의 정체에 대해 여러 가지 설이 많지만, 마하는 현실의 여성이다. 여신이 아닌 실제 여성의 몸을 그린 그림이라는 이유로 고야는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을 정도로 곤혹을 치렀다(참고 문헌: 프란시스코 데 고야, 이은희 · 최지영 함께 옮김, 고야, 영혼의 거울, 다빈치, 2011년, 27쪽)







     

고야의 마하 못지않게 유명한 누드 그림이 에두아르도 마네(Édouard Manet)올랭피아』(1863년). 그림 속 올랭피아는 매춘부. 올랭피아는 신화적 존재가 아니다. 이 그림이 공개되자 비평가와 언론인은 성스러운 여신이 아닌 매춘부를 떠올리게 하는 그림을 그렸다는 이유로 비난했다. 벌거벗은 여성의 정체는 프랑스 인상주의 화가들의 모델로 알려진 빅토린 뫼랑(Victorine Meurent)이다. 그녀도 화가였으며 그녀의 작품은 살롱에 여러 번 전시되기도 했다(참고 문헌: 제임스 H. 루빈, 하지은 옮김《그림이 들려주는 이야기: 한 권으로 보는 인상주의 그림, 마로니에북스, 2017년, 222~223쪽)







* 137





 


올림피아 올랭피아



마네의 그림 제목을 영어식으로 표기하면 올림피아. 그러나 올랭피아가 더 유명하고, 이 책의 32쪽에 올랭피아로 적혀 있기 때문에 그대로 써야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5-07-15 22: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에릭칸델은 세포나 신경에 관한 연구를 하는 의학자로만 생각했는데 미술과 같은 예술도 관심이 많은 분이었나봅니다. 오스트리아 출생은 잘 몰랐는데, 뇌과학이 예술을 이해하는 관점을 읽을 수 있을 것 같아서 나중에 한번 찾아보면 좋을 것 같아요.
cyrus님, 잘 읽었습니다. 편안한 하루 보내세요.^^

cyrus 2025-07-25 06:31   좋아요 1 | URL
미술 감상을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저는 이 책을 권하고 싶어요. ^^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점  ★★★★  A-





전 세계 고생물학자들이 모여서 영화 <쥐라기 공원>(Jurassic Park)을 다시 만든다고 상상해 보자이야기가 확 달라질 것이다. 1993년 원작 영화에 나오는 생물들이 몸집이 큰 공룡이라면, 고생물학자들이 만든 영화는 공룡과 포유류들이 동시에 등장한다공룡과 포유류가 같이 나오는 영화는 원작을 파괴한 것이 아니요, 과학적 오류도 아니다. 공룡은 해가 뜬 시간에 어슬렁거렸다. 포유류는 하루의 절반을 땅속에 지내다가 밤이 되면 마음껏 돌아다녔다공룡과 함께 살았던 포유류는 현재 포유류의 모습과 완전히 다르다. 포유류의 조상은 대체로 몸집이 작았다.


크기가 작은 포유류는 거대한 공룡에 비하면 평범하게 보인다. 그러나 작다고 무시할 수 없다. 포유류는 극단적으로 변하는 기후 변화에 잘 적응해서 살아남은 생물이다. 만약에 포유류마저 공룡과 함께 멸종했다면 인간은 지구에 나타나지 못했다. 인간은 스스로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로 부르면서 다른 동물종보다 슬기로운 존재(sapiens)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자신이 포유류라는 사실을 잊어버린다.


