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원더랜드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과학으로 읽다
안세실 다가에프.아가타 리에뱅바쟁 지음, 김자연 옮김 / 애플북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5점  ★★★★☆  A





루이스 캐럴(Lewis Carrol)의 소설 앨리스 시리즈(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거울 나라의 앨리스)’에 나오는 동물들은 독특하다. 그들은 잠깐 스쳐 지나가는 조연이다. 그래도 이상한 나라(Wonderland)’에 사는 존재답게 동물들의 외형과 행동이 범상치 않다. 양복 주머니 속에 있는 시계를 꺼내어 시간을 확인하고, 굴이 있는 쪽으로 급하게 달려가는 토끼는 앨리스가 처음으로 만난 이상한 동물이다. 이빨을 드러내면서 웃는 체셔 고양이(Cheshire cat)는 신출귀몰의 재주를 지녔다. 몸통만 사라지게 해서 미소 짓는 얼굴만 남게 할 수 있다. 동물들이 앨리스와 주고받으면서 나온 말장난 같은 대사는 독자들의 뇌리에 !’ 박힌 명대사가 되었다. 버섯 위에 앉아서 느긋하게 물담배를 피우는 애벌레는 자신을 멀뚱히 쳐다보는 앨리스에게 질문을 던진다. 너는 누구냐?”

 

사이언스 원더랜드동물학자의 주석이 달린 <앨리스>’. 이 책의 저자는 두 명의 프랑스 출신 동물학자다. 두 사람은 앨리스 시리즈를 동물학, 생물학, 생태학으로 독해한다. 수학자 마틴 가드너(Martin Gardner)가 써서 유명해진 주석 달린 앨리스와 같다고 해서 지레 겁먹지 않아도 된다. 사이언스 원더랜드주석 달린 앨리스처럼 어마어마한 개수의 주석이 본문에 주렁주렁 달린 벽돌 책이 아니다. 사이언스 원더랜드는 독자들을 배려할 줄 아는 친절한 책이다. 마틴 가드너의 책을 참고했지만,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았다. 저자가 직접적으로 언급한 마틴 가드너의 주석은 단 한 개뿐이다. 사이언스 원더랜드에 달린 주석은 독자가 생소하게 여길 수 있는 생물학 관련 용어의 의미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애벌레는 입이 없다. 따라서 입으로 숨 쉬지 않는다. 그런데 이상한 나라의 애벌레는 입으로 물담배를 피운다! 공동 저자는 사소한 옥에 티를 그냥 지나치지 않는다. 원래 직업이 과학자인 공동 저자는 앨리스 시리즈에 등장한 동물들을 회의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면서 분석한다. 고양이의 미소는 이상한 나라에서만 가능한 신체적 현상이 아니다. 고양이도 인간처럼 입술을 움직이고 웃는 표정을 지을 수 있다. 하지만 고양이 미소를 제대로 보기 힘들다. 고양이의 입술 가장자리는 털로 뒤덮여 있다. 고양이의 미묘한 미소는 고양이 집사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인간의 손과 팔이 달린 도도(Dodo) 는 물에 젖은 동물들을 위해 달리기 경기와 유사한 코커스 경주(Caucus Race)’를 제안한다. 도도 새는 코커스 경주에 참여하면 몸을 금방 마를 수 있다고 장담한다. 하지만 몇몇 동물은 달리지 않아도 된다. 가마우지는 물에 젖은 날개를 활짝 펴서 햇볕을 쬔다.

 

현실에 나올 법한 동물이 아닌 환상 동물또한 이 책을 쓴 저자들의 분석 대상이다.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서 나오는 난해한 시 <재버워키>(Jabberwocky)에 수수께끼 같은 동물들의 이름이 언급된다. 저자들은 <재버워키>의 이상한 동물들이 아무런 의미가 없는 공허한 존재로 여기지 않는다. 이상한 동물들도 알고 보면 현실 속 동물과 어느 정도 비슷하게 생겼다.

 

생태학은 인간과 동물, 인간과 자연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요즘 생태학에서 가장 많이 강조하는 용어가 생물 다양성이다. 지구의 모든 생물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만약에 어떤 생물 종이 멸종되면, 그들과 협력하면서 지내온 다른 생물 종도 절멸 위기에 처한다.가짜 거북이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등장하는 동물 중에서 많이 알려지지 않은 존재다. 기괴한 모습의 가짜 거북이는 실제로 영국 빅토리아 시대에 유행했던 거북이 수프와 관련이 있다. 거북이 수프가 상류층 사이에서 인기 음식으로 알려지면서 수많은 거북이가 인간의 손에 희생당했다. 거북이 수프가 중산층들에게도 알려지자, 식용 거북이의 개체 수가 줄어들었다. 요리사들은 거북이 대신에 송아지 머리를 통째로 넣은 일명 가짜 거북이 수프를 선보였다. 지금은 거북이 수프를 즐겨 먹는 사람이 없다. 하지만 환경 오염과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거북의 서식지가 줄어들게 되면서 멸종 위기에 처한 거북 종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순진하기 짝이 없는 어린 굴들을 속여서 잡아먹은 바다코끼리는 소설 속에서 가장 잔인한 동물이다. 하지만 현실 속 바다코끼리는 북극곰과 같은 처지에 있다. 지구온난화로 바닷물 온도는 계속 높아지면 빙하가 녹는다. 빙하는 바다코끼리의 서식지다. 빙하가 많이 사라지면 바다코끼리가 다른 빙하로 이주하는 거리가 늘어난다. 그렇게 되면 바다코끼리는 먹이를 구하지 못한다. 그리고 이주를 포기하고 먹이가 전혀 없는 빙하에 계속 머무는 문제가 생긴다.

 

인간이 이상해지면 지구도 이상해진다. 유럽의 여름은 예전보다 더 뜨겁다. 따뜻해진 바닷물은 지난주에 한반도를 지나간 태풍의 영향력을 높여줬다. ‘이상 기후라는 단어의 의미가 무색해진 현실이다. 간간이 일어났던 이상 기후 현상은 우리 주변에 흔히 일어나는 일상 기후가 되어 버렸다. 이상해진 지구는 우리가 자초한 일이다. 그런데도 심각성을 크게 느끼지 않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다. 그들은 태평하게도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라고 믿는다. 심지어 지구온난화 자체를 부정하는 사람들도 있다. Oh my, curiouser and curiouser!(더더 이상해져, 더더 이상해진다고!) [주1]





[주1] “curiouser and curiouser!”


