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클리 - 미국 고딕의 검은 영혼
릴라 테일러 지음, 정세윤 옮김 / 구픽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미국의 작가 러브크래프트(H. P. Lovecraft) 에세이 공포문학의 매혹》(홍인수 옮김, 북스피어, 2012)은 이런 문장으로 시작된다.



 The oldest and strongest emotion of mankind is fear, and the oldest and strongest kind of fear is fear of the unknown.


 가장 오래되고 강력한 인간의 감정은 공포이며, 그중에서도 가장 오래되고 강력한 것이 미지에 대한 공포이다.

 

(홍인수 옮김, 9)



러브크래프트는 자신이 내린 공포의 정의에 부정할 심리학자는 거의 없을 거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문장은 심리학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인정한다우리는 정체를 알 수 없는 것을 마주치면 긴장한다. 긴장감이 팽팽해지면 공포감은 더 커진다러브크래프트가 생각한 미지의 존재는 예측하기 어려운 존재. 그들은 우리가 알지도 못하고, 어디에 속하지도 않은 영역 속에 있다미지의 존재가 의인화된 것이 괴물이다괴물로 알려진 존재는 공공의 적이 된다.


그런데 러브크래프트가 생각하지 못한 것이 있다. 그는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을 미지의 영역으로 한정시켰다. 우리가 괴물을 무서워하는 이유는 괴물의 정체를 모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지(旣知)의 존재,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존재 역시 괴물로 치환된다그 괴물은 우리의 일상에 가까이 있거나 때론 숨어 있기도 하다. 


고딕 소설(Gothic novel)은 공포문학의 초기 양식이다. 고딕은 하늘로 향해 뾰족하게 치솟은 첨탑이 있는 중세 시대의 건축물을 뜻하는 단어였다. 고딕 소설은 음산한 분위기를 풍기는 고딕 스타일의 건축물을 배경으로 한다. 고딕 소설의 주인공은 이곳에서 초자연적 현상을 경험한다. 러브크래프트는 공포문학의 매혹에서 고딕 문학의 계보를 설명하면서 앤 래드클리프(Ann Radcliffe)를 거론한다러브크래프트는 잔혹함과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소설 속 장면을 효과적으로 묘사한 래드클리프의 필력을 극찬한다. 래드클리프는 결말에 가서야 등장인물들을 벌벌 떨게 만든 망령의 실체를 장황하게 설명하면서 밝힌다. 러브크래프트는 기괴한 환상을 와장창 깨뜨려버리는 작가의 글쓰기를 짜증 나는 습관이라고 표현하면서 비판한다. 러브크래프트는 래드클리프를 비판하면서 다시 한번 책의 첫 문장에 있는 공포의 정의를 상기시킨다.


그렇지만 러브크래프트가 생각하는 공포의 정의와 이를 반영한 비판적인 견해가 무조건 옳다고 볼 수 없다. 러브크래프트보다 먼저 태어난 래드클리프도 공포의 정의를 내렸다. 그녀는 공포의 본질적인 의미를 명백하게 보이는 잔혹성이라고 규정한다. 러브크래프트가 낯설고 불확실한 미지의 존재를 마주하면서 생기는 공포를 선호했다면, 반대로 래드클리프는 예측 가능한 기지의 존재의 행동을 볼 때 느껴지는 공포를 주목했다. 래드클리프가 창조한 망령은 처음에 보이지 않는 불확실한 존재였다가 실체가 드러나는 순간 ‘명백하게 보이는 존재가 된다. 따라서 우리와 가까운 명확한 존재도 괴물이 될 수 있다.


릴라 테일러(Leila Taylor)다클리: 미국 고딕의 검은 영혼》(Darkly: Black History and America’s Gothic Soul, 2019)1927년에 나온 공포문학의 매혹을 더 낡아빠진 책으로 만들어버린다. 재미있게도 테일러는 미국 고딕을 분석한 자신의 책에 단 한 번도 러브크래프트를 언급하지 않는다. 러브크래프트는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와 함께 미국 공포문학의 양대 산맥으로 꼽힌다. 하지만 생전에 러브크래프트는 흑인을 무척 싫어한 인종차별주의자였다. 그는 흑인과 혼혈인이 미국을 세운 백인인 앵글로 색슨족(Anglo-Saxon)을 위협하는 존재로 인식했다. 그의 소설에 등장한 공포스러운 존재는 백인 중심 공동체의 평화를 파괴하는 사악한 인종으로 묘사되어 있다. 테일러가 러브크래프트의 인종 혐오를 까기 위해 의도적으로 배제한 것인지 알 수 없지만, 흑인을 ‘미국의 괴물로 보이게 만드는 미국 고딕을 비판한다.