경이로운 생존자들을 쓴 저자 스티브 브루사테(Steve Brusatte)는 공룡을 좋아해서 연구한 고생물학자다. 그는 이 책을 쓰기 위해 공룡에 대한 애정을 잠시 접었고, 포유류에 집착하게 됐다. 공룡 박사는  왜 포유류를 좋아하게 되었을까? 포유류의 역사는 우리의 역사다. 수백만 년을 지구에서 살아온 인간의 역사는 포유류 역사의 끄트머리에 해당한다. 인간은 포유류와 다를 바가 없다. 인간과 포유류는 젖샘을 가지고 있다. 젖샘은 젖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고생물 하면 우리는 항상 공룡을 먼저 생각한다공룡을 좋아하는 우리는 공룡 프레임에 갇혀 있다지금까지 발굴된 고대 포유류 화석의 수가 공룡 화석보다 적은 편이라서 포유류 진화와 관련된 연구가 더디게 진행되었다공룡이 멸종된 이후에 포유류가 본격적으로 나타났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완전히 틀렸다고 볼 수 없지만, 고생물의 역사를 시대 구분(periodization)의 관점으로 바라보면 오랫동안 이어져 온 포유류의 진화 과정이 크게 주목받지 못한다. 고대 포유류는 공룡이 나타나기 훨씬 전부터 존재했다. 포유류 시대는 공룡 시대가 끝난 이후에 시작되지 않았다포유류의 조상은 32,500만 년 전에 등장했다. 이 시기는 고생대 석탄기에 속한다.


경이로운 생존자들인간을 위한 책이 아니며, ‘공룡을 위한 책도 아니다. 이 책에 나오는 공룡은 거대한 조연이다. 과거의 지구온난화는 고생물들에는 대재앙이었다. 우리는 고생물들을 위태롭게 만든 사건을 대멸종(extinction event)이라고 한다포유류는 다섯 번의 대멸종을 모두 경험했다. 페름기 대멸종(3차 대멸종)은 역대 대멸종 중 가장 피해가 심했다. 거대한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면서 생긴 백악기 대멸종(K-Pg 멸종: 백악기-팔레오세 멸종, 5차 대멸종)’은 공룡 시대를 끝낸 대멸종이다.


포유류는 대멸종으로 위기에 처한 지구에서 어떻게 끈질기게 살아남았을까포유류는 공룡보다 몸집이 작았다. 땅 밑에서 활동할 수 있는 신체 조건은 육상생물들을 괴롭힌 이상 기후를 피하는 데 유리했다. 그리고 포유류는 치아를 발달하면서 진화했는데, 치아 덕분에 풀과 곤충 등을 먹을 수 있었다. 잡식성은 생물이 튼튼하게 성장하는 데 이롭다. 반면 몸집이 큰 공룡은 예상하지 못한 기후 변화에 취약했다. 게다가 그들은 한 가지 음식만 먹었다. 육식 아니면 초식성이었다백악기 대멸종을 견딘 포유류는 지하 생활을 청산하고, 점점 몸집을 키우면서 진화했다.


저자는 백악기 대멸종으로 사라진 공룡을 희생자, 살아남은 포유류를 생존자로 비유하면서 포유류의 생존 비결을 치켜세운다. 비록 새를 제외한 모든 공룡은 사라졌지만(우리가 흔하게 보는 새는 살아있는 공룡이다), 기후 재앙에 적응하지 못해서 호락호락 당하기만 하는 아둔한 희생자는 아니었다. 공룡들도 어떻게든 살아남으려고 노력했다. 2006년에 미국에서 공룡이 지구온난화를 피하려고 만든 땅굴이 발견되었다. 땅굴 안에 있는 공룡 화석을 분석한 결과, 이 땅굴 주인은 백악기에 살았고, 큰 이구아나만한 크기의 초식공룡이었다.[주1]


경이로운 생존자들여러 갈래로 뻗은 진화의 경로에 잘 알려지지 않아서 잊어버린 고리(forgotten link)’[주2] 주목한다. ‘잊어버린 고리우리가 알아야 할 포유류의 역사. 저자는 이 책의 마지막 장에 자신의 기원을 고민하는 유일한 종인간이 어떻게 진화하는지 설명한다. 인간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6,000종 이상의 포유류 중 하나이다. 자신의 기원을 알고 싶어하는 우리가 고대 포유류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모르면 안 된다. 포유류의 역사를 모르거나 잊어버린다면 슬기롭지 않다





[주1] <“공룡, 지구온난화 피해 땅굴 팠다”> 서울신문, 2009717일 입력.


[2] 진화와 관련된 용어인 잃어버린 고리(missing link)’를 패러디해서 만든 단어다. ‘잃어버린 고리는 진화 경로의 중간 단계(과도기)이며 화석이 많이 발견되지 않은 시점을 뜻하기도 한다.