케이크를 먹고 몸집이 거대해진 앨리스가 한 말이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2장(Pool of Tears)의 첫 문장이다. 번역문 출처는 이소연이 옮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펭귄클래식코리아, 2010) 120이다.

 





<cyrus의 주석>



* 74


 1958년에 그림을 그린 머빈 피크[주2]는 새의 형태로 밴더스내치를 표현했는데, 이 새는 팀 버튼의 접접새와 상당히 닮았다.



[2] 열린책들 출판사에서 나온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최용준 옮김, 2009년)는 머빈 피크(Mervyn Peake)의 삽화가 실린 번역본이다. 밴더스내치(Bandersnatch)’는 캐럴의 시 <재버워키>에 나오는 괴물이다. 머빈 피크는 <재버워커>가 언급된 거울 나라의 앨리스삽화도 제작했는데, 열린책들 번역본에 수록되어 있다(169쪽 삽화 참조).





* 172


 찰스 다윈1859년에 발표한 종의 기원에서 설명한 것처럼, 작가 역시 공통된 조상을 가진 인간과 다른 종의 동물 사이의 연속성에 영감을 받았던 것일까? 단정하기 어렵다. [주3]



[3] 코커스 경주에 참여한 동물 중 원숭이가 있다. 캐럴은 땅속 나라의 앨리스(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원본)에 직접 원숭이를 그려 넣었다. 본문에 언급되지 않은 원숭이의 등장은 다윈(Charles Robert Darwin)의 진화론을 둘러싼 대중의 반응을 반영했다는 것이 앨리스 연구자들의 일치된 의견이다. 캐럴이 진화론을 믿지 않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지만, 마틴 가드너는 확신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캐럴은 다윈의 든든한 지지자인 생물학자 토머스 헉슬리(Thomas Huxley)의 제자가 쓴 종의 기원을 읽었다. 그는 일기에 그 책을 무엇보다 흥미롭고 만족스러운 책이라고 평했다. 캐럴은 자연선택만으로 세상의 기원을 설명할 수 없으며 하느님의 창조력과 양립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참고문헌: 마틴 가드너, 승영조 옮김, ALICE IN WONDERLAND: 앨리스출간 150주년 기념 디럭스 에디션》, 꽃피는책, 2023년, 111~11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3-08-14 08: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간소개에서 이 책 보면서 재밌는 기획이네 하고 지나쳤는데 내용도 좋아보이네요. 좋은 책 담아갑니다. ^^

cyrus 2023-08-15 15:18   좋아요 1 | URL
책 내용이 어렵지 않아서 청소년에게 권장할 만한 과학책이에요. ^^
 
강박에 빠진 뇌 - 신경학적 불균형이 만들어낸 멈출 수 없는 불안
제프리 슈워츠 지음, 이은진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기벽(奇癖): 남달리 기이한 버릇


기벽(嗜癖): 한쪽에 치우쳐서 즐기는 버릇


기벽(氣癖): 자부심이 많아서 남에게 지거나 굽히지 않으려는 성질





킁킁. 새 책을 사면 제일 먼저 종이 냄새를 맡는다. 책의 띠지를 절대로 버리지 않는다. 양장본 커버가 없으면 허전하다. 책을 읽다가 특정 단어에 확 꽂히면 생각이 많아진다. 특정 단어를 골똘히 분석하기 시작하면 다음 장으로 넘기지 못한다. 일단 읽고 있던 책을 덮는다. 특정 단어를 알기 위해 도움이 되는 다른 책을 찾아본다. 오역으로 생각되는 문장을 발견하면 책 읽기를 멈추고, 그 문장의 원문을 찾는다. 책의 귀퉁이가 접혀 있으면 바로 편다. 책이 냄비 받침대로 쓰이는 것을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다.


이런 괴팍스러운 성미를 모두 가진 사람이 있다? 그래, 바로 나다. 책 앞에서 예민해지고, 책 읽을 때 강박행동을 보이는 내 모습들이다. 이 모든 행동은 책 좋아하는 사람들조차도 이해하기 힘든 기이한 버릇(奇癖)이다. 과거에는 이런 행동을 병적인 행동이나 병증으로 취급했다. 이상한 기벽(, 버릇 벽)’(병들어 기댈 녁)’(물리칠 벽)’이 합쳐진 한자다. ‘의 또 다른 뜻은 적취(積聚)’. 적취란 몸 안에 쌓인 기가 너무 많이 쌓여 덩어리가 생겨서 아픈 병을 의미한다. 좀처럼 고치기 힘든 기벽은 몸과 정신을 집어삼키는 괴물이다. 기벽이 있는 사람은 쓸모없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답답해하고 불안감을 느낀다. 이때 보이지 않는 괴물이 옆에서 속삭인다. 이렇게 안 하면 넌 살 수 없어. 당장 해!”


책만 보면 내게 간섭하고 조종하는 괴물과 함께 산 지 어언 13년이 되었다독서와 글 쓰는 일에만 매달리는 기벽(嗜癖)도 함께 살고 있다. 나쁜 기벽의 입김이 너무 세서 드라마와 영화를 즐겨 보지 않는다나는 이 괴물들의 정체를 확실히 알고 싶어서 강박에 빠진 뇌: 신경학적 불균형이 만들어낸 멈출 수 없는 불안 만났다. 제일 먼저 책 뒤편에 있는 <강박사고 및 강박행동 점검표>를 펼쳤다점검표는 총 27개의 문항으로 되어 있다. 예상대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강박사고가/강박행동이 있을 수 있다라는 결과가 나왔다강박사고는 원치 않는데도 계속 떠올라 괴로움을 주는 생각이다. 강박사고가 불러일으키는 두려움과 불안을 제거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하는 것을 강박행동이라 한다. 예를 들어 자신 주변에 세균이 너무 많아서 질병에 걸릴 거라고 지나치게 많이 생각하면 강박사고에 해당한다. 비현실적인 두려움을 떨쳐내려고 손 씻는 일에 집착하면 강박행동이다.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이 강박 병증 환자와 그 주변 사람들의 삶을 괴롭히고 무참히 파괴하는 수준에 이르면 강박장애가 된다.


