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랑말랑하다

 

[1] 매우 또는 여기저기가 야들야들하게 보드랍고 무르다.

[2] 사람의 몸이나 기질이 야무지지 못하고 맺힌 데가 없어 약하다.





고급 양장으로 만들어진 오래된 가족 사진첩은 딱딱하고 무겁다. 책장 깊은 구석에 꽂힌 사진첩을 꺼내면 여간 성가시다. 사진첩에 사진을 소중히 넣어 보관한다고 해도 누렇게 변한다사진에 그날의 순간이 남아 있지만, 그날의 감정은 남아 있지 않다세월이 지날수록 사진만 변색하는 게 아니라 사진에 드러난 감정까지 탈색되기 때문이다. 사진에 보이지 않는 감정을 기억하려면 글로 기록해야 한다그러면 세월에 의해 닳아져서 사라지기 쉬운 내 인생의 어떤 순간을 온전히 간직할 수 있다.






이도 글 · 그림 이도 일기》 (탐프레스, 2022)




이도 일기말랑말랑한 그림첩이다[1]일상의 순간을 사진으로 담는 대신에 이도 일기처럼 글과 그림으로 기록하면 좋은 점이 있다언제든지 꺼내 볼 수 있으며 사진 변색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그리고 사진에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린 순간의 감정을 힘겹게 떠올리면서 찾지 않아도 된다


직접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 이도독립출판 단편소설 보름달》(2018)을 쓴 작가다. 출판 스튜디오 탐프레스(tampress)’에서 펴낸 문집 W. 살롱 에디션집필진으로 참여했다글이든 그림이든 시간을 흘려보내지 않고 개인의 삶을 기록하는 행위는 일종의 독백이다. 기록하는 사람은 상대방이 누구든 내 이야기를 봐주면 얼마나 좋을까, 기대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꾸밈없이 솔직하게 드러낸다. 저자의 독백은 자기 내면과 주변 세상을 꾸준하게 들여다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전혀 가볍지 않다


이도 일기에 나오는 주요 인물은 저자의 반려인과 반려묘. 저자는 단독 주택에서 이들과 함께 보낸 사소한 일상뿐만 아니라 살면서 불쑥 튀어나오는 걱정과 고민을 들려준다.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이 머리 안에서만 머물면 가슴이 짓눌린다. 삶을 압박하는 내밀한 고통은 어느 순간 일상을 무너뜨리기도 한다. 더 무거워지기 전에 부정적 감정을 모조리 털어내어 한 자 한 자 기록하다 보면 자신을 괴롭히는 감정의 원인을 찾게 되어 고통이 옅어진다. 저자는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바라보고 인정하면서 글을 쓴다. 작년부터 쓰기 시작한 저자의 글을 읽으면 그녀의 말랑말랑한 마음[2]이 점점 단단해짐을 느낄 수 있다.


저자는 단어의 의미를 허투루 보지 않을 정도로 민감하다. 그녀는 작년 521일에 쓴 글에서 여성의 존재를 부정적으로 보게 만드는 낡은 속담들을 비판한다.






 사위 관련 속담이 궁금해 검색했다. 10개 중 하나 빼고는 긍정적인 의미였다. 다시 며느리로 검색했는데 관련 속담 109개 중 긍정적인 게 없다. 끝까지 읽기 힘들 정도였다. 시어머니와 며느리는 여성의 다양한 역할 중 하나일 뿐, 결국 한 사람이다. 자아 분열하지 않고 사이좋게 지내려면 오래되고 이상한 속담부터 정리할 필요가 있다. 109개의 속담 중 다음 세대에 남겨줄 만한 게 1도 없다. 여자의 적은 여자가 아니다


(51)



누군가는 개인적 생각을 일기로 써서 공개할 필요가 있느냐고 생각할 것이다하지만 글 쓰는 사람이라면 특정 대상에 편견을 덧씌우는 단어와 문장에 민감해져야 한다. 너무 당연하게 여겨져서 사전에 딱 달라붙은 그 이상한 단어를 펜으로 깨뜨려야 한다펜은 단어보다 강하다.

     




















[레드스타킹 20226월 도서] 임솔아, 김멜라, 김병운, 김지연, 김혜진, 서수진, 서이제 2022 13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문학동네, 2022)





단어에 균열을 내는 글쓰기올해 젊은 작가상 수상작김지연의 단편소설 공원에서에 나오는 주인공의 비판 의식과 닮았다소설 속 주인공은 여자를 부정적으로 묘사한 속담이 더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사전에 인간의 온갖 차별의 역사가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고루한 역사가 반영된 단어를 깨부수면 빈칸이 생긴다. 김지연 작가는 공원에서의 작가 노트 제목을 빈칸을 채우시오로 정했다. 그녀는 사전에 있는 차별적인 단어를 해체하면서 생긴 빈칸에 어떤 말을 채울 수 있을지 생각하면서 소설을 썼다고 밝힌다. 그러면서 무엇이든 쓸 수 있다라고 결론을 내린다.