 






<cyrus가 만든 주석과 정오표>

 



* 47




 

 나는 해파리를 특히 좋아했다. 메이존크리크의 베테랑 화석 사냥꾼들은 경멸하듯 이것을 블롭(blob, 얼룩-옮긴이)’[주3]이라 불렀다.

 


[3] blob얼룩’과 방울’, ‘덩어리를 뜻하는 단어다. blob흐물흐물하거나 물컹물컹한 물질을 가리킬 때 쓰이기도 한다







blob을 대중에게 각인시킨 영화가 <블롭(The blob)>이다. 1958년에 나온 SF 공포 영화, 스티브 맥퀸(Steve McQueen)이 주연으로 나온다. 영화에 묘사된 블롭우주에서 온 괴물이다. 끈적끈적한 점액질로 이루어진 우주 괴물은 인간을 잡아먹는다.

 

공포 영화에서 끔찍한 형태로 나오는 우주 괴물 블롭, 화석 사냥꾼들이 흐물흐물하게 생긴 해파리를 경멸하듯이 대하는 반응을 겹쳐서 생각한다면 책에 나온 blob을 ‘(불쾌한)덩어리로 번역해도 된다.





* 60






 파충류가 아님에도 처음에는 파충류처럼 보였던 생명체들이 포유류 줄기 혈통을 따르는 동안 작은 체구에 털이 나 있고 뇌가 큰 온혈[4] 포유류로 모습을 바꾸어갔다.

 


[4] 이 책의 번역자는 온혈동물 냉혈동물이라는 낡은 용어를 자주 쓴다. 외부 기온과 상관없이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동물을 과거에는 온혈동물이라고 했으나 현재는 항온동물또는 정온동물이라고 쓴다. 이와 반대로 체온을 유지할 수 없어서 외부 기온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동물은 변온동물또는 외온동물이라고 한다. 과거에 사용된 용어는 온혈동물과 반대인 냉혈동물이었다정온동물과 변온동물에 대한 저자의 설명이 책의 107~108에 나온다.






* 286




 

 초음파 방향정위(echolocation)[5] 이용해 곤충을 잡아먹던 날개 달린 동물은 당연히 박쥐다.

 

[5] 반향정위(反響定位)’의 오자.






* 509~510

 

 키가 크고 우아하며, 다리와 척추, 목과 머리가 나란히 정렬되고 아치가 있는 두 발로 균형을 잡고 서는 이 새로운 인간적 특성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pithecus)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인간의 선조 중에서 가장 유명하다.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유명한 화석 중 하나가 그 대표로 있기 때문이다. 바로 루시(Lucy). 이 골격은 1974년에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되어 비틀스의 노래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에서 이름을 따왔다. 루시의 공동 발견자 도널드 요한슨(Donald Johanson)은 팀 화이트(Tim White)와 그 골격에 대한 초기 과학적 기술을 작성한 후에 책과 다큐멘터리를 통해 루시를 대중화하면서 경력을 쌓았다. [6]

 

 

[6] 1981년에 도널드 요한슨은 메이틀랜드 에디(Maitland Edey)와 함께 <Lucy: The Beginnings of Humankind>라는 책을 썼다. 루시를 대중에게 널리 알린 이 책은 이듬해에 미국 국립 도서상 과학 부문(U.S. National Book Award in Science)을수상했다. 1996년에 번역본 최초의 인간, 루시(이충호 옮김, 푸른숲, 절판)이 출간되었다










2011년에 출판사가 바뀐 루시, 최초의 인류(이충호 옮김, 진주현 해제, 김영사, 절판, 저자명은 도널드 조핸슨)가 재출간되었다. 역자는 구판과 같다. 그런데 개정판에 공저자 메이틀랜드 에디의 이름이 빠졌다







루시 공동 발견자 중 한 사람인 이브 코팡(Yves Coppens)이 쓴 책 루시는 최초의 인간인가: 무릎 화석이 우리에게 말하는 진실(한울림, 2002, 절판)에 출간된 적이 있다.