강박에 빠진 뇌의 저자 제프리 슈워츠(Jeffrey Schwartz)는 강박장애를 아주 탐욕스러워서 만족할 줄 모르는 괴물로 비유한다. 강박장애 환자는 이 괴물의 정체를 모른다자해하는 가 문제라고 생각한다. 괴물에 뜯어먹힌 채 생활한 지 오래될수록 자존감은 낮아진다. 자존감이 너무 낮아지면 삶은 텅텅 비어 있고 야위어진다. 가벼워진 삶은 자기 비하의 늪에 한 번 빠지면 쉽게 빠져나오지 못한다. 살려는 의지가 남아 있지 않다.


보이지 않는 괴물의 진짜 정체를 알고 나면 확실히 가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가 아니라 가 문제다. 뇌는 때때로 우리에게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 메시지를 전달받은 여러 신체 기관은 뇌의 잘못된 명령만 믿고 작동한다. 착시 현상에 속는 우리의 반응은 뇌의 속임수를 금방 알아차릴 수 있는 가벼운 오작동에 속한다. 하지만 강박장애는 너무 자주 일어나고, 너무 오래 방치하면 삶을 피폐하게 만드는 위험한 오작동이다.


강박장애는 보이지 않는 정체불명 괴물이 아니다. 뇌가 잘못 보낸 괴물이다. 저자가 제안하는 자기 주도 행동 치료 4단계 중 첫 번째 단계는 재명명이다. 이 괴물의 정체를 확실히 알면 이름을 붙여줘야 한다. 너는 또 날 괴롭히려고 찾아온 강박장애야!’ 나를 괴롭히는 녀석을 알았으면 왜 나타났는지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자기 주도 행동 치료 두 번째 단계는 재귀인이다.뇌가 또 장난치려고 하는구나.’ 이 단계까지 오는 과정이 익숙해지면 강박장애 괴물이 불쑥 찾아와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러면 강박사고가 떠올리거나 강박행동이 나타나는 횟수가 줄어든다. 강박장애 괴물을 제압하려면 공정한 관찰자를 활용해야 한다. 공정한 관찰자는 자신의 진짜 내면을 잘 아는 존재다. ‘공정한 관찰자가 내민 손을 잡으면 강박장애 괴물과 격렬하게 싸울 때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다. 남들이 이해할 수 없고, 나를 괴롭혔던 강박장애가 뇌에 생긴 화학적 문제라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의 실체를 확인했으면 진짜 나의 모습, 내가 진정 원하는 감정과 욕구가 무엇인지 파악한다. 여기서부터 내 몸과 정신을 건강하게 만드는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재 초점 단계에 시작된다. 마지막 단계인 재평가에 도달하면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이 내 삶에 불필요한 것임을 인식한다.


강박장애가 만든 기벽(奇癖)’기벽(氣癖)’으로 맞서 싸워야 한다. 강박장애 환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기벽(氣癖)이 있어야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데 꼭 있어야 할 기벽자부심이 많아서 남에게 지거나 굽히지 않으려는 성질이다. 좋은 기벽이 있으면 삶의 의지와 의욕이 강해진다. ‘공정한 관찰자는 나 자신을 잘 알아야 하고, 나 자신을 사랑할 줄 안다. 또한 자부심을 느끼게 해준다. 강박장애 괴물과의 싸움은 죽을 때까지 해야 한다. 그 녀석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강박장애를 포함한 모든 질병을 완전히 치유할 수 있다는 헛된 믿음이 비대해지면 강박사고로 변할 수 있다. 죽일 수 없어도 절대 질 수 없다는 의지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의지가 없으면 강박장애 괴물에 먹히고, 진짜 내 모습은 사라진다. 기벽이 충만하면 뇌의 악랄한 장난질을 멈출 수 있다. 내 삶의 가치를 높여주는 건설적인 행동을 하면 뇌를 고칠 수 있다. 뇌를 바꾸면 진짜 나로 바뀌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필리아 2023-07-10 15: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의 물성을 먼저 어루만지고 정좌하여 읽는 제 습관이 보여 미소를 띠게 됩니다. 재밌게 읽고 갑니다~

cyrus 2023-07-11 23:32   좋아요 0 | URL
제 글을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책과 관련된 제 기벽을 스스로 부정적으로 생각해본 적이 없고, 오히려 즐기는 편입니다. ^^
 
나노화학 - 10억 분의 1미터에서 찾은 현대 과학의 신세계
장홍제 지음 / 휴머니스트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어린 시절에 반복하다시피 읽은 책이 교양 과학 만화책 시리즈. 그 시리즈 첫 번째 책의 주제가 인체였다. 그런데 책 제목이 기억나지 않는다. ‘인체의 신비였던가? 출판사 이름은 기억난다. 삼성당이다. 무자비하게 흘러간 시간이 책 제목을 지웠다. 그 책에 임시로 제목을 붙인다면 인체 탐험이다. 그렇게 제목을 정한 이유는 SF에 나올 법한 줄거리 때문이다. <인체 탐험>의 등장인물은 흰 수염의 의학 박사와 그를 따르는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다. 의학 박사는 발명에도 남다른 재주가 있다. 비행기와 흡사한 잠수함을 만들었는데, 놀랍게도 버튼 하나 누르면 잠수함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박사와 아이들은 확 줄어든 잠수함을 타고 어떤 남자의 몸속으로 들어간다! 


세 사람이 탄 잠수함은 남자 몸속 구석구석 누빈다. 남자는 자신의 몸속에 아주 작은 잠수함이 들어갔는지 모른 채 살아있는 교본이 된다. 박사는 몸속에 거주하는 세포와 세균이 하는 일과 몸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리 현상의 원인을 아이들에게 설명해준다. 잠수함이 남자의 몸 밖으로 빠져나오는 장면이 가관인데, 남자가 재채기하는 순간 콧구멍을 통해 탈출한다. 만화가는 이 황당한 장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싶었는지 콧구멍으로 빠져나온 잠수함을 콧물과 코딱지가 잔뜩 묻혀 있는 상태로 묘사했다. 가까스로 탈출에 성공했지만, 박사와 아이들은 모험심과 앎에 대한 욕구가 강했다. 그들은 다시 잠수함을 타고 그 남자의 몸속으로 들어가 과학 수업을 재개한다. 