이도 작가는 20211028일 일기에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말을 인용한다.

 


 “여러분이 쓰고 싶은 것을 쓰는 것. 그것만이 중요한 일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여러분에게 아무리 사소하고 광범위한 주제라도 망설이지 말고 어떤 종류의 책이라도 쓰기를 권하고 싶습니다.”



내가 쓰고 싶은 것을 쓰는 일은 개인적이고 무의미한 일이 아니다. 이도 작가는 W. 살롱 에디션 Vol. 2: 쓰는 여자에 수록된 자신의 글 소설, 쓰는 사람에서 소설을 쓸 때면 소설가가 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불꽃처럼 피어오르는 글쓰기 욕망이 생기면 세상을 향해 쓰겠다고 다짐한다






* 김정희, 권지현, 이도, W.살롱 커뮤니티 참여자들 

W. 살롱 에디션 Vol. 2: 쓰는 여자_ 펜은 눈물보다 강하다》 

(탐프레스, 2020)




이도 작가는 2020년의 다짐을 올해에 지키는 데 성공했다. 이도 일기는 단독 주택과 작업실을 넘어 힘차게 세상으로 나아갔다세상을 향해 꾸준히 쓰고 있는 작가의 다음 행보가 기대된다.






※ 《이도 일기정오표



* 50



 영빈은 J에 비해 나를 훨씬 많이 알고 있지만 J 영빈보다 나를 더 잘 이해할 때가 있다.


J J






* 61

 




핼로윈 핼러윈






* 152





자세히 보니 검의 때가 잔뜩 묻은 치즈 아깽이었다.

 

검의 검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은빛 2022-07-03 14: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담이 오래된 글이었기에 더욱 성차별적인 내용일 수 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속담마저도 자주 쓰지 않는 우리 세대는 과연 얼마나 성차별적인 표현들을 자주 쓰고 있나 검열해봐야겠어요. 22년 수상작품집 다 읽었었는데, 급하게 읽느라 말씀하신 문제 의식을 깨닫지 못했네요. 다시 읽어봐야겠어요.

cyrus 2022-07-03 20:13   좋아요 0 | URL
저는 <공원에서>의 주인공처럼 사전의 단어에 의문을 제기하고 비판하는 식으로 생각한 적이 있어요. 그래서 책을 읽다가 미심쩍은 단어를 마주하면 그냥 못 넘어가요. 종종 사전의 의미를 나름 비판하면서 재해석한 글을 몇 편 쓴 적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노가다’였어요. 유발 하라리의 책 <사피엔스>에 ‘노가다’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당시에 그 단어를 보자마자 ‘이건 아니다’라고 바로 느꼈어요.
 
파이널 페인팅 Final Painting - 화가 생애 마지막 그림을 그리다
파트릭 데 링크 지음, 장주미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협찬받아 쓴 서평이 아닙니다.



평점


4점   ★★★★   A-






음악가가 만든 마지막 걸작을 백조의 노래(Swan Song)’라고 한다. 이 관용어는 백조가 죽기 직전 마지막 힘을 다해 딱 한 번 운다는 속설에서 유래되었다. 마지막 울음소리가 아름답다는 백조의 노래는 최후의 걸작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말이 되었다. 하지만 백조는 때때로 운다. 실제로 백조가 우는 소리를 들어보면 썩 아름답지 않다.

 

화가의 마지막 걸작도 종종 백조의 노래로 불리기도 한다. 그런데 의외로 미술비평가들은 유명 화가들의 말기 작품을 거들떠보지 않았다. 사람은 태어나서 일정 기간 성장한 후 나이가 들어가면 신체와 인지 기능이 점점 쇠퇴한다. 비범한 화가도 노화 현상을 피할 수 없다. 비평가들은 쇠약해진 화가의 말기 작품에 원숙미를 느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독창성이 돋보인 젊은 시절 화가의 작품과 비교하면서 말기 작품이 졸작이라고 혹평한다.


파이널 페인팅(The Final Painting)은 화가의 말기 작품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반박한다. 책의 저자는 말기 작품에 온갖 다양한 요소가 있다고 주장한다. 전성기 시절의 기량에는 못 미치지만, 그 안에 이전에 시도해보지 않은 기법과 혁신 그리고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는 힘이 있다. 황혼기에 접어든 화가들은 주변의 평가에 상관없이 자신만의 방식대로 그림을 그렸다


윌리엄 터너(William Turner)는 사실적으로 묘사한 풍경화로 명성을 얻었다. 말기에 이르러 그의 작품에 묘사된 형상이 생략되고모호한 색채로 가득 채운 독자적인 화풍으로 발전한다. 비평가들은 나이 든 터너를 세월과 동떨어진 화가로 평가했다. 그러나 터너는 세월을 앞서간 화가였다. 사실적인 묘사의 회화를 고수하는 전통을 깨뜨린 터너의 말기 작품은 추상회화의 탄생을 예고한다.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는 말년에 손가락에서 생긴 관절염에 시달렸다. 그래서 붓을 내려놓고, 색종이를 오려 붙인 작품을 남겼다. ‘종이 오리기작업은 마티스가 죽을 때까지 지속되었다. 붓을 사용하지 않는 이 기법은 붓을 든 과거와의 단절을 상징한다. 붓을 들지 않아도 마티스는 화가.