* 참고 문헌, 610





 

레베카 랙 사익스의 네안데르탈인(생각의힘, 2022) [주7]

 


[7] 정확한 제목은 네안데르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자와 장 우주의 가장 위대한 생각들 2
숀 캐럴 지음, 김영태 옮김 / 바다출판사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점  ★★★★  A-






양자물리학은 백지(白紙)와 같은 과학이다. 물리학자들은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양자역학을 설명한다. 그들은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계산해서 측정한다. 측정해서 나온 결과는 이며 실재(reality)’이다. 하지만 양자계에 속한 입자는 측정할 수 없다. 양자계의 입자는 위치와 운동량이라는 물질 고유의 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위치와 운동량 중 하나만 측정해도 양자계의 입자가 어떤 상태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불완전한 측정, 즉 예측만 가능하다. 측정 결과가 분명하지 않아서 물리학자들은 양자계의 입자에 대해서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한다양자물리학은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한 것들을 말끔히 지워버린다고전물리학으로 설명 가능한 실재라는 상식은 양자계에 들어서면 편견이 된다눈에 보이는 것들이 전부 실재라고 믿는 사람들은 양자물리학에 쉬이 접근하지 못한다.


양자물리학은 수많은 과학자를 알쏭달쏭하게 만든다. 그래도 양자물리학은 여전히 살아 있다. 올해로 양자물리학의 나이는 100살이다. 양자물리학은 하이젠베르크(Heisenberg), 막스 보른(Max Born), 파스쿠알 요르단(Pascual Jordan)이 함께 만든 행렬역학에서 시작되었다. 행렬은 수와 함수를 사각형 형태로 배열한 것이다.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슈뢰딩거(Schrödinger)입자가 파동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루이 드브로이(Louis de Broglie)의 견해에 영감을 얻어 파동역학을 제시했다. 파동역학의 핵심은 파동함수. 파동함수는 파동처럼 움직이는 입자의 상태를 방정식으로 표현한 것이다행렬역학과 파동역학은 처음에 서로 다른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두 개의 역학이 수학적으로 동등한 방식이라는 사실이 증명되면서, 이들을 통틀어 양자역학으로 부르게 되었다.


수학은 양자물리학이 태어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 산파다. 수학이 없었으면 행렬역학과 파동역학은 완성되지 못했다. 과학자들의 머릿속을 백지상태로 만들어버리는 양자물리학이 지금까지도 주목받는 이유는 수학이 양자물리학의 빈틈을 채워주기 때문이다.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숀 캐럴(Sean M. Carroll)이 진행한 온라인 강연 우주의 가장 위대한 생각들(The Biggest Ideas in the Universe)’물리학과 수학이 잇닿은 이론들을 소개한다작년에 나온 강연 1공간, 시간, 운동은 고전물리학에 해당하는 뉴턴역학(Newtonian mechanics, 뉴턴의 운동법칙: 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작용 반작용의 법칙)과 아인슈타인(Einstein)의 상대론 이론을 다룬다.[1] 2양자와 장(Quanta and Field)의 주제는 양자물리학과 양자장 이론이다전작과 마찬가지로 저자는 물리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학적 개념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리학자들은 연구하다가 생각이 꽉 막힐 때면 지푸라기를 잡는 심정으로 수학이 내민 손을 잡았다. 수학을 깊이 공부해 본 적이 없는 물리학자들은 수학에 선뜻 손길을 내밀지 못했다강연 1부에 소개된 아인슈타인은 중력이 물질을 끌어당기는 힘이 아닌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하기 위해 리만(Riemann)의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참고했다. 하지만 수학과 친분이 깊지 않은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을 수학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에 불만이 있었고, 리만 기하학을 전혀 알지 못했다. 그는 친구이자 수학자인 마르셀 그로스만(Marcel Grossmann)에게 리만 기하학을 배웠다양자역학 하면 가장 많이 언급되는 하이젠베르크는 행렬이라는 수학적 개념을 몰랐다. 그의 선배 동료인 막스 보른이 하이젠베르크의 양자역학에 행렬을 도입했다.


