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후에 오는 것들 - 공지영 사랑 후에 오는 것들
공지영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5년 12월
품절


나중에 생각한 일이지만 그는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슬픔이라는 점령군에게
마음의 영토를 다 빼앗길까봐 두려워하고 있던 것도 같았다.-33쪽

행복은 알 듯 모를 듯 하나씩 오지만
불행은 떼를 지어 다닌다는 서양의 격언이 떠올랐다.-37쪽

사랑하면 말이야. 그 사람이 고통스럽기를 바라게 돼.
다른 걸로는 말고 나 때문에, 나 때문에 고통스럽기를,
내가 고통스러운 것보다 조금만 더 고통스럽기를-95쪽

세상에서 정말로 돌이킬 수 없는 것은 흘러간 강물과 지나간 시간과
떠나간 마음이라는데-100쪽

사람들은 인터넷으로 물건을 주문할 때면 그토록 꼼꼼히 리뷰들을 챙기면서
결혼이라는 사건에 대해서는 누구의 리뷰도 신경 쓰려고 하지 않는다.-104쪽

헤어짐이 슬픈 건 헤어지고 나서야 비로소 만남의 가치를 깨닫기 때문일 것이다.
잃어버리는 것이 아쉬운 이유는 존재했던 모든 것들이 그 빈자리 속에서
비로소 빛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사랑받지 못하는 것보다 더 슬픈 건
사랑을 줄 수 없다는 것을 너무 늦게야 알게 되기 ‹š문에-109쪽

사랑에도 유효기간이 있다는 것, 그 자체가 이미 사랑의 속성이었다.
우리는 사랑이 영원할 거라고 믿게 하는 것 자체가
이미 사랑이 가지고 있는 속임수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던 것이다.
사랑의 빛이 내 마음 속에서 밝아질수록
외로움이라는 그림자가 그만큼 짙게 드리워진다는 건
세상천지가 다 아는 일이었지만,
나만은 다를 거라고, 우리의 사랑만은 다를 거라고 믿었다.-112쪽

주는 쪽과 받는 쪽, 상처라는 것은 양날의 칼을 가진 것이니까.-1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벚꽃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하네
우타노 쇼고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5년 12월
구판절판


인생의 황금시대는 흘러가버린 무지한 젊은 시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늙어가는 미래에 있다. -린위탕-5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2월
장바구니담기


'인생을 살맛나게 해주는 건 꿈이 실현되리라고 믿는 것이지.'-31쪽

이 세상에는 위대한 진실이 하나 있어.
무언가를 온 마음을 다해 원한다면, 반드시 그렇게 된다는 거야.-47쪽

자아의 신화를 이루어내는 것이야말로
이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부과된 유일한 의무지.
세상 만물은 모두 한가지라네.
자네가 무언가를 간절히 원할 때 온 우주는 자네의 소망이 실현되도록 도와준다네.-48쪽

어떤 식으로든 인생의 모든 일에는
치러야 할 대가가 있다는 것을 배우는 건 좋은 일일세.-5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보물은 말이다. 한순간에 사람을 일으켜주는 게 말이다.-30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장바구니담기


고전에 대한 우리의 관점이 중요합니다.
역사는 다시 쓰는 현대사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고전 독법 역시 과거의 재조명이 생명이라고 생각합니다.-21쪽

유럽 근대사의 구성 원리가 근본에 있어서 '존재론'임에 비하여
동양의 사회 구성 원리는 '관계론'이라는 것이 요지입니다.
존재론적 구성 원리는 개별적 존재를 세계의 기본 단위로 인식하고
그 개별적 존재에 실체성을 부여하는 것입니다.-23쪽

관계론적 구성 원리는 개별적 존재가 존재의 궁극적 형식이 아니라는
세계관을 승인합니다.
세계의 모든 존재는 관계망으로 존재한다는 것이지요.-24쪽

서양 문화의 기본적 구도는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의 종합 명제라는 것이
통설입니다. 흄과 칸트의 견해입니다.
서양 근대 문명은 유럽 고대의 과학 정신과 기독교의 결합이라는 것이지요.
과학과 종교라는 두 개의 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과학은 진리를 추구하고 기독교 신앙은 선을 추구합니다.
과학 정신은 외부 세계를 탐구하고 사회 발전의 동력이 됩니다.
그리고 종교적 신앙은 인간의 가치를 추구하며 사회의 갈등을 조정합니다.

서양 문명은 이 두개의 축이 서로 모순되고 있다는 사실이
결정적 결함이라는 것입니다.-3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