 

지금까지 내가 요약한 <인체 탐험> 줄거리는 100% 정확하지 않다. <인체 탐험> 줄거리는 나의 뇌가 조그마한 기억 조각들을 열심히 주워 모아 제멋대로 편집하고 각색한 것이다. 사람이 잠수함을 타고 몸 내부 곳곳을 여행하는 설정은 현실에서 도저히 일어날 수 없는 이상한 일이다. 그러나 이 이상한 일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아주 작아져 버린 잠수함을 나노 기술로 만들 수 있다나노(nano)’는 소인(小人)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다. 만화에 묘사된 소인들이 탄 잠수함은 인간의 몸에 들어가 병균을 퇴치하는 초미세 의료용 나노로봇으로 실현되었다


나노는 말 그대로 아주 작다는 뜻이다. 따라서 나노 세계는 아주 작은 세계를 의미하게 된다. 아주 작은 세계를 이해하려면 제일 먼저 원자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나노 기술은 최소 1mm부터 최대 1,000nm(나노미터) 크기의 원자를 인위적으로 조작해서 일어난 화학 반응을 응용하는 기술이다화학 관련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저자가 쓴 나노 화학나노 기술의 현주소와 미래를 과학 지식과 곁들어서 풀어 쓴 책이다책 제목에 화학이 들어가 있지만, 나노 기술의 학문적 배경에 물리학도 포함된다원자나 분자 같은 미시 물질을 다루는 나노 기술에 양자역학이 적용된다원자는 모든 물질의 기본단위다. 물리학과 화학 모두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의 실체를 밝혀내고,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학문이다.


우리는 나노 세계를 눈으로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없다. 그래서 아주 작은 세계를 이해하는 일이 우리 삶에 얼마나 이로운지 알지 못한다나노 세계의 물질, 즉 나노입자는 작을수록 좋다. 왜냐하면 나노입자 크기가 작아지면 물질의 특성 자체가 달라지고, 같은 나노입자들끼리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나노 물질들끼리 조합하면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응용한 나노 기술은 실생활에 유용한 생성물을 효율적으로 만들어낸다. 


하지만 나노 기술의 실현 전망이 그렇게 밝은 것만은 아니다. 현실적인 과제들이 산적하다. 나노 물질의 잠재적인 독성을 검증해야 한다. 그래핀(graphene)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나노 물질이다. ‘꿈의 신소재라는 수식어가 붙여질 정도로 디스플레이 · 반도체 · 태양전지 · 자동차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언론의 장밋빛 전망과 달리 그래핀이 완전한 상용화가 이루어지려면 다소 시간이 걸린다.


과학 커뮤니케이터는 생소하고 어려운 과학 용어나 이론을 과학 비전공자들을 위해 좀 더 쉽게 설명하는 전문가다. 나노 화학의 저자는 화학 전문 커뮤니케이터다. 저자는 자신의 본업을 살려 자신만의 방식으로 과학 상식을 쉽게 설명하려고 한다. 특히 화학 반응의 경로와 촉매를 등산으로 비유해서 설명한 대목(280~282)은 압권이다.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갖추어야 할 기본 자질은 과학을 쉽게 설명하는 능력이지만, (내가 생각하는) 반드시 있어야 할 자질은 정확한 사실을 전달하는 것이다. 책에 부연 설명이 필요해 보이는 내용들이 있다. 책 내용에 주석으로 단 내 의견 역시 사실과 다르거나 틀릴 수 있다.



* 24~25

 

 오늘날 모든 전자기기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전기(electricity)는 전자의 흐름으로 설명된다. 지금은 화석연료나 태양광, 지열, 조력 등 온갖 원천에서 전기를 얻으려고 발전이 이루어지지만, 전기의 확인과 관찰은 폭풍우 속에서 하늘에 연을 띄워 벼락에서 전기를 포집했다는 벤저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에 의해 처음 이뤄진다. [1]

 


[1] 프랭클린보다 훨씬 먼저 전기의 성질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과학자는 윌리엄 길버트(William Gilbert, 1544~1603). 그는 자석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면서 지구가 하나의 거대한 자석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1600년에 발표된 길버트의 저서 자석에 관하여에서 호박(琥珀)으로 마찰을 일으켜서 생기는 정전기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길버트는 정전기가 호박에서 나온 힘이라 생각했고, 호박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electricity’로 명명했다. 자석에 관하여자석 이야기(서해문집, 1995년)’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으나 절판되었다.




* 163


 현재 통용되는 원자의 모형을 만들어내고 양자역학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던 에르빈 슈뢰딩거[2][생략]

 


[2] 양자역학을 언급할 때 반드시 언급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사실 닐스 보어(Niels Bohr)코펜하겐 해석에서 드러난 양자역학의 허점을 비판하기 위해 슈뢰딩거가 고안한 사고실험이다. 하지만 그의 의도와 다르게 죽어 있고 동시에 살아 있는 슈뢰딩거의 고양이양자역학에서만 가능한 중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고실험으로 알려지게 된다고양이 한 마리가 유명해지는 바람에 생전에 양자역학을 받아들이지 않은 슈뢰딩거는 오늘날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한 과학자로도 평가받는다. 슈뢰딩거 본인은 달갑지 않은 반응을 보이겠지만.




* 181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에 대해 약간의 논란이 남아 있으나[3]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냈던 프랜시스 크릭은 사실 이보다 더 거대한 발견을 이룩했다.

 


[3] 노벨상 수상과 관련한 약간의 논란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하다. 아마도 논란이 로잘린드 프랭클린(Rosalind Franklin)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로잘린드 프랭클린은 X선을 이용해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히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그녀의 연구 자료를 참고한 왓슨과 크릭이 이중나선 구조 연구 결과를 정리한 논문을 먼저 발표하는 바람에 그녀의 업적이 묻혀버렸다. 브렌다 매독스의 로잘린드 프랭클린과 DNA(양문, 2004, 절판) 하워드 마르켈의 생명의 비밀: 차별과 욕망에 파묻힌 진실(늘봄, 2023)은 로잘린드 프랭클린의 생애와 잘 알려지지 않은 과학자로서의 업적을 소개한 책이다.