이 책은 일찍 세상을 떠난 화가들의 마지막 작품들도 소개한다시대와 관점에 따라 사람들은 완성된 작품을 미완성이라 보기도 하고미완성 작품을 걸작이라 칭송하기도 한다폴 세잔(Paul Cézanne)은 말년에 생 빅투아르 산과 목욕하는 사람들을 주제로 여러 점을 그렸다. 그중에 6년 동안 그린 목욕하는 사람들(1900~1906, Large Bathers, 일명 대 수욕도)은 미완성 작품이다세잔의 목표는 완성된 작품이 아니라 사물의 본질을 화폭에 구현하는 일이었다. 그는 동료 화가 에밀 베르나르(Emile Bernard)에게 보낸 편지에 과거를 넘어서는 이론을 증명할 때까지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1906921). 세잔의 연작 작업은 전통적인 예술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끝없는 도전이다.


네덜란드의 화가 얀 반 에이크(Jan van Eyck)는 아내의 초상화에 자신의 좌우명을 새겨 넣었다.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으로(Als ich can).’ 화가의 말기 작품이 혁신적이지 않다는 이유만으로 무작정 비난할 수 없다. 화가들은 죽기 직전까지 자신만의 미술을 추구하기 위해 손에 쥔 붓을 내려놓지 않았다. 그들의 마지막 작품은 최후의 작품이 아니라 최선을 다한 작품이다.






※ 미주(尾註)알 고주(考註)

 



* 53






우구스티누스 성인 아우구스티누스 성인(St. Augustine)






* 74

 

 오랜 경력을 가진 전문가 메리 가라드(Mary Garrard)[주1]는 젠틸레스키의 작품으로 기록되었거나 어느 정도 확실하게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130점이 넘는 그림을 목록으로 만들었다.


[주1] 아르테미시아의 작품을 분석한 메리 D. 개러드의 저서 여기, 아르테미시아: 최초의 여성주의 화가(박찬원 옮김, 아트북스, 2022)가 최근에 번역 출간되었다.






* 89





 1814년에 독재적인 국왕 페르난도 7세가 집권하면서 구체제가 복원되었다. 프랑스 국왕 요셉 보나파르트(Joseph Bonaparte)[주2]의 궁정화가로 활동을 계속했던 고야는 스페인에 머물며 때때로 새 왕조를 위해 작업하기도 했다.

 


[주2] 조제프 보나파르트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éon Bonaparte)의 형이다. 조제프 보나파르트는 프랑스 국왕이 아니라 스페인 국왕이다. 나폴레옹은 스페인을 지배하기 위해 페르난도 7세를 강제로 폐위시키고, 형에게 왕관을 씌웠. 조제프는 스페인 국왕이 되면서 호세 1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호세 1세는 페르난도 7세와 달리 개혁 정치를 펼쳤지만, 스페인 내정을 간섭하는 프랑스에 반발한 민중은 여러 차례 봉기를 일으켰다. 나폴레옹은 스페인에 주둔한 프랑스군을 동원하여 스페인 민중을 잔인하게 탄압했다(고야의 180852180853은 스페인에서 일어난 프랑스군의 잔인한 만행을 묘사한 걸작이다). 민심을 완전히 잃은 호세 1세는 1813년에 폐위되어 망명길에 올랐고, 이듬해에 페르난도 7세가 복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술관에 가기 전에 - 미리 보는 미술사, 르네상스에서 아르누보까지
아당 비로.카린 두플리츠키 지음, 최정수 옮김 / 미술문화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협찬받아 쓴 서평이 아닙니다.




평점


3.5점   ★★★☆   B+






전시해설사(docent)는 미술에 대한 지식과 안목을 바탕으로 관람객에게 전시된 작품을 설명해주는 사람이다. 소위 어렵다고 느껴지는 작품은 눈에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에 중점을 두면서 감상해야 한다. 현대미술은 난해함의 극치라서 전시해설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전시해설사는 미술을 어렵다고 생각하는 관람객들에게 즐겁고 편안하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해준다.