흑인성(Blackness)은 흑인을 괴물로 만드는 데 적합한 여러 가지 설정을 담고 있다가난, 범죄, 마약 중독, 난잡한 성생활. 이 모든 것은 백인의 인종적 편견이 반영된 흑인성이다. 백인은 흑인성을 두려워했다. 일상적인 공포를 억누르기 위해 흑인을 멸시했고, 그들을 철저히 배제하는 정책을 만들었다. 과격한 백인 우월주의자들은 미국의 괴물을 집단 폭행했고 처형했다.


테일러는 흑인에 대한 백인의 두려움이 수백 년에 걸쳐 전략적 공포로 길러져 왔다고 말한다. 노예로 살아온 흑인은 자신을 가혹하게 대한 백인을 증오한다. 백인은 흑인에게 보복당할 수 있다는 막연한 두려움을 느낀다. 흑인의 피 한 방울이 섞이면 더러워진 백인의 피는 흑인의 피라고 믿는다. 흑인은 백인 사회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보이는 괴물이 된다.


흑인을 차별하는 사회제도가 사라졌어도 흑인에 대한 암묵적인 차별과 공포는 여전히 백인들의 마음속에 남아 있다. 흑인과 백인이 아닌 다른 인종을 테러리스트나 야만적인 악마 숭배자로 묘사되는 영화는 계속 나오고 있다. 미국의 백인은 무서운 흑인’ 또는 ‘문란한 흑인 여성이라는 편견을 버리지 못한 것일까. 그들은 흑인 인어 공주의 등장을 달갑지 않게 여긴다. 심지어 백인에게 차별당한 아시아인들마저도 흑인 인어 공주를 비난하는 ‘반 흑인 여론에 동참하고 있다. 흑인 인어 공주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은 인어 공주가 하얀 피부와 금발의 아름다운 백인으로 영원히 남길 바란다. 상상의 존재의 외모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운 매력을 보호하기 위해서 백인성(whiteness)과 순혈주의를 내세우고 있다. 따지고 보면 인어는 인간과 물고기의 몸이 합친 괴물이다다른 인종의 피 한 방울도 섞이는 것을 싫어하는 순혈주의자들이 백인 여성의 피와 인간이 아닌 물고기의 피가 섞인 ‘잡종 괴물 인어 공주를 선호하고 있다니. 코미디에 가까운 모순이다.


다클리공포를 협소하게 정의한 러브크래프트의 한계를 반박하는 동시에 그가 공포문학의 매혹에서 다루지 못한 것을 보여준다. 미지의 존재에만 집착한 러브크래프트는 인종 차별주의가 반영된 흑인에 대한 전략적 공포를 외면했다. 미국의 소설가 랠프 엘리슨(Ralph Ellison)이 표현한 것처럼 백인은 자신들의 눈에 보이는 흑인을 투명 인간(Invisible Man)으로 취급했다. 여기에 테일러의 견해를 덧붙이면 흑인은 미국의 투명한 괴물’이. 백인은 흑인에 대한 공포감을 해소할 수 있다면 그들을 때려죽여도 되며 수상한 행동을 하면 총으로 쏴도 된다고 생각한다. 이렇듯 흑인을 억압하는 전략적 공포는 명백하게 보이는 잔혹성’에 해당한.


공포와 괴물의 정의는 시대가 변하면서 끊임없이 변주된다. 미국 백인 국민을, 미국 백인 국민에 의한, 미국 백인 국민을 위한, 말 그대로 순수한 미국 고딕과 공포 장르는 없다. 괴물을 분류하는 기준은 개인 또는 한 집단의 주관적인 판단과 편견이 뭉쳐진 이분법적 사고다. 이 비합리적인 기준을 해체하면 누구나 괴물이 될 수 있다. 순혈주의가 만든 고딕과 공포 장르는 불편하다. 자신을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로, 타자를 괴물로 몰아세우면서 공포를 즐긴다는 것 자체가 기이하면서도 더 무섭다.