* 190

 

 영화 속 장면처럼 뜨거운 열을 폭발시켜 모든 것을 태우는 광열 치료나 피라냐 떼 같은 라디칼을 풀어 주위의 모든 걸 먹어버리도록 만드는[4] 광역학 치료가 탄생했다.



[4] 공포영화에 묘사된 피라냐는 자신 주변에 있는 모든 살아있는 것들을 공격하고, 날카로운 이빨로 뜯어먹는 난폭한 물고기다. 하지만 피라냐의 공격성과 먹성이 사실과 다르게 과장되어 있다. 피라냐는 죽은 물고기의 살도 먹는다. 피라냐 떼에 갑자기 가까이 다가오지 않는다면 그들이 먼저 공격하는 일은 없다. (참고문헌: 매트 브라운, 개가 보는 세상이 흑백이라고?: 동물 상식 바로잡기, 동녘, 2023, 피라냐가 사람을 물어뜯는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자 역학이란 무엇인가 - 원자부터 우주까지 밝히는 완전한 이론, 개정판
마이클 워커 지음, 조진혁 옮김, 이강영 감수 / 처음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협찬받고 쓴 서평이 아닙니다.





평점

 

1점   ★   F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먼(Richard Feynman)은 양자역학의 악명 높은 난해함을 냉소적으로 표현했다. 이 세상에 양자역학을 이해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파인먼이 누구인가? 양자전기역학(quantum electro dynamics, QED)을 만든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과학자다. 그는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다음으로 물리학을 가지고 논[주1] 위대한 과학자로 손꼽힌다. 누군가는 생전에 괴짜다운 면모를 뽐냈던 파인먼 씨가 농담을 잘한다[주2]라고 생각할 것이다.

 

파인먼의 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면 이 세상 모든 과학자가 양자역학을 모른다는 뜻이 된다. 하지만 파인먼은 과학자들의 무능함을 비아냥거리려고 그런 말을 한 것이 아니다. 양자역학은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아주 작고 작은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이다. 미시적인 양자 세계는 우리의 직관을 완전히 뛰어넘는 공간이다. 그곳에는 우리가 평소에 상식이라고 알고 있는 물리법칙이 전혀 통하지 않는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양자역학을 배워서 익히기는 했지만, 양자 세계를 모르는 우리가 알아들을 수 있게 설명하지 못한다.

 

양자역학이 난해하다고 해서 그냥 모른 채 지나칠 수 없다. 우리는 양자로 이루어진 존재이며 양자 세계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양자역학은 세상을 가장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필요한 이론이다. 양자역학의 실체가 알려지면서 원자로 이루어진 모든 물질의 본질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양자역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전에 우선 이 세상이 양자 세계가 아니라고 상상해보자. 양자역학이란 무엇인가》(원제: Quantum Fuzz: The Strange True Makeup of Everything Around Us) 서문은 우리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다고 여기는 양자 세계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원자는 모든 물질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다. () 양자 세계 속에 있는 원자는 지금의 원자와 다른 특성과 구조로 되어 있을 것이다. 아니, 원자 자체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면 비 양자 세계에 우주가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이고, 생명체가 탄생하지도 못했다. 우리로선 그저 상상하고 추측할 수밖에 없는 비 양자 세계야말로 양자 세계보다 더 이상하고 기묘하다. 우리는 양자 세계를 살아가고 있음에 감사해야 한다.







양자역학이란 무엇인가2018년에 나온 책의 개정판이다. 입자물리학 관련 도서를 집필했고, 번역했던 이강영 교수가 이 책의 감수를 맡았다. 그러나 이 책은 개정판인 척하는 구판이다. 구판에 있는 오자는 전혀 고쳐지지 않았다. 역자와 감수자는 과학계의 최근 동향과 연구 성과를 반영하지 않았다.



* 21


 이 세상은 양자 세계이지만 수십 년간의 실험과 이론을 통해 비로소 알려졌다. 1900년부터 원소의 화학적 성질, 주기율표, 원자의 크기, 우리의 크기가 현재와 같은 이유, 그리고 당시까지 존재한 인습적이고 고전적인 시각(예를 들면 사과의 낙하와 행성의 궤도를 설명하는 뉴턴 운동의 법칙)에 어긋나는 여러 현상을 설명하는 급진적이고도 새로운 이론이 전개되었다.

 새로운 견해를 대개 양자론이라고 지칭하며, 이러한 견해를 설명하고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계산법으로 통합한 수학적 접근을 양자역학이라 한다.



뉴턴 고전역학(이 책에서는 고전 뉴턴 물리학이라고 표기되어 있다)의 핵심은 운동법칙(1 법칙: 관성의 법칙, 2 법칙: 가속도의 법칙, 3 법칙: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이다. 그런데 이 책에 고전역학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없다


과학을 이해하는 데도 순서가 있다. 고전역학에 대한 기초 지식 없이 양자역학을 선뜻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양자역학은 뉴턴의 운동법칙 등 고전역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탄생한 이론이다. 고전역학은 원인과 결과가 있는 현상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하지만 양자역학은 고전역학과 다르게 확률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이젠베르크(Werner Karl Heisenberg)의 불확정성 원리에 따르면 양자의 위치와 운동량은 동시에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움직이는 양자를 확률적으로만 알 수 있다.




* 46





 러더퍼드는 뉴질랜드의 노동자층 가정에서 열두 명의 아이 중 한 명으로 자라났다. 장학금을 받으며 학업을 이어 나가던 러더퍼드는 1895년 케임브리지에 들어가 톰슨 밑에서 공부를 하게 된다. [중략]

1898년에는 톰슨의 강력한 추천으로 몬트리올의 맥길대학교 교수로 임용된다. 그곳에서 러더퍼드는 방사성 원소를 연구했다. 1901년 동료 교수인 프레더릭 소디와 함께, 하나의 방사능 원소는 (나중에 헬륨 핵으로 확인된) 알파 입자를 방사하며 다른 원소로 변형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한 원소가 그 방사성의 절반을 잃는 시간을 말하는 반감기라는 용어를 만든 사람이 바로 러더퍼드다). 이 연구로 그는 1908년에 노벨화학상을 수상했고 맨체스터대학교 교수직으로 승격 제안을 받았다. 소디는 2년 뒤 수상했다.