 

미술관에 가기 전에는 한 권의 책이 된 전시해설사다. 이 책은 미술 비전공자들도 몰입하게 만들 정도로 미술가와 작품들을 소개하는 전시해설사 역할에 충실하다. 놀랍게도 이 책을 쓴 두 명의 프랑스인은 전시해설사가 아니다. 한 사람은 예술 관련 도서를 만드는 일을 하고 있으며, 다른 한 사람은 미술 연구자다. 두 저자는 서양미술사에 자주 언급되는 유명한 미술가와 걸작들뿐만 아니라 실력은 뛰어났으나 거장들에게 가려진 미술가와 그들의 대표작도 소개한다. 150여 명의 미술가를 시대별 및 지역별로 분류했는데 13세기 중세 말부터 19세기 말 아르누보까지 서양미술사의 전체 흐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아르누보 이후 현대미술과 고대 및 중세 미술은 다음에 나올 2권에 다룬다.

 

미술관에 가기 전에의 매력은 사족(Too Much Information)에 가까운 미술가와 작품에 관한 짤막한 이야기들이다. 두 저자는 전문 용어를 써가면서 작품을 가르치듯이 설명하는 전시해설사를 원하지 않는다. 그들이 선호하는 미술관은 즐거운 놀이터와 같은 곳이다. 놀이터 같은 미술관은 자유롭다. 이곳에 온 관람객은 작품을 감상하면서 전시해설사와 격의 없이 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작품 감상과 전혀 관련 없는 미술가들의 재미있는 일화도 들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저자들이 작품 분석 및 해설에 소홀한 것은 아니다. 미술가들의 주요 특징과 미술사 발전에 큰 영향을 준 작품들의 가치와 같은 핵심 내용을 밑줄로 표시해두었다.


그런데 이 책에 앙리 루소(Henri Rousseau)가 단 한 번도 언급되지 않았다. 루소는 상상으로 이국적인 분위기의 풍경을 표현한 작품을 남겼다. 미술 교육을 받은 적 없는 아마추어 화가인 그는 원근법을 무시하면서 그림을 그렸는데, 그런 자신을 스스로 사실주의 화가라고 평가했다. 루소는 특정 미술사조에 분류하기 어려운 화가다. 피카소(Pablo Picasso)가 극찬한 루소가 왜 이 책에 포함되지 않았을까? 두 저자는 앵그르(Ingres), 윌리엄 블레이크(William Blake), 에두아르 마네(Edouard Manet)를 하나의 범주, 즉 미술사조로 분류할 수 없는 화가라고 평가한다. 그러면서 앵그르와 블레이크는 19세기 낭만주의, 마네는 19세기 사실주의 화가로 분류했다. 두 저자의 화가 선정 기준에 의문이 든다.


의문점이 또 하나 있다. 아르누보를 대표하는 화가 알폰스 무하(Alphonse Maria Mucha)를 소개한 내용이 왜 없을까무하가 관능적인 포스터를 그린 화가로 알려졌지만, 말년에 조국 체코의 역사를 주제로 한 연작 그림을 제작했을 정도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이름은 한 번 언급되지만, ‘인명 색인에 그의 이름이 없다.


전시해설사는 정확한 정보를 관람객에게 전달해야 한다. 책이 된 전시해설사가 들려준 이야기에 정확하지 않거나 오류가 있다.






라파엘로(Raffaello)<라 포르나리나>는 제빵사의 딸이자 화가의 정부(情婦마르게리타 루티(Margarita Luti)를 그린 초상화로 알려져 있다(52). 그렇지만 <라 포르나리나> 속 인물이 누군지 확실하지 않다. 마르게리타 루티라고 추정한 것은 19세기부터 시작되었다그래서 이 작품을 젊은 여인의 초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운데에서 플라톤(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이목구비를 하고 있음)이 자신의 대화편 중 하나 티마이오스를 들고 손가락으로 하늘과 이데아의 세계를 가리키고 있다. 그는 윤리학을 들고 땅과 인간들의 법을 가리키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대화한다.

 

 그의 뒤에는 두 천문학자 차라투스트라와 프톨레마이오스가 천구의를 들고 있다.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을 설명한 내용 중에서, 53)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저서 윤리학의 정확한 제목은 니코마코스 윤리학(Ethika Nikomacheia)’이다. 차라투스트라(조로아스터)는 고대 페르시아에 발원한 조로아스터교의 창시자. 그는 마법사점성술사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점성술은 천체 현상을 관측하여 미래를 점치는 기술이다. 점성술은 비과학적인 방식이지만, 과거에 정식 학문으로 인정받았으며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는 점성술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점성술사의 원어(Astrologer 또는 astrologist, 프랑스: astrologue)는 천문학자(astronomer, 프랑스: astronome)의 원어와 비슷해서 번역하면서 혼동하기 쉽다. 차라투스트라는 천문학자가 아니라 점성술사다.













 <180852>(마드리드 프리도 미술관)은 모든 유럽 국가의 봉기의 상징이 되고 나중에 피카소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프란시스코 데 고야, 170)

   


피카소에 큰 영향을 준 고야(Francisco de Goya)의 그림 제목은 <180853>이다. 피카소는 <1808년 5월 3일>의 구도를 참조해 <한국에서의 학살>(Massacre en Corée, 1951)을 그렸다.