물리학 역사에서 언급된 수학은 중요하지만, 이해하기 쉽지 않은 조연 또는 어려워서 대충 보기만 하는 단역으로 취급받는다. 숀 캐럴의 물리학 강연은 수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1부와 마찬가지로 저자는 물리학 이론을 설명하기에 앞서 물리학 이론이 만들어지는 데 사용된 수학 개념과 수식들을 소개한다. 1부에 나온 수학 개념이 2부에 다시 나온다. 1부를 건너뛰고 2부를 먼저 읽거나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하지 않은 독자라면 숀 캐럴의 강연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내용이 어려운 책은 끝까지 읽지 않아도 된다. 양자와 장은 완독을 포기하게 만드는 어려운 책이다. 완독하지 못하더라도 이 책의 끝부분인 11장과 12장은 반드시 읽어봐야 한다(물론 두 장의 내용도 쉽지 않다). 11장에 저자는 독자에게 흥미로운 질문을 한다.

   


 원자는 왜 말랑말랑하지 않을까요? 어떻게 원자 집단을 모아서 단단한 물체로 만드는 것이 가능할까요? (323)



물질이 단단한 이유는 페르미온(fermion)이라는 입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페로미온 안에 아주 더 작은 입자들이 있다. 그중 하나가 쿼크(quark). 12장의 주제는 양자를 이해하기 전에 먼저 알아야 할 원자이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이라서 물질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두 개의 입자가 언급된다.


미국의 물리학자 파인먼(Feynman)은 복잡한 양자장 계산을 좀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파인먼 도형(Feynman diagram)을 고안하고, 양자전기역학(QED: Quantum Electro Dynamics)을 완성했다. 그런 과학자가 양자역학을 완벽히 이해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확신했다. 양자물리학은 과학자들도 모르는 과학 분야로 악명이 높다. 알면 알수록 물음표가 계속 늘어나기만 한다. 양자물리학을 연구해서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들이 많아도, 양자물리학 100주년을 맞이해서 양자물리학에 관한 책들이 계속 나와도, 일상과 전혀 관련 없는 학문이라는 씁쓸한 꼬리표는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과학을 전공하지 않는 사람이 양자물리학을 공부한다고 하면 대부분 사람은 물음표가 가득한 눈빛으로 넌지시 말한다.

 


양자물리학이 재미있어요? 


살면서 쓸데없는 과학을 왜 공부하세요


양자물리학을 공부하면 이득이 있나요


양자물리학이 이해가 안 된다면서 계속 공부를 하는 건 

시간 낭비하는 일 아니에요?

(모르겠으면 포기하세요)



양자물리학을 몰라도 된다. 하지만 몰라도 되는 학문이라고 해서 공부할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입자들과, 입자들끼리 상호작용을 하는 힘이 있어서 우리가 안정적으로 살아가고 있다. 양자물리학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것의 기본 성분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학문이다.







<cyrus가 만든 주석과 정오표>

 




[1] 공간시간운동》 서평 

수학자의 어깨 위에 서서

(2024122일 등록)

https://blog.aladin.co.kr/haesung/15241954


 



 

* 175

 

 물리학은 항상 무한대(infinity)와 편치 않은 관계를 맺어 왔습니다. 한편으로 무한대는 종종 매우 유용한 방식으로 곳곳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뉴턴과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가 미적분을 개발했을 때, 그들이 직면한 과제에는 무한대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것이 있었습니다. 무한대는 무한히 큰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01 사이에는 무한개의 실수가 존재합니다.[주2] 실제로 시공간에서 힐베르트 공간에 이르기까지 매끄럽고 연속적인 모든 수학적 구조에는 무한개의 원소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기초 물리학에 관한 현재 최고의 아이디어들은 모두 이러한 구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실제로 알지 못하지만, 우리의 실제 우주는 공간이나 시간, 또는 두 가지 모두 무한히 멀리 뻗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주2] 실수는 자연수보다 많다. 독일의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Georg Cantor)는 이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대각선 논법을 사용했다. 칸토어는 난해한 무한개념을 수학적으로 규명하려고 시도한 수학자. 하지만 검증이 불가능한 무한을 받아들이기 힘든 수학자들은 칸토어를 비난했다. 학문적으로, 정신적으로 외톨이가 된 칸토어는 심한 우울증에 걸렸다. 말년을 정신병원에서 지내다가 세상을 떠났다. (참고문헌: 아미르 D. 악젤, 신현용 · 승영조 함께 옮김 무한의 신비: 수학, 철학, 종교의 만남, 승산, 2002)





* 181





 무한대의 퍼즐은 도모나가, 슈윙거, 파인먼, 다이슨 및 그들의 동료가 해결했으며, 처음 세 사람은 그 공로로 1965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습니다. 이들이 발명한 절차를 재규격화라고 부릅니다. 재규격화는 무한대를 없애 산란 계산의 최종 해를 물리적으로 측정 가능한 양으로 표현하는 특별한 방법입니다.