※ 미주(尾註)알 고주(考註)



* 원서에 도판이 있지만, 번역본에는 모든 도판이 빠져 있다.

 

 


* 53




 

 9학년 때 영어 선생님이 오래된 포(E. A. Poe) 작품집을 주셨다. 오래전에 잃어버리기는 했지만, 붉은색 표지는 해지고 종이는 누렇게 변한 그 책을 약간 경외감을 가지고 받았던 건 기억난다. 비싼 건 아니었지만 그 낡은 책은 대형 서점에서 바로 산 것과는 달리, 대물림되거나 우연히 발견된 것처럼 특별하게 느꼈다. 갈까마귀’[주1]는 내가 처음으로 (그리고 유일하게) 암송한 시였다.



[1] 포의 시 ‘The Raven’까마귀(큰까마귀)’로 번역해야 한다. 갈까마귀의 영문명은 ‘Daurian jackdaw’. 큰까마귀와 갈까마귀는 학명도 다른 종이다.





* 58

 

 내가 어렸을 때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보지 않았다. 부모님은 내가 백마 탄 왕자/잠자는 숲속의 공주 같은 쓰레기에 세뇌되는 걸 원치 않았고 당시에 흑인 공주가 없었다. 월트 디즈니(Walt Disney)에 대해 처음 배운 사실은 그는 파시스트였다로 기억한다.[2] 어쨌든 나는 그런 종류의 판타지에 흥미가 없었다.

 


[2] 월트 디즈니와 관련된 음모론이 상당히 많다. 디즈니가 독일의 나치(Nazi)를 지원하는 반유대주의자라거나 백인 우월주의 단체인 KKK의 회원이라는 소문이 있다. 모두 억측일 뿐 사실이 아니다. 디즈니가 파시스트였다라는 주장 역시 근거 없는 소문이다.





* 203~204

 

 현대 폐허의 숭고함은 그것이 가진 상대적인 새로움에 있다. 옛 건물의 용도와 이력은 친숙하고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가 사는 세상이 먼지로 돌아갈 것이라는 데서 오는 매혹과 혐오 사이의 이분법을 만들어 낸다. 우리는 우리 자신이 무너져 가는 모습을 본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죽음을 바라보고 있으며, 사진, 폐허 포르노 웹사이트, 다큐멘터리, 공포 영화를 통해 우리 자신의 장례식을 애도하는 사람이 된다. 이렇게 문명의 종말을 흘낏 보는 것에는 묵시록 이후의 세상을 맛본다는 음침한 즐거움이 있다. 유진 태커(Eugene Thacker)는 이같이 모호한 구역을 우리 없는 세상(world-without-us)”이라 불렀다.[주3] 이는 인간 없는 세상, 인간이 하찮은 존재가 된 장소는 어떻게 될 것인지 살짝 엿보는 것이다.

 


[3] 우리 없는 세상”이라는 용어는 유진 새커의 저서 이 행성의 먼지 속에서: 철학의 공포(김태한 옮김, 필로소픽, 2022)에 나온다.






* 220




 

 외계인에서 복제된[주4] 인간들이 지구를 지배하게 될 게 명백해지고 진짜 인간 생존자들은 몇 안 남은 상황에서 복제인간에 대항하는 유일한 방법은 깨어 있는 것뿐이었다.