 작업 중인 노동자들을 그린 최초의 그림 중 하나인 이 작품은 날 것의 사실주의로 살롱전 심사위원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카유보트의 <마룻바닥에 대패질하는 사람들>에 대한 설명문 중에서, 218)

 











<마룻바닥에 대패질하는 사람들>1875년에 완성된 작품이다. 카유보트보다 먼저 쿠르베(Gustave Courbet)가 일하는 노동자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렸다. 그 작품이 바로 <돌 깨는 사람>(1849)이다. 그런데 일하는 노동자의 범주에 여성의 노동을 포함한다면 쿠르베의 작품이 최초는 아니다. 18세기에 활동한 프랑스의 화가 샤르댕(Jean-Baptiste-Siméon Chardin)부엌에서 일하는 하녀나 부인의 모습을 담은 작품 몇 점 남겼다.


209쪽에 영국 작가 오스카 와일드라고 되어 있는데, 와일드는 영국에서 주로 활동했지만,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머니 플로라 트리스탕1840년대의 문인이자 사회주의 투사, 페미니스트로서 사회적 논쟁에 참여하고 국제주의를 표방한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다.

 

(폴 고갱, 239)

 


플로라 트리스탕(Flora Tristan)은 고갱(Paul Gauguin)외할머니.






정오표

 


* 119: 다비트 테니르스(David Teniers) 

인명 색인(283)에는 다비트 테니어르스로 표기되어 있다.

 





* 211: 에술적 허용 예술적 허용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2-06-28 13: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플로라 트리스탕과 고갱 이야기 소설로 본 기억나요. 카유보트의 대패질 그림 넘 좋아요 *^^*

cyrus 2022-07-02 08:40   좋아요 1 | URL
mini님은 호세 바르가스 요사의 <천국은 다른 곳에>을 읽어보셨군요. 고갱과 플로라 트리스탕을 소재로 한 소설이 있다는 걸 최근에 알았어요. ^^
 




미국의 천체물리학자 칼 세이건(Carl Sagan)이 별세하기 일 년 전에 발표한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The Demon-Haunted World: Science as a Candle in the Dark, 1995)이 재출간되었다. 2001김영사 출판사에서 펴낸 지 21년 만에 나온 개정판이다. 개정판을 펴낸 출판사는 명저로 손꼽히는 코스모스》(Cosmos, 1980)를 포함한 세이건의 책들을 번역 출간한 사이언스북스.

 















 

* 칼 세이건, 앤 드루얀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 과학, 어둠 속의 촛불(사이언스북스, 2022)

 

* [구판 절판] 칼 세이건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 과학, 어둠 속의 작은 촛불(김영사, 2001)

 


 

과학을 전공하지 않은 애서가도 추천할 정도로 코스모스는 워낙 유명한 과학 도서다. 그렇다 보니 대부분 독자는 칼 세이건을 과학 대중화에 일생을 바친 최고의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기억한다. 하지만 유사 과학을 비판하는 일에 앞장섰던 그의 생전 활동을 인상 깊게 본 독자라면 세이건이 제안한 헛소리 탐지기(Baloney detection kit, 구판에 나온 번역어는 엉터리 탐지 장비’)’를 떠올린다.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에 언급된 헛소리 탐지기엉터리 논리로 이루어진 유사 과학을 색출할 때 쓰이는 아홉 가지 검증 기준이다.


 














 

* 칼 세이건 브로카의 뇌: 과학과 과학스러움에 대하여(사이언스북스, 2020)

 


 

세이건은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뿐만 아니라 코스모스가 나오기 일 년 전에 쓴 브로카의 뇌》(Broca’s Brain: Reflections on the Romance of Science, 1979)에서 이미 여러 차례 과학적 회의주의(scientific scepticism)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과학적 회의주의는 과학적 검증을 거치지 않은 초자연 현상과 유사 과학을 비판하는 태도이다.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구판의 서평을 남긴 어떤 독자는 미신과 유사 과학을 맹신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비판한 세이건을 과학 지상주의자로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 책에 세이건의 지적인 오만함을 느낄 수 있다면서 서평을 마무리했다. 나는 이 독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독자는 과학 지상주의와 과학적 회의주의를 혼동했다. 과학 지상주의는 과학이 이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태도다. 과학 지상주의의 또 다른 이름은 과학만능주의. 하지만 세이건은 과학의 맹신자가 아니었다. 과학적 회의주의는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과학 이론이나 지식까지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그러면서 여러 차례 실험해서 검토한 끝에 기존의 과학 지식을 뒤엎는 새로운 가설이 타당하다고 여겨지면 기꺼이 받아들인다. 세이건은 브로카의 뇌에서 회의주의적 태도를 통해 발전된 과학을 이렇게 정의한다.