[원문, 41]


 Rutherford was one of twelve children raised in a working-class family in New Zealand. Through a series of scholarships Rutherford had come to Cambridge in 1895 to study under Thomson. [중략]

With Thomson’s high recommendation, he was appointed in 1898 to professor at McGill University in Montreal. There he worked with radioactive elements. In 1901 with fellow professor Frederick Soddy he discovered that one radioactive element could transform into another through the radiation of alpha particles, later recognized as helium nuclei. (It was Rutherford who coined the term half-life to describe the time over which an element would lose half of its radioactive.) For this work he would in 1908 be recognized with a Novel Prize in Chemistry and the offer of a promotion to professorship at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Soddy would get the Prize two years later.

 


프레더릭 소디(Frederick Soddy) ‘2년 뒤 수상했다(Soddy would get the Prize two years later)라는 내용은 오류다. 소디가 노벨화학상을 받은 연도는 1921이다. 191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는 독일의 오토 발라흐(Otto Wallach)저자는 소디의 노벨상 수상 연도를 착각했고, 역자와 감수자는 저자의 오류를 확인하지 못했다.




* 233





 블랙홀은 이론에서 먼저 발견되었다. 별과 같이 질량이 어마어마한 물체가 자신의 중력 때문에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려고 러시아의 천문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Karl Schwarzschild)1916년에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적용해 질량이 충분히 크다면 크기가 무한정 쪼그라들고 밀도는 점점 더 높아지다가 결국 시공간의 특이점에 다다르게 된다고 계산했다.

 


슈바르츠실트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났다.




* 235~236


 블랙홀이라 생각되는 것은 발견했으나 사실 블랙홀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한 것뿐이다. ‘블랙(, 어떤 빛이나 물질도 발산, 반사하지 않음)’이 되려면 물체가 보여서는 안 된다. 이들이 함유하는 에너지와 물질의 질량과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 이들을 찾아낸다. [중략]

 블랙홀이 있다는 가장 강렬한 시각적인 증거는 아마도 근처의 별에서 빼앗아 삼키거나 블랙홀 궤도에 흡수되는 물질에서 발산되는 빛일 것이다.



2019410일에 세계 최초로 촬영한 M87* 블랙홀(처녀자리 A 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 사진이 공개되었다. 사진에 나온 검은 부분은 사건의 지평선이다. 블랙홀에 빨려 들어간 빛은 빠져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블랙홀의 별칭은 포웨이(Pōwehi)’






M87* 블랙홀 사진 (2019년)







궁수자리 A* 블랙홀 사진 (2022년)




2022년에 우리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Sgr A*, 궁수자리 A*)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이 책이 출간된 지 2년 후에 블랙홀의 실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인 증거들이 나왔다(참고 도서: 하이노 팔케 & 외르크 뢰머 공저, 김용기 & 정경숙 공역, 이것이 최초의 블랙홀 사진입니다: 천문학의 역사와 블랙홀 관측 여정, 에코리브르, 2023년)




* 340





 이러한 굽은 구조는 70년 전 노벨상 수상자인 화학자 라이너스 폴링(Linus Pauling)이 화학적 결합의 본성에 대한 그의 연구에서 처음으로 설명했다.

 


양자역학이란 무엇인가원서가 출간된 해는 2017이다. 이 책이 나온 연도를 기준으로 70년 전은 1947이다. 라이너스 폴링이 노벨화학상을 받은 해는 1954이다. 따라서 사실에 맞게 고쳐 쓰면 ‘63년 전이다. 1947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는 로버트 로빈슨(Robert Robinson)이다.




* 361





 초전도성을 흥미롭게 상업적으로 이용한 부문은 자기부상열차다. 영구자석과 전자기 기술을 사용한 열차를 개발해 왔고, 일부는 이미 가동 중이다.

 일본은 유명한 신칸센(탄환 열차)의 후임으로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초전도 자기부상열차를 개발 중이다. 야마나시 시험 철로에 있는 자기부상열차 한 대가 그림 19.1에 보인다. 또 다른 자기부상열차는 시속 361마일(581km/h)로 달리는 고속열차로서 (2003년에) 세계기록을 세웠다.



2015 421일에 일본의 야마나시 시험 철로를 주행한 L0 시리즈(L0 Series)의 속도가 시속 375마일(603km/h)에 도달함으로써 2003년의 기록을 경신했다. 그림 19.1의 설명문에 있는 ‘2103‘2013의 오자.




* 28





아이작 뉴튼 아이작 뉴턴



83, 154에도 뉴튼이 나온다.





* 142





매리 메리(Mary)





* 157





베자민 슈마허 베냐민(벤저민, Benjamin) 슈마허





* 185





보스톤 보스턴(Boston)





* 199





카톨릭 가톨릭






* 230





 중심에서 갑자기 추가로 융합되aus 열이 나 둘러싸고 있는 수소 껍질까지 융합한다.



융합되면의 오자. 컴퓨터 자판의 한글 자모 은 알파벳 A, U, S에 해당한다. 영문으로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을 입력하면 ‘aus’가 나온다.





* 281





이와 관련해선 그린의 멀티 유니버스 읽어보길 다시금 제안한다.





* 346





챨스 찰스(Charles)






[1] 존 그리빈 & 메리 그리빈 공저, 김희봉 옮김, 나는 물리학을 가지고 놀았다: 노벨상 수상자 리처드 파인만의 삶과 과학, 사이언스북스, 2004, 절판

 

[2] 리처드 파인먼, 김희봉 옮김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사이언스북스, 2000년, 전 2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05-07 18: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23-05-08 21:23   좋아요 0 | URL
캐런 바라드 때문에 최근에 읽은 게 아니고요.. ㅋㅋㅋㅋ 이 책이 1월에 나왔는데, 그때 이미 다 읽었어요. 서평 쓰기를 미루다가 이제야 쓴 거예요... ^^;;

테오리아 2023-11-28 08: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칼 슈바르츠실트는 러시아 사람이 맞습니다.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으로 유명한데 1차 세계대전에 러시아군으로 징집되어 전선에서 연구한 결과였죠. 그러나, 전선에서 살아남지 못하고 젊은 나이에 전투현장에서 사망했습니다.

cyrus 2023-11-28 09:35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테오리아님.

저는 서평을 쓸 때 외국 인명 이름 옆에 원어명도 함께 씁니다. 카를 슈바르츠실트를 독일어로 표기하면 ‘Karl Schwarzschild’입니다. 슈바르츠실트의 러시아어 이름을 본 적이 없어요. 혹시 러시아어로 어떻게 쓰는지 알려주실 수 있어요?