[4] 오자. 외계인에게 복제된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2-10-10 14:4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지배자의 입장에서 타자를 가혹하게 억압한 경험은 그 지배자에게는 타자의 저항에 대한 공포가 내재되어 있을거 같아요. 그런 공포를 지배자 - 백인들은 흑인을 괴물로 나타내는 것으로 또 해소하는거겟죠. 미국 문화에 대한 또 다른 측면을 볼 수 있는 책일듯하여 흥미가 갑니다.

cyrus 2022-10-15 11:41   좋아요 1 | URL
네, 이 책의 주요 내용을 잘 말씀하셨어요. ^^

미미 2022-10-10 16: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자신과 비슷한 것에 대한 질투도
마찬가지일까 생각해봅니다.
어쩌면 나와 비교 할 수 있는
대상을 질투하고 혐오하는 것일지 모른다고요.^^

cyrus 2022-10-15 11:44   좋아요 1 | URL
맞아요. 상대방의 약점이 내 약점과 비슷하다면 애써 그 상대방과 비교해서 그를 깔보려고 하죠. 그러면 내 약점이 사람들의 눈에 덜 띄게 되죠. ^^;;

2022-10-10 16: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0-15 11: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0-15 14: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다클리 - 미국 고딕의 검은 영혼
릴라 테일러 지음, 정세윤 옮김 / 구픽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독자 북펀드에 참여했다.

러브크래프트가 창조한 괴물 크툴루는 돌진하는 소형 증기선에 부딪혀 머리가 터져버린 채 죽었다. 얇은 분량의 《다클리》는 흑인과 황인종을 백인을 위협하는 사악한 존재로 설정한 인종차별주의자 러브크래프트의 머리를 제대로 뚫어버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싹한 의학의 세계사 - 웃기고 때로는 속이 뒤집히는 질병들
데이비드 하빌랜드 지음, 이현정 옮김 / 베가북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3점   ★★★   B






오싹한 의학의 세계사의 원제는 ‘How to Remove a Brain: And Other Bizarre Medical Practices and Procedures’. 제목의 의미만 알아도 이 책에 주로 어떤 내용이 나오는지 대충 느낌이 온다. 오싹한 의학의 세계사과거에 성행했던 특이한(bizarre) 의료 기술과 처방전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한 책이다뇌를 제거하는 법(How to Remove a Brain)’미라를 만드는 과정 중 하나. 기원전 3500년 전의 고대 이집트인들은 송장을 미라로 만들 때 뇌를 들어냈다. 그들은 심장을 인간 존재의 중심을 상징하는 장기로 여겼고, 그대로 남겨두었다. 제거한 뇌와 콩팥을 제외한 나머지 장기들은 영혼으로 부활하는 송장을 위해서 병에 담아 관 속에 넣었다. 그렇다면 미라 제작자들은 뇌를 어떻게 제거했을까? 끝에 갈고리가 달린 철사를 코에 쑤셔 넣어 뇌를 조금씩 빼냈다.


세균의 실체가 밝혀지기 전까지 과거의 사람들은 나쁜 공기가 질병의 원인이라고 믿었다. 흑사병은 유럽사에서 가장 악명 높은 전염병이다. 흑사병을 일으키는 페스트균은 쥐에 기생하는 벼룩에 의해 사람에게 전파된다. 이 사실을 몰랐던 의사들은 나쁜 공기보다 더 고약한 악취로 흑사병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의사들이 권고한 악취의 종류는 다양했는데, 그중 하나가 인간의 방귀였다. 의사의 처방전을 따르는 사람들은 방귀를 유리병에 저장했다. 자신이 사는 곳에 흑사병 환자가 생기면 병을 열어 방귀를 들이마셨다


오싹한 의학의 세계사는 특이한 의료 기술뿐만 아니라 과학적이지 않은 민간요법이나 돌팔이 의사들의 엉터리 치료법도 소개한다그렇다고 이 책이 의학사의 어두운 면만 보여주는 건 아니다. 인류의 목숨을 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의사들에 관한 이야기도 있다우리는 양질의 의료 기술을 받으면서 살고 있지만, 여전히 유사 의학과 민간요법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사람들이 있다달이 뜨고 지는 주기와 인간의 행동 및 건강 상태의 연관성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속설이다. 특히 몇몇 과학자와 페미니스트는 여자들이 함께 살거나 일하면 월경 주기가 같아진다동기화 이론을 신봉한. 동기화 이론을 주장한 학자의 연구 방식에 결함이 있다고 지적한 반론들은 오래전에 나왔다.


책의 저자는 과학적으로 검증된 사실을 기반으로 상식으로 둔갑한 가짜 의학 정보를 비판한다. 이런 유익한 내용을 전달하는 저자의 노력을 칭찬해주고 싶다. 하지만 이 책에도 잘못 알려진 내용,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다.