 

 

 과학은 실험, 오래된 도그마에 기꺼이 도전하려는 마음가짐, 그리고 우주를 실제 그대로 보려는, 편견 없는 태도에 기초한다. 따라서 과학은 때때로 용기최소한 전통적인 지혜에 의문을 제기하는 용기를 필요로 한다. (32)

 

 

자기가 알고 있는 지식을 의심하는 과학적 회의주의자와 과학을 무조건 최고로 여기는 과학 지상주의는 같다고 할 수 없다과학을 맹신하는 과학 지상주의자는 지식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 그들은 오로지 과학이 우리 삶에 풍요를 가져다준다고 믿는다. 과학에 대한 낙관적 믿음이 지나치면 대중을 기만하는 유사 과학을 냉철하게 분석하지 못한다.


이번에 나온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완전 개역판이다. 구판에 오역과 오자가 있다는 독자들의 평이 있는데, 직접 읽어 보면 그들의 지적에 수긍하게 된다내가 구판을 읽으면서 찾은 오역과 오자는 다음과 같다.


어제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개정판을 주문했다. 수령 예상일은 오늘이지만, 월요일에 책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구판과 개정판 역자는 같다. 개정판이 구판보다 번역의 질이 좋아졌는지 궁금하다. 개정판이 개판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 20

 

 앨러배마 주 투스키제[주1]에 있는 물리학자들은, 일단의 퇴역 군인들을 대상으로 그 전까지 치료된 적이 없는 새로운 병에 대한 실험을 하면서 이들이 매독 치료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도록 속였다.

 

[주1] 투스키제 터스키기(Tuskegee)






* 66


 천문학자들은 수억 광년 거리에까지 퍼져 있는 은하들의 분포도를 작성했는데, 그때 자신들이 도박판의 시중꾼(Stickman)[주2]이라고 불리는 미숙한 인간적 형상의 윤곽을 그리고 있음을 발견했다.



[원문]

 

 When astronomers mapped the distribution of galaxies out to a few hundred million light years, they found themselves outlining a crude human form which has been called ‘the Stickman’.

 


[2] 번역자는 ‘the Stickman’도박판의 시중꾼(윗사람의 곁에 있으면서 온갖 심부름을 하는 사람)으로 직역했다. 단어의 뜻은 맞다. 하지만 이렇게 번역하면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천문학자들이 표현한 은하들의 분포 형태가 도박판의 시중꾼형태의 윤곽과 비슷하다는 것인데, 아무리 생각해도 어떤 형태인지 떠오르지 않는다.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내세운 번역자의 정직한(?) 번역으로 인해 독자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번역문이 나오고 말았다.








 


‘the Stickman’은 인간의 머리를 원, 몸통과 사지를 직선으로 나타낸 형상(stick figure)을 뜻하므로, ‘막대 인간으로 번역해야 한다. 백여 개의 천체(성단, 성운, 은하)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만들어진 메시에 목록(Messier object) 성도(星圖)를 보면 ‘the Stickman’을 왜 막대 인간으로 번역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여러 색깔의 점으로 표시된 모든 천체를 선으로 연결해보면 얼추 막대 인간형상이 나온다.






* 78


볼테르(Voltaire)마이크로메가스》[주3]


 

















* 볼테르 미크로메가스. 캉디드 혹은 낙관주의(문학동네, 2010)

* [품절] 볼테르 미크로메가스(바다출판사, 2011)




[3] ‘Micromégas’는 고대 그리스어 μικρός(아주 작은)’μέγας(아주 큰)’를 합성한 것이다. 고대 그리스어 발음에 따라 볼테르의 소설 제목을 우리말로 표기하면 미크로메가스.





* 118쪽: 골드바흐의 억측 골드바흐의 추측(Goldbach Conjecture)



* 146쪽: 카글리오스트로 칼리오스트로(Cagliostro)



* 243원주엔리오 페르미 엔리코 페르미(Enrico Fermi)



* 254쪽: 에드가 카이스 에드가 케이시(Edgar Cayce)





* 265

 

 대표적인 예로, 1528년부터 1536년까지 몇몇 동료들과 함께 극심한 궁핍 상태에서 플로리다에서 텍사스 거쳐 멕시코까지 육지와 바다를 떠돌던 알바르 뉴네즈 카베차 드 바카 이야기가 있다.

 

텍사스 텍사스






* 284

 

 극작가 아서 밀러(Arthur Miller)는 그 시기에 도가니(The Crucible)라는 작품을 발표하였다. 그것은 예루살렘의 마녀재판[주4]을 소재로 한 작품이었다.

 




















* 아서 밀러 시련(민음사, 2012)




[4] Salem Witch Trials. ‘Salem’은 예루살렘이 아니라 미국 매사추세츠 주에 있는 도시 세일럼이다.