 모든 사람이 이 절차를 완전히 만족스럽게 생각하지는 않았습니다. (중략) 파인먼 자신도 이를 멍청한 과정’, ‘속임수라고 부르며 수학적으로 정당한 것이 아니다라며 의심했습니다. [* 원주]

 


[* 원주] 파인먼의 인용문은 R. P. Feynman, QED: The Strange Theory of Light and Matter(Penguin), 128에 나와 있습니다. [주3]

 

   

[주3] 저자가 참고한 파인먼의 책은 일반인을 위한 파인만의 QED 강의(박병철 옮김, 승산, 2001)로 번역되었다. 본인의 과학적 업적 중 하나인 재규격화를 의심한 파인먼의 견해는 190쪽에 나온다.






 일종의 도박이다. 이를 전문 용어로는 재규격화라 부르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멋진 용어를 갖다 붙인다 해도 그러한 도박은 어리석은 행동이다. (중략) 나는 재규격화가 수학적으로 합법적인 방법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일반인을 위한 파인만의 QED 강의중에서, 190)





* 209




   

 우리를 생각하도록 만드는 찰스 임스와 레이 임스의 영화 <10의 거듭제곱>(키스 뵈케 원작)[주4] 1제곱미터시카고 호숫가에서 소풍을 즐기는 한 커플의 시야에서 시작하여 10초마다 10배씩 축소시켜 관객이 우주를 경험하도록 초대합니다. 우리는 점차 축소되는 도시, 지구, 태양계, 가까운 별, 은하수 은하, 그리고 은하단과 더 큰 우주 구조를 보게 됩니다. 그런 다음 이번에는 확대하여 피부 세포, 세포 소기관, 부자, 원자 및 소립자들을 보면서 더 미소 스케일을 향한 여행을 시작합니다.

 


[주4] 1977년에 나온 <10의 거듭제곱>(Powers of 10)930초짜리 다큐멘터리 영화다. 짧은 영화라서 지금도 유튜브로 볼 수 있다. 원작은 네덜란드의 교육자 키스 뵈케(Kees Boeke)의 저서 <우주의 조망: 40번의 도약으로 본 우주>(Cosmic View: The Universe in 40 Jumps, 1957년 작)이다.







1982년 미국에 출간된 책을 번역한 것이 10의 제곱수: 마흔두 번의 도약으로 보는 우주 만물의 상대적 크기(사이언스북스, 2012). 책의 공동 저자명에 오른 필립 모리슨(Philip Morrison)은 미국의 물리학자로 영화 해설(narrator)과 자문을 맡았다. 이 책의 공저자인 필리스 모리슨(Philis Morrison)은 필립의 아내이다. 그녀는 과학 칼럼 및 어린이용 과학 서평을 주로 썼다.





(TMI: 필립 모리슨은 파인먼의 일반인을 위한 파인만의 QED 강의추천사를 썼다)

 




* 219






 

조지 즈와이그 조지 츠바이크(George Zweig)






* 역자 후기, 385






캐롤 숀 캐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찬란하고 무용한 공부 - 내면의 삶을 기르는 배움에 대하여
제나 히츠 지음, 박다솜 옮김 / 에트르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점  ★★★★  A-







공부 기계는 잘도 도네, 돌아가네.

공부 기계는 성적에 미쳐 돌아가네.