* 29




 

 1942에 교황 인노첸시오 8세는 혼수상태에 빠진 후, 세 명의 어린 소년으로부터 수혈을 받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넷 모두 사망하고 말았다고 한다.

 


‘1942‘1492의 오자. 인노첸시오 8(Innocentius VIII)의 주치의 자코모 디 산 제네시오(Giacomo di San Genesio)는 세 명의 소년에게 뽑아낸 피를 교황에게 마시게 했다. 의사가 실패한 치료를 기록으로 남겼고, 교황은 세계 최초로 수혈을 받은 사람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주치의의 증언은 사실이 아니라는 반론도 있다(Jacalyn Duffin, History of Medicine: A scandalously short introduc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9, p. 171.)




* 91


 해파리에 쏘이면 고통스럽겠지만 다행히 치명적일 정도는 아니다. 또 통증은 대개 24시간 정도 지나면 저절로 사라진다.



몇 시간 안에 죽음을 이르게 할 정도로 치명적인 독을 가진 해파리도 있다.




* 145

 

 잭 더 리퍼는 세계에서 가장 악명 높은 연쇄살인마 가운데 한 명이다. [중략] 그는 (그가 여자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지만) 1888년에서 1891년까지 대략 5~11건의 살인을 저질렀다.



잭 더 리퍼가 여장 남자라고 주장한 사람 중 한 명이 코난 도일(Conan Doyle)이다. 잭 더 리퍼(Jack the Ripper)가 저지른 것으로 공식적으로 확인된 살인 사건은 총 5이다. 이를 ‘Canonical Five’라고 부른다.




* 170




 

 60cm에 달하는 가이드 와이어 사타구니에서 가슴 상부까지 이어져 있어서 제거해야 했던 환자도 있다.



오탈자. 가 빠졌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2-10-10 0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492년의 수혈은 비극적인 결과네요. 네 명 모두 피해자가 되었으니까요.
의학사를 보다보면 이전 사람들의 생각을 알 수 있는데, 지금과는 다른 점이 많은 것 같아요.
잘읽었습니다. cyrus님, 차가워진 날씨 감기 조심하시고, 편안한 휴일 보내세요.^^

cyrus 2022-10-10 13:30   좋아요 1 | URL
실제로 일어난 일이라면, 그때 당시에 어린이나 젊은 사람의 피가 몸에 좋다는 믿음이 있었을 것이에요. 놀랍게도 지금도 젊은 사람의 피를 수혈하면 노화를 막을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어요. 젊은 사람의 피에 근육을 되살리는 성분이 발견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어요.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효과가 언제까지 지속되는지, 부작용에 대해서 알려진 것이 없거든요.

오늘은 어제보다 더 춥네요. 서니데이님도 마지막 휴일(오늘이 올해의 마지막 공휴일입니다..ㅠㅠ) 잘 보내세요. ^^
 
모더니스트 마네
홍일립 지음 / 환대의식탁 / 2022년 8월
평점 :
절판





인상주의 미술에 대해서 설명하면 에두아르 마네(Edouard Manet)는 무조건 거론된다. 마네는 그림 한 점 때문에 사이가 나빠진 드가(Edgar De Gas)를 제외한 인상주의자들에게 지지받았다. 시인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와 소설가 에밀 졸라(Emile Zola)는 인상주의 화가들을 지지한 문인이다. 두 사람은 마네의 그림에서 현대성을 발견했다. 현대성이란 평범한 일상에서 생활하는 현대인의 특성을 의미한다.


오스만(Haussmann) 남작이 주도한 대규모 재개발 사업은 파리를 도시의 모습으로 탈바꿈시켰다시커먼 매연을 내뿜는 공장이 줄줄이 들어서고, 철도가 생기면서 사람들은 기차를 타고 먼 거리를 오갈 수 있게 됐다. 이렇게 파리는 자본주의라는 심장에 맞춰 움직이는 혁신적인 공간으로 변하고 있었다. 하지만 파리의 현대인들은 여전히 현실과 동떨어진 과거의 미학을 선호했다. 젊은 화가를 양성하는 미술 학교의 교사는 학생들에게 고대 로마인들의 생활이나 고대 그리스 신화의 한 장면을 잘 그리는 방법을 가르쳤다. 미술 학교를 졸업한 화가들은 스승이 가르친 대로 그림을 그렸고, 평단으로부터 재능 있는 화가로 인정받았다.