* 329스탠리 큐브릭(Stanley Kubrick) 감독의 영화 <스트레인지러브> 

<닥터 스트레인지러브>(Dr. Strangelove)




* 334, 357: 칼라하리 사막의 쿵 산 족(Kung San

!Kung San, ‘!’가 없음.

 




* 345: 콩고(Congo Republic) 콩고 공화국 [주5]

 

[주5]콩고가 들어간 두 개의 국가가 있다. 콩고 공화국(Republic of the Congo, Congo Republic)콩고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이다. 두 국가 모두 콩고로 부르기도 하지만, 혼동을 피하려면 국명을 제대로 써야 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oonnight 2022-06-25 1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_@; 꼼꼼히 읽으시고 찾으셨네요. 저였다면 뭐가 이상한 건지도 모르고 어렵다. 에라 모르겠다 대충 넘어감-_- 모드가 될 것 같아요. 존경합니다. cyrus님^^

cyrus 2022-06-27 22:55   좋아요 0 | URL
너무 꼼꼼하게 읽어서 완독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에요. 이렇다 보니 책 한 권 읽고 나면 진이 빠져요... ㅎㅎㅎ

다양한세상 2022-06-26 12: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완전개역판이라더니 오탈자가 몇개 없네요? 구역판소장중이라 언급하신거 몇개외에는 뭐가 틀린지 잘 모르고 넘어간것들이지만 개역판을 굳이 부담스런가격을 지출하며 또 사야할정도는 아니구나싶어서 글써주신 작성자님의 도움이 많이 컸습니다 감사합니다

cyrus 2022-06-27 22:55   좋아요 0 | URL
그런가요? 저는 이 정도도 많다고 보는데요.. ㅎㅎㅎ
 
매일 같은 밥을 먹는 사람들 - 식사를 선택할 수 없는 삶,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권기석 외 지음 / 북콤마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보릿고개란 말이 있다. 지난해 가을에 걷은 식량이 다 떨어지고 새로운 보리를 수확하기 전인 초여름 시기(4~6)를 뜻한다. 이때는 풀뿌리와 나무껍질로 연명했으며 굶어 죽는 사람 또한 속출했다. 196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에 이런 시절이 있었다. MZ세대에게는 까마득한 옛이야기다. 과거에 비해 지금은 굶주림이 생존에 위협이 될 수준까지는 아니다먹을 게 넘쳐난다하지만 여전히 밥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는 돈 없으면 하루 세 끼를 먹을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안다. 그런데도 가난한 사람이 무얼 먹고사는지 모른다. 삼시 세끼 잘 챙겨 먹고 있는지 관심도 없다. 대부분 사람은 가난한 사람이 먹고사는 일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오히려 일할 의지가 전혀 없고, 무료 급식소가 제공하는 밥을 받아먹으면서 사는 그들을 비난한다. 잘 먹으면서 잘 사는 우리는 마리 앙투아네트(Marie Antoinette)가 된다. 빵을 달라고 외친 시민을 본 프랑스 왕비는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되지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하지만 왕비가 실제로 한 말이 아니다. 어쨌든 가난한 사람의 식사에 무심한 우리는 프랑스 왕비가 한 것으로 잘못 알려진 망언을 가져와서 이렇게 말할 것이다. 집밥이 없으면 편의점에 파는 김밥이나 라면을 먹으면 되지.” 밥을 제대로 챙겨 먹을 수 없을 때 우리는 싸고 간편한 김밥과 라면으로 끼니를 때운다. 그렇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김밥과 라면을 주식으로 삼고 있다.


매일 같은 밥을 먹는 사람들은 영양 과잉 시대로 들어서면서 나타난 식사 빈곤 문제에 주목한 책이다. 이 책을 기획한 국민일보 소속 네 명의 기자는 가난한 사람이 집에서 어떤 음식을 먹는지 취재했다. 기자가 만난 사람들은 무료 급식 대상자인 노인, 임대아파트에 혼자 사는 중년 남성, 자식과 함께 사는 주부, 고시원에 살면서 국가고시나 취업을 준비하는 20대 청년 등이다. 이들은 종일 쫄쫄 굶지 않을 정도로 밥을 먹는다. 매일 같은 밥을. 반찬 가짓수는 많아야 세 개. 다 떨어질 때까지 매일 먹는다. 식비를 아끼기 위해 고기로 만든 반찬은 만들지 않는다. 제철 과일을 사서 먹는 건 그들에겐 사치다. 집밥이 없으면 저렴한 가격의 음식이 나오는 식당이나 편의점으로 향한다


기자와 인터뷰한 사람들이 직접 차린 밥상이나 하루에 먹은 것들을 찍은 사진은 식품 불안정성(food insecurity) 문제가 우리 사회의 새로운 과제임을 보여준다. 식품 불안정성은 양적 · 질적으로 좋은 음식을 먹지 못하는 상태를 뜻한다. 가난할수록 식비를 아끼게 된다. 그렇게 되면 먹는 음식의 양이 적어지고, 주식 이외의 음식을 충분히 먹지 못한다영양학적으로 불균형한 식습관은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준다. 건강이 좋지 못한 저소득층은 약값과 진료비 부담을 크게 느낀다. 그래서 식비 지출을 줄이려고 하는데,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해서 건강 상태가 더 나빠진다. 우리나라 저소득층은 이러한 형태의 빈곤에 처해 있다(이 책에 나오지 않은 사회 취약 계층에 속한 장애인, 외국인 근로자, 북한 이탈주민, 의료적 트랜지션[주1]을 받는 성소수자도 매일 같은 밥을 먹을 수밖에 없는 식사 빈곤을 겪을 수 있다).