위키피디아 영문판
‘칼 슈바르츠실트’ 항목(https://en.wikipedia.org/wiki/Karl_Schwarzschild) 내용 일부를 인용해 보겠습니다. 위키피디아 항목 내용에도 오류가 있을 수 있어요. 이런 내용이 있다는 것만 참고하세요. 영어 공부를 안 한 지 오래돼서 인용문 번역이 어색하거나 오역이 있을 거예요.

Karl Schwarzschild was born on 9 October 1873 in Frankfurt on Main, the eldest of six boys and one girl, to Jewish parents.

칼 슈바르츠실트는 1873년 10월 9일 프랑크푸르트 마인에서 유대인 부모의 9남 10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

At the outbreak of World War I in 1914 Schwarzschild volunteered for service in the German army, despite being over 40 years old. He served on both the western and eastern fronts, specifically helping with ballistic calculations and rising to the rank of second lieutenant in the artillery.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슈바르츠실트는 마흔이 넘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에 자원입대했다. 그는 서부 전선과 동부 전선에서 복무했으며, 특히 탄도 계산하는 임무를 인정받아 포병 중위로 진급했다.

While serving on the front in Russia in 1915, he began to suffer from pemphigus, a rare and painful autoimmune skin-disease.

러시아 전선에서 복무 중이던 1915년에 그는 희소병(희귀병)인 자가면역성 피부병인 천포창에 걸려 통증에 시달리기 시작했다.

In March 1916 Schwarzschild left military service because of his illness and returned to Göttingen.

1916년 11월, 슈바르츠실트는 병으로 인해 군 복무를 그만두고 괴팅겐으로 돌아왔다.

슈바르츠실트는 물리학이나 상대성이론을 주제로 한 책에 꼭 한 번은 언급되는 과학자입니다. 하지만 그를 비중 있게 다룬 책은 전무합니다. 국내 출간된 책 중에 유일하게도 《슈바르츠실트가 들려주는 블랙홀 이야기》(송은영, 자음과모음, 2010년)가 있습니다. 이 책에 슈바르츠실트의 생애에 관한 내용이 있어요. 인용해보겠습니다.

나, 슈바르츠실트는 독일의 천체 물리학자입니다. 나는 얼마든지 병역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내가 쌓은 학문적인 업적이 화려했거든요. 그러나 나는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조국을 사랑하는 사람이었으니까요.
하지만 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 러시아에 머무는 동안 나는 고치기 어려운 피부병에 걸리고 말았습니다. 피부에 물집이 생겼다가 터지면서 출혈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병이었지요. 병은 점점 악화되었고, 나는 병가 처리되어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러다 결국 두 달 만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지요. 나는 요절한 천재 학자인 셈입니다. (《슈바르츠실트가 들려주는 블랙홀 이야기》 <첫 번째 수업-블랙홀의 탄생> 중에서)

답글이 길어졌군요. 슈바르츠실트가 독일인이라는 제 견해의 근거들을 제시했습니다. 테오리아님이 제 답글을 확인하셨으면 슈바르츠실트가 러시아 사람인 근거를 알려주세요. 그 근거가 타당하면 인정하겠습니다. 그러면 ‘슈바르츠실트는 독일인’이라는 제 견해가 틀렸음을 공개 글을 쓰겠습니다. 블로그 글에 적힌 오류가 고쳐지지 않은 채 남아 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보면 안 되잖습니까?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독감 조심하시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
 
감각의 거짓말 감각은 당신을 어떻게 속이는가 - 저명 신경과 의사가 감각 이상에서 발견한 삶의 진실
기 레슈차이너 지음, 양진성 옮김 / 프리렉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협찬받고 쓴 서평이 아닙니다.



평점


4점  ★★★★  A-







이 한세상 산다는 거 생각하기 달렸는데

무얼 그리 안타깝게 고개 숙여 앉아 있소.

세상만사 모든 일이 뜻대로야 되겠소만

그런대로 한세상 이러구러 살아가오.

 

- 송골매 1집 수록곡 <세상만사>(1979) 중에서 -

 


이러구러: 정해진 방법 없이 이렇게 저렇게 일이 진행되는 모양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아무리 백번 반복해서 듣는다고 해도, 실제로 눈으로 보면서 경험해야 확실히 알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말은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인식할 때 눈으로 보는 시각 정보에 얼마나 깊이 의존하는지를 시사한다. 오감 중에 살아가는 데 절대로 없으면 안 되는 감각 하나만 떠올려보자. 아마도 대다수 사람은 시각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렇지만 한 번 보고, 두 번 보고, 자꾸만 봐도 정확하게 보지 못할 때가 있다. 눈으로 보는 시각 이미지가 실제 사물의 모습과 다르게 보이는 것을 착시라고 한다. 1976년에 NASA가 공개한 화성 표면 사진이 큰 논란을 일으켰다. 사진에 찍힌 화성 표면에 얼굴 형상이 보였기 때문이다. 외계 생명체가 있다고 믿는 사람들은 화성의 얼굴이 인간의 모습과 흡사한 외계 생명체의 흔적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고화질 사진으로 촬영한 화성 표면에는 얼굴이 없었다. 얼굴의 정체는 자연적으로 생긴 바위 또는 언덕이다. 화성에 얼굴이 있다고 주장한 사람들은 제대로 속았다. 그것도 자신들의 눈과 뇌에 속은 것이다. 그들은 왜 화성의 암석 덩어리에서 얼굴 형상이 보였던 것일까? 이러한 심리 현상을 파레이돌리아(pareidolia)라고 한다. 우리는 모호하거나 불규칙한 형상의 물체를 볼 때마다 자신에게 친숙한 형태를 부여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래야만 기묘한 형상이 명확하게 무엇이라고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레이돌리아가 빚어낸 형상은 허구이며 가짜에 가깝다.