그렇지만 마네는 달랐다.화가는 자기가 본 대로 그려야 한다.”,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는 것만이 진실이다.” 그게 마네의 신조였고, 그는 파리의 민낯을 화폭에 옮겼다. 마네는 벌거벗은 여신이 아닌 매춘부를 그렸다. 그림 제목은 당시 매춘부들이 주로 사용하던 이름이었던 올랭피아(Olympia)’다. 이 그림 하나가 프랑스 전체를 발칵 뒤집어놓았다. 마네의 그림을 본 비평가와 관객들은 불쾌감과 분노를 표출했고, 마네를 조롱했다. 현대미술의 시작을 알리는 걸작인 마네의 <올랭피아>는 그렇게 대중의 소란스러운 여론 속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모더니스트 마네는 인상주의 예술이라는 표본 상자에 박제된 마네가 아닌 현대생활의 화가 마네를 주목한다마네는 화려함에 감춰진 파리의 어두운 그늘에 관심이 많았다. 파리가 재개발되면서 빈민가는 점점 파리 외곽으로 밀려나고, 그곳에 그늘이 생겼다. 파리의 중심부에 사는 부르주아는 빈민과 넝마주이를 살아있는 쓰레기로 취급했고, 빈민의 삶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문학과 예술은 추악하다고 생각했다. 부르주아만 드나들 수 있는 전시회에 가난한 사람이 주인공인 그림은 찾아볼 수 없었다. 하지만 마네는 가난한 사람을 파리 시민이자 현대인으로 인식했고, 이들의 삶을 예술로 옮겼다


마네가 인상주의의 아버지로 알려졌지만실제로 그는 총 여덟 번 치러진 인상주의 전시회에 단 한 번도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마네를 제대로 알고 평가해야 한다. 인상주의 화가들이 빛에 의해 시시각각 변하는 사물의 색을 포착하려고 했다면마네 시대의 흐름을 예리하게 주시하고 기록한 모더니스트인상주의 화가들이 모여서 빛을 만난 예술을 대중에게 선보이고 있을 때마네는 전시회에 없는 그림을 그렸다. 


모더니스트 마네는 인상주의자들과 구별되는 마네의 작품 세계를 미술사에 문외한 독자도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그렇지만 냉정하게 보면 모더니스트 마네는 잘 만든 책은 아니다. 내 돈 주면서 사고 싶지 않은 책이다. 불행하게도 나는 이 책을 나오자마자 주문해서 샀다. ㅅㅂ 


[취소 선 사유: 저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비속어를 썼습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초판본은 잘못 만들어진 파본이다. 초판본 앞표지 그림은 앙투안 르냉(Antoine Le Nain)<늙은 파이프 연주자>(1642) 일부이다. 뒤표지 그림은 마네의 <늙은 음악가>(1862) 일부이다. 마네에 관한 책인데 정작 앞표지에 있어야 할 그림은 마네가 그린 것이 아니다


더 웃긴 사실은 책 앞날개 밑에 있다. 거기에 표지로 사용된 그림의 제목이 적혀 있는데, <늙은 파이프 연주>가 마네의 작품으로 되어 있다. 제대로 보지 않으면 그냥 지나칠 수 있는 오자출판사가 초판본이 잘못 만들었다는 것을 파악했는지, 앞표지 그림을 <늙은 음악가>로 변경한 책을 내놓았다. 그런데 대구 교보문고에 있는 모더니스트 마네는 표지 그림이 잘못된 파본이다. 출판사가 대형 서점에 남아 있는 파본을 제대로 회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책의 얼굴만 잘못된 게 아니다. 책 내부도 좋지 않은데, 책 속에 오자와 오류가 많다.


[취소 선 사유: 제 서평에도 오류가 많습니다. 삭제해야 하지만, 그냥 지운다고 해서 저의 명백한 실수는 덮어지지 않기 때문에 문제 있는 내용에 취소 선을 표시했습니다. 서평에 확인된 오류를 짚어준 홍일립 님의 글(링크 첨부)을 참고하세요.]