이 책이 보여준 빈자의 식탁사진은 빈곤 포르노(poverty pornography)’가 아니다. 이 책의 기획 의도는 저소득층에게 동정과 연민의 눈길을 주게끔 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가난한 사람은 먹고 싶은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선택권이 없다. 오로지 배를 채우려고 매일 같은 음식을 먹는다헌법에 제시된 기본권은 평등권, 자유권, 참정권, 청구권, 사회권이다. 사회권은 인간다운 생활을 한 권리다. 삶의 질이 높아지려면 식품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인간은 최소한 배고프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건강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먹을 권리도 있다이제는 식품 안정성과 관련된 사회권 보장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무료 급식소를 더 짓는 것이 아니라 사회 취약 계층에게 양적으로, 질적으로 좋은 음식을 제공하는 복지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






※ 주



[주1] 의료적 트랜지션(medical transition)


트랜스젠더에게 필요한 정신과 진단이나 호르몬 치료, 성전환 수술 등의 의료서비스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호르몬 치료와 성전환 수술 비용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트랜스젠더 당사자에게는 큰 부담이 된다. (관련 도서: 김승섭, 박주영, 이혜민, 이호림, 최보경, 레인보우 커넥션 프로젝트 오롯한 당신: 트랜스젠더, 차별과 건강, 책공장더불어, 2018)






정오표




* 51쪽





 복지관에 음식 지원을 신청한 노인은 주말에 인기 많은 대형 쇼핑물 주차장에 들어간 운전자와 같은 신세다.

 


대형 쇼핑물 대형 쇼핑몰






* 136

 




 우리가 얻은 교훈은 가난한 사람의 건강을 생각한다면 현금이 아니라 음식을 건네야 한다는 것이다. 가난한 이들은 이리저리 돈 나갈 구멍이 많았다. 현금을 손에 쥐어 주면[주2] 식사하는 데 쓰지 않을 가능성이 컸다. 식비는 늘 의료비와 교육비, 학비에 밀렸다.



[주2] 쥐여 주면이라고 써야 한다. 쥐여 주다무언가를 남에게 건네주는 상황일 때 쓴다. 쥐어 주다스스로 무언가를 잡았을 때 쓰는 표현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2-06-19 12:1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불행은 어떻게 질병으로 이어지는가 란 책이 생각나요 부모의 빈곤한 식사에 의해 약하게 태어난 아이들의 잘병, 그런 부모들이 또 중년기에 이르러 질병으로 무너지면서 가난이 더 악화되는 모습들 ㅠㅠ

cyrus 2022-06-25 09:30   좋아요 1 | URL
mini님, <매일 같은 밥을 먹는 사람들>을 읽으면서 <불행은 어떻게 질병으로 이어지는가>가 생각이 났어요. 그런데 책 제목이 길어서 정확한 제목은 몰랐지만요.. ^^;;

짜라투스트라 2022-06-21 11: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반드시 필요한 주장인데 이게 되지 않는 현실이 참 안타깝네요

cyrus 2022-06-25 09:32   좋아요 1 | URL
우리나라 복지 문제가 정치 이념과 연관되어 있어서 이에 대한 의견을 소신 있게 밝히기가 힘들어요. 그리고 사는 게 팍팍해질수록 사회적 약자에 대한 불신감은 커지지요.

mini74 2022-07-08 17: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감하며 읽었던 리뷰 👍축하드립니다 *^^*

이하라 2022-07-08 18: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cyrus님 기분 좋은 소식 축하드립니다.^^
상쾌한 날들 되세요.^^

새파랑 2022-07-08 19: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cyrus님 당선 축하드립니다 ^^ 또 즐거운 책 만나시길 바랍니다~!!

강나루 2022-07-09 14: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cyrus님 당선 축하해요^^

thkang1001 2022-07-10 09: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cyrus님! 이달의 당선작 선정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행복한 휴일 보내세요!

꼬마요정 2022-07-10 1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당선 축하드려요!!
정말 먹는 문제는 중요하죠. 특히 아이들을 생각하면 맘이 많이 아픕니다. 국가가 먹는 문제만이라도 잘 해결할 수 있다면 좋겠어요. 이권 다툼 이런 거 하지 말구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