 

눈으로 보는 것이 착각과 오류를 불러일으킨다고 해서 청각이 시각보다 완벽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다. 우리는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싶어 하듯이 듣는 것만 듣고 싶어 한다. 1994년에 발표한 댄스 그룹 서태지와 아이들의 3집 수록곡 <교실 이데아>에 사탄의 메시지가 있다는 음모론이 퍼지기 시작했다. 이 음모론을 믿은 사람들은 <교실 이데아>를 역재생하면 피가 모자라라는 말이 들린다고 했다. 몰상식한 개신교 인사들은 <교실 이데아>를 만든 서태지가 의도적으로 사탄의 메시지를 심어 놓았다고 주장했다. <교실 이데아>는 사탄과 전혀 관련 없는 노래다. <교실 이데아> 음모론은 귀에 익은 발음을 떠올리려는 뇌와 청각 기관이 함께 일으킨 착각의 산물이다.


감각 인식 오류는 세상의 진실을 불신하는 사람들에게만 나타나는 특별한 현상이 아니다. 누구나 겪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우리는 눈으로 보고, 먹어보면서 맛을 느끼고, 어떤 소리를 듣고, 직접 만져보면서 주변 세상을 인식한다. 오감을 총동원하여 느낀 세상을 진짜라고 믿는다. ? 당연히 내가 직접 손으로 만져보고, 눈으로 확인했고, 먹어봤으니까. 하지만 우린 항상 크고 작은 감각에 속으면서 살아간다. 오감을 통해 인식하는 세상은 정확하지 않다. 개인의 경험은 지극히 주관적이다. 그런데도 그 경험이 진실이라고 믿는다. 앞서 언급했듯이 뇌는 생소한 경험보다 친숙한 경험을 더 좋아한다. 왜냐하면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뇌는 여러 감각기관을 통해 접하는 복잡한 정보를 자신이 선호하는 방향으로 해석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진짜라고 믿는 세상은 뇌가 만들어낸 환상에 가깝다.

 

감각의 거짓말: 감각은 당신을 어떻게 속이는가는 우리가 현실을 인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감각의 한계와 특이성을 보여준다. 저자는 신경과 전문의다. 이 책에 소개된 환자들은 보통 사람들이 이해하기 힘든 이상한 감각을 가지면서 살아간다. 몸에 상처가 있는데도 통증을 느낄 수 없는 희소 질환인 선천성 무통각증을 겪는 사람, 향수 냄새가 지독한 악취로 느껴져서 괴로워하는 사람, 모든 것이 알록달록한 빛깔로 채워진 왜곡된 형태로 보이는 사람까지. 이들은 모두 이상한 감각이 만들어낸 현실 속에서 살고 있다. 태어날 때부터 과장되고 왜곡된 현실에 순응하면서 살아가는 환자가 있는 반면에 갑자기 찾아온 감각 이상 반응으로 인해 예전의 일상으로 영영 돌아가지 못하는 환자도 있다.

 

저자는 자신이 진찰한 환자들의 평범하지 않은 삶을 구체적으로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남들과 다른 현실 속에서 살아가면서 느꼈을 그들의 복잡한 심경까지도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서술 방식은 전문 지식과 다양한 환자들을 만난 경험으로 무장한 의사나 학자들이 선호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저자는 환자를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기만 하는 전문가 입장에 서서 글을 쓰지 않는다. 그는 건강하고 똑똑한 의사와 이상한 감각으로 인한 질환과 장애를 안으면서 살아가야 하는 환자를 철저히 구분하게 만드는 경계를 무너뜨린다. 저자는 매우 솔직하다. 자신 또한 감각의 거짓말에 당한 적이 많다고 고백한다. 자기도 언젠가는 감각기관이 제 기능하지 못할 정도로 몸과 마음이 쇠약해질 수 있는 연약한 인간이라고 말한다. 그는 환자들이 들려준 이야기를 통해서 삶의 진실을 깨닫는다. 감각의 거짓말에 속는 우리는 생각보다 똑똑하지 않다고. 세상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는 뛰어난 오감은 없다는 것. 우리는 감각이라고 믿고 있던 착각속에서 살고 있다.

 

저자는 감각의 속임수로 만들어진 세상과 진리를 지나치게 확신하는 태도를 경계한다. 감각의 한계, 즉 인간으로 살면서 피할 수 없는 한계가 불편하더라도 외면해서 안 된다. 의심해야 한다. 그렇다고 감각 이상과 오류를 무조건 고쳐야 할 비정상적인 문제로만 봐야 하는 건 아니다. 고치는 건 불가능하다. ‘이상한 감각에 휘둘리는 사람들을 건강하지 않고 불행하게 사는 장애인으로 규정할 수 없다. 어떤 환자는 감각 이상을 질병과 장애라기보다는 세상을 색다르게 보게 만드는 특별한 창()으로 여긴다. 감각의 거짓말을 피할 수 없는 우리는 똑똑하지 않지만, 살아갈 가치가 없을 정도로 무능하지 않다. 이 세상을 무기력과 자책의 늪으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오감으로 해석한 각자만의 경험이 녹아든 감각의 제국(諸國)’ 속에서 살아간다. 이 많은 사람 중에 누가 제대로 살고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부질없다. 다른 사람이 구축한 감각의 제국을 존중하지 않고, 오히려 개입하고 지배하려는 사람을 감각 제국주의자(帝國主義者)’라고 불러야 하나. 이 한세상 산다는 건 오감으로 느끼기에 달렸다. 오감으로 만들어진 가짜 세상이라는 이유로 고개 숙여 앉아 있지 말자. 그런대로 한세상 이러구러 살아가야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3-04-06 19: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요즘 간간이 자주 보이네. ㅎ
난 눈을 못 믿겠으면 청각을 믿어보라고 할 참이었는데.
사람이 죽으면 맨 마지막까지 살아있는 게
청각이라잖아. 그런데 그것도 못 믿겠구만.
이건 딴 얘기지만, 송골매하면 배철수지만 세상만사는 구창모가 불렀지.
지난 3월말에 류이치 사카모토가 71세로 세상을 떠났는데
배철수 씨가 그와 동갑이라더군. 세월 참 빨라.
나에겐 영원한 오빠지. ㅋ

cyrus 2023-04-06 19:49   좋아요 1 | URL
계속 글을 써서 남기다가 또 갑자기 조용히 사라질 수 있어요. 이제는 정말 예전처럼 책 읽고 꾸준히 글을 쓰고 싶어요. 세월이 지나니까 체력과 집중력이 점점 떨어지고 있네요. 시력은 정말 안 떨어졌으면 좋겠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