 

홍일립, <cyrus님께 답변해드립니다>

https://blog.aladin.co.kr/713543113/14002326










16쪽에 여류 인상주의자 베르트 모리조’, 21쪽에 여류화가라는 표현이 있다. 오자는 아니지만, 이런 구시대적 표현을 안 쓰는 게 좋다.







59쪽 각주에 있는 존 리월드(John Rewald)의 책 제목을 수정해야 한다. 인상주의가 아니라 인상주의의 역사(History of Impressionism).





* 75

 

 가령 쿠르베의 <센 강변의 아가씨들>과 마네의 <풀밭에서의 점심> 비교해보면 두 사람이 서로 다른 예술세계를 추구했음을 알 수 있다. [중략]프리드는 양자의 누드화에서의 근본적 차이를 지적하면서 이들이 처한 상이한 역사적 위치 때문에 상호 간에 예술적으로 반응하는 경쟁이 가능했다고 주장한다.





귀스타브 쿠르베

센 강변의 아가씨들

1856~1857




쿠르베의 <센 강변의 아가씨들>누드화가 아니다.





* 107쪽, 108쪽(그림 3-12)

   

 마네는 모방의 기술을 창작에 자주 사용한다. <올랭피아> 바로 직전에 그린 <풀밭에서의 점심>에서도 이 기술을 구사했다. 마네는 그림의 중심부에 위치한 주인공들의 포즈를 마르칸토니오 라이몬디의 판화 <파리스의 심판>에서 그대로 빌려왔다.

 


<파리스의 심판>은 마르칸토니오 라이몬디(Marcantonio Raimondi)이 제작한 판화 작품이 아니라 ‘(판화 형태의) 복제품이다. <파리스의 심판> 원본은 라파엘로(Raffaello)가 그렸는데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라이몬디는 알브레히드 뒤러(Albrecht Durer)를 포함한 거장들의 작품을 대량으로 복제해서 판매했다. 그 당시에 지식재산권이 없던 시대라서 거장들의 대표작을 베껴서 그리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 184


 한편 그림 왼쪽 상단에는 마네의 대표작 <올랭피아>를 비롯해서 3점의 액자가 걸려 있다. 나머지 2점은 마네 회화의 참고문헌 구실을 한다. 먼저 의 동판화 <작은 기사들>은 자신의 회화에서 고야가 중요한 출처 중 하나임을 암시한다.




<에밀 졸라의 초상>에 있는 <작은 기사들>고야(Goya)의 동판화 작품이 아니다. 벨라스케스(Velázquez)의 작품을 판화로 복제한 모사품이다.





* 173쪽 각주

 




빅토르 위고 빅토르 위고가

 





* 174





 

상플리에 상플뢰리(Jules Champfleury)






* 191쪽 각주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 김병화 옮김, 생각의나무, 2005.[주]




[] 2019년에 개정판(출판사는 글항아리’)이 출간되었다.






* 196쪽 각주




   

스펙터클의 사회, 이경숙 옮김, 현실문화연구, 1996.[주2]




[2] 표준어 규칙대로 쓰면 스펙터클이지만, 출간 당시 책 제목은 스펙타클의 사회. 현실문화연구에서 나온 스펙타클의 사회는 절판되었고, 2014년에 개정판(유재홍 옮김, 울력)이 출간되었다.






* 234







푸르동주의자 프루동주의자






* 274


 




마네의정치적 성향을 마네의 정치적 성향을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22-10-05 09:2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ㅅㅂ이 제가 상상하는 단어가 맞나요??? ㅎㅎ 여류뿐만 아니라 이제는 일류 이류도 잘 안 쓰는 단어죠!! 여류… 언제적 단어인데 여전히 사용하다니 번역가의 단어 인식에 문제가 있네요!!

감은빛 2022-10-05 10:44   좋아요 3 | URL
기억의집님. 문제는 이 책이 번역본이 아니라는 점이지요. ㅎㅎ

저자의 언어 사용 수준을 짐작할 수 있는 증거네요. 게다가 cyrus님이 본문에 캡쳐해 올린 저 많은 오류들을 생각하면 제대로 확인작업도 거치지 않고 책을 냈군요. 저자가 놓쳤다면 편집자가 걸러냈어야 하는 부분들인데. 책을 구매한 독자 입장에서는 많이 아쉬울 수 밖에 없겠네요.