공부 기계의 연료는 수험서와 문제집이다. 공부 기계는 눈에 보이는 모든 문제에 매달려서 싸운다. 학교는 공부 기계를 제조하는 공장이다. 교사와 교수들은 공부 기계의 머리에 실용적인 학문과 기술 분야를 주입한다. 그래야만 사회에 쓸모 있는 공부 기계를 최대한 많이 만들 수 있다. 팔려 나간 공부 기계는 회사에 쓸모 있는 로봇(robot)이 된다. 로봇은 여전히 공부 기계다. 회사는 로봇을 믿고 강제로 공부를 시킨다.[주1] 로봇은 회사에서 인정받으려면 공부를 멈출 수 없다




공부 기계는 잘도 도네, 돌아가네.

새파란 청춘이 하얗게 녹슬 때까지

공부 기계는 끝없이 돌아가네.




공부 기계가 되지 않으려면 우리는 공부를 찾아야 한다. 공부를 찾는 사람은 성적을 잘 받고 싶거나 학력을 쌓기 위해 공부하는 인간이 아니다. 우리가 찾아야 할 공부는 나 자신을 위한 공부나 자신을 위해 공부한다는 것은 내가 좋아하는 것에 내 마음을 힘껏 뻗치는 일이다.


공부를 찾는 사람은 배움에 대한 사랑이 두텁다. 그래서 호기심이 마르지 않는다. 자신이 궁금해하거나 좋아하는 것을 꾸준히 찾으려고 한다. 반면에 공부 기계는 배움에 대한 사랑이 부족하다. 명예욕이 줄어들지 않는다. 그들은 개인의 출세를 위해서 공부한다. 겉으로 보면 스스로 공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 공부 기계가 책상에 앉아서 하는 일은 명예욕을 동력으로 삼아 머리를 빠르게 굴리는 것이다. 공부 기계는 돈을 부르는 학문이나 관심사에 열중한다.


공부 기계가 돌아가는 소리는 요란하다. 그들은 자신이 공부하는 모습을 남들에게 보여주고 싶어 한다. 공부 기계는 학벌과 인맥을 전시한다공부 기계들이 늘어날수록 사람들은 더 이상 공부를 찾지 않는다. 공부를 찾는 일은 지루하고, 화려하지 않다. 재미없는 공부는 재물이 도망간다공부 기계에 익숙한 사람들은 경제적인 성공을 보장하지 않는 공부를 쓸모없다고 여긴다.


찬란하고 무용한 공부: 내면의 삶을 기르는 배움에 대하여오랫동안 공부 기계에 박혀버린 공부를 빼내는 책이다. 저자는 우리가 찾아야 할 공부의 참모습을 알려준다. 공부 기계는 지식을 집어삼켜 머리에 욱여넣는다. 지식이 급하게 삼켰으니, 소화가 제대로 될 리가 없다. 본인의 입맛에 안 맞는 지식, 제 눈에 초라해 보이는 쓸모없는 지식을 뱉어낸다. 하지만 공부를 찾는 사람은 차분하다. 배움에 대한 사랑은 지식을 차별하지 않는다. 배움 자체를 좋아하는 사람은 남들이 쓸모없다고 여기는 지식을 소중하게 대한다. 지식을 천천히 음미하고, 씹으면서 생각한다공부를 찾는 사람은 공부를 즐긴다.


저자는 공부에 달라붙은 편견과 오해들을 제거한다. 상아탑에 거주하는 공부 기계는 지식을 쌓는다. 지식으로 지어진 상아탑의 문턱은 점점 높아진다. 평범한 사람들은 상아탑에 들어올 수 없다. 상아탑에 지식인만 갇히는 것이 아니다. 상아탑은 공부도 가둔다. 공부에 친하지 않은 사람들은 공부는 전문가들이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저자는 공부가 전문가와 지식인들만 하는 직업상의 활동이 아니라고 말한다. 공부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다. 공부는 누구나 할 수 있다. 공부에 갈망이 있는 사람은 상아탑이 아니더라도 마을 도서관 안에서, 독서 모임에서 공부를 찾는다공부에 대한 갈망이 큰 사람은 상아탑을 직접 부수고 들어올 수 있을 만큼 지적 역량을 향상시킨다.