기억의집 2022-10-05 11:22   좋아요 2 | URL
헐,, 저는 이 책 검색까지 했어요. 22년 8월에 나왔더라고요. 근데 왜 이 책을 번역이라고 생각했을까요?? ㅎㅎㅎ 아마 저의 사고 밑바닥에 번역책일 것이다라고 생각했나봐요!!!

cyrus 2022-10-08 02:56   좋아요 2 | URL
저는 다양한 해석을 존중합니다. ‘ㅅㅂ’이 ‘사비’일 수 있고요. 제가 이 책을 사비로 샀거든요.. ㅎㅎㅎ

mini74 2022-10-05 13: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헉. 살까말까 고민했던 책인데 말이지요. ㅠㅠ

cyrus 2022-10-08 02:56   좋아요 2 | URL
사지 말고 도서관에 대출해서 읽어보세요. ^^
 
100단어로 읽는 중세 이야기 - 어원에 담긴 매혹적인 역사를 읽다
김동섭 지음 / 책과함께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협찬받고 쓴 서평이 아닙니다.



평점


2.5점   ★★☆   B-






언어를 쪼개 보면 그 속에 무엇이 들어있을까? 언어를 만들고 썼던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이 있다. 말의 유래를 살펴보면 그것이 만들어지게 된 시대적 배경을 확인할 수 있다. 알고 보면 언어는 만질 수 없는 유물이다. 100단어로 읽는 중세 이야기는 유물과 같은 100가지 영어 단어를 소개한 책이다. 100가지 단어에 중세 유럽의 역사가 새겨져 있다.

 

영국과 프랑스는 중세 유럽을 대표하는 강대국이었다. 이 두 나라는 여러 차례 전쟁과 휴전을 되풀이하면서 백년전쟁(1337~1453)을 치렀다. 현대 영어가 영국과 미국의 언어라면, 중세 영어는 영국과 프랑스의 언어다. 북유럽에서 터를 잡고 살던 노르만족은 세력 확장을 위해 서유럽 쪽으로 눈을 돌렸다. 프랑스에 정착한 노르만족은 1066년에 영국을 정복하는 데 성공했고, 그 이후로 프랑스어는 영어가 되었다.

 

‘e-mail’mail은 원래 중세 영어가 된 프랑스어다. mail의 어원은 ‘malle’. malle은 지갑, 여행 가방을 뜻한다. 비스킷(biscuit)두 번 구웠다라는 뜻을 가진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말이다. 중세에 만들어진 빵은 하루만 지나도 딱딱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런 빵은 장기간 여행을 하는 사람들을 위한 휴대 식량이 되기에 부적합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두 번 구운 빵이 나왔는데 그것이 바로 비스킷이다. 비스킷은 크기가 작아서 휴대하기 편하고,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노르만족은 영국 사법 제도의 기틀을 다졌다. 영국 법정 단어 대부분은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다. 중세의 재판은 영주의 땅인 마당에서 진행되었다. 마당을 뜻하는 프랑스어 cour법정(法庭)’을 뜻하는 영어 court가 되었다.

 

100단어로 읽는 중세 이야기는 단어가 된 중세 유럽사를 쉽게 풀어 쓴 책이다. 각 단어의 의미와 관련된 역사를 정리한 글의 분량이 길지 않아서 한 번 읽기 시작하면 금방 다 읽을 수 있다. 이 책을 쓴 저자는 중세 유럽과 문화에 관심이 많은 언어학자다. 역사 전문가가 아닌 유럽 언어 및 문화 전문가가 역사책을 썼다. 이렇다 보니 책 속에 역사적 정설로 잘못 알려진 내용이 버젓이 나온다. 문제는 이런 내용이 한두 개가 아니라는 점이다.[주] 이 정도면 100단어로 읽는 중세 이야기를 역사책이라고 소개하기가 민망하다.

 





[주] 책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는 811일에 작성된 배보다 배꼽이 큰 서평이라는 글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