우리는 공부하기 전에 내가 알아야 할 지식을 어디에 써먹을 수 있을지 생각한다. 이 생각이 길어지면 공부를 찾고 싶은 갈망이 줄어든다. 공부 기계는 경제적인 부를 축적하기 위해 지식을 축적한다. 저자는 실무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지식을 공부하거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공부 활동을 도구적 이용이라고 한다. 공부를 찾는 사람은 실용성을 따지지 않는다. 지식이 궁금해서 공부한다.


공부 기계는 공부하지 않는 사람공부를 못하는 사람을 배척한다. 공부하지 않는 사람과 공부 못하는 사람은 대체로 공부에 흥미를 잃은 사람들이다. 학교 공장에 일하는 공부 기계 교사와 교수는 공부 기계가 되지 못한 학생들의 근성을 지적한다. 공부 기계들이 지배한 사회는 주입식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학교 공장 밖에 있는 지식을 스스로 찾아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괴짜로 취급한다.


찬란하고 무용한 공부디오게네스의 등불과 같은 책이다. 거리를 떠돌면서 살았던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디오게네스(Diogenes of Sinope)낮에 등불을 들고 다닌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사람을 찾기 위해서등불을 밝혔다.[주2] 찬란하고 무용한 공부수많은 공부 기계가 분주히 움직이는 세상에 가려진 사람들, 공부를 찾아 나서는 평범한 사람들을 찾기 위한 등불이다.








그렇다면 공부를 찾는 사람들이 항상 들고 다니는 등불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호기심과 궁금증이다. 우리가 배운 지식은 시간이 지나면 수명이 다해서 빛나지 않는다. 영원한 진리는 없다. 우리는 죽을 때까지 호기심과 궁금증이 빛나는 등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등불에서 나오는 빛은 새로운 지식으로 이끌어준다. 배움을 사랑하는 사람은 항상 호기심과 궁금증을 켜둔다.



공부 기계는 잘도 도네, 돌아가네.

어디선가 공부를 찾는 사람의 호기심은 밤새 빛나고.

 





     

 


    <cyrus가 만든 주석과 정오표>







[주1] 로봇의 어원인 체코어 robota강제 노역, 고된 일을 뜻한다. 참고문헌: 카렐 차페크, 유선비 옮김, R.U.R.: 로줌 유니버설 로봇(이음, 2020)



[주2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김주일 · 김인곤 · 김재홍 · 이정호 함께 옮김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1(나남출판, 2021), 509.




* 146




 

 소크라테스는 동료 시민들에게 끊임없이 철학적 질문을 던지고, 개똥벌레[주3]처럼 시민들을 귀찮게 건드려서 그들이 가진 삶의 가치관에 의문을 제기하게끔 한 자신의 행동이 시민에 대한 봉사라고 주장한다.


* 원문, 89쪽

 

 Socrates claims that his relentless philosophical questioning of his fellow citizens is a civic service, as, like a gadfly, he stings and annoys them and forces them to question the values that they live by.

 


[3] 개똥벌레는 오역이다. gadfly소와 말의 등 주변에 날아다니는 등에와 쇠파리를 뜻한다.잔소리꾼을 비유하는 단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자신을 (아테네 시민들을 귀찮게 하는) 등에로 비유한 소크라테스(Socrates)의 말은 플라톤(Plato)소크라테스의 변명에 나온다.

 

 여러분이 날 죽인다면, 이런 유의 다른 사람을 쉽게 발견하지 못할 테니까요. 좀 우습게 들릴 수도 있는 말을 하자면, 그야말로, 마치 크고 혈통 좋지만 큰 덩치 때문에 꽤 굼뜨고, 어떤 등에가 있어서 일깨워 줄 필요가 있는 말()과도 같은 국가에 신이 붙여 놓은 그런 사람입니다.

 

(소크라테스의 변명30e, 78, 강철웅 옮김, 아카넷, 2020)





* 331쪽, 주







올김 옮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힐 2025-06-30 1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상은 점점 등에 같은 사람들이 사라지고 있는 것 같아요. cyrus님도 등에 같은 신 분입니다. 드디어 찾게 되었네요. 나타나 주셔서 감사합니다. _()_

cyrus 2025-07-06 17:01   좋아요 1 | URL
저는 한 방 크게 쏘는 말벌이 되고 싶은데, 현실은 파리입니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