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플라시보 > 티스푼


렘브란트 뮤지엄의 티스푼

렘브란트 미술관이 스푼

끝에 장식되어 있다. 복잡

한 모양을 별로 좋아하진

않지만 저런 티스푼은 고

풍스럽고 고급스러워서 좋

아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플라시보 > 금속 나무 링 홀더

금속으로된 나무링 홀더.

반지나 열쇠고리등을 걸어놓으면 좋을 것 같다. 나처럼 맨날 열쇠 찾느라 허덕이는 인간에게는 딱인 아이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플라시보 > 하늘 우산


속이 하늘 모양으로 된 우산. 예전부터 무척 가지고 싶었는데 그 엄청난 가격(우산임에도 불구하고)에 눌려서 아직 구입하지 못하고 있다.

단지 우산일 뿐이지만 왠지 장마가 계속 되는 여름에는 저 우산을 쓰는 것 만으로도 조금은 비가 덜 지루할 것 같은 느낌이다.

3단 우산도 있지만 난 역시 우산은 그냥 큰 우산이 좋다고 생각한다. 지팡이나 무기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플라시보 > 오렌지 나이프


오렌지 칼. 저게 있으면 오렌지를 좀 더 쉽게 먹을 수 있을텐데... 난 귤보다는 오렌지가 좋다. 훨씬 덜 시고 먹을것도 많고. 단 까기가 정말 지랄같다는 단점이 있다. 껍질에서 오렌지 오일도 빌빌 뭍어나와서 손도 찝찝하고. 하지만 그 속에 있는 맛난 과육을 생각하면 그 정도는 얼마든지 극복 가능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와인의 대명사로 군림했던 유럽 와인의 아성을 깼다.
뉴 월드 와인의 대표주자인 캘리포니아 와인의 어제와 오늘.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의 유럽산에 비해 미국, 칠레,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뉴 월드’로 일컬어지는 지역의 와인은 싸고 상대적으로 맛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있었다. 와인 애호가들 사이에서도 뉴 월드산 와인 하면 고개를 갸우뚱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지금은 뉴 월드산 와인, 그중에서도 특히 캘리포니아 와인은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캘리포니아 와인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된 역사적 계기는 1976년 파리세계박람회의 이벤트로 열렸던 소위 ‘파리 대결’이라 불리는 와인품평회로 거슬러 올라간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던 프랑스의 최고급 와인과 눈부신 성장을 해온 캘리포니아 와인을 공평한 입장에서 비교해보자는 행사였다. 물론 주최측인 프랑스 쪽에서는 그 자리를 빌려 프랑스 와인의 뛰어남을 다시 한 번 확인받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음에 틀림없다. 그러나 당시 최고의 권위를 지닌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은 자국의 보르도, 부르고뉴 와인이 아닌 캘리포니아 나파벨리 와인의 손을 들어주었다. 캘리포니아 나파벨리 스택스 리프 와인 셀러(Stags Leap Wine Cellars)의 카베르네 소비뇽(Carbernet Sauvignon), 샤토 몬떼레나(Châeau Montelena)의 샤도네이가 프랑스의 샤토 무통 로칠드(Châeau Mouton Rothchild), 샤토 오 브리옹(Châeau Haut Brion) 등 부르고뉴의 와인을 누르고 1위를 차지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당시의 세계 와인 애호가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안겨주었고, 나파벨리 와인은 이 이벤트를 계기로 세계 명문 와인의 반열에 당당히 입성하게 되었다.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았던 캘리포니아 와인의 역사를 생각해보면, 그 발전 속도를 짐작해볼 수 있으리라. 그러면 여기서 캘리포니아 와인의 역사를 살펴보자. 미국의 와인 역사는 캘리포니아 개척과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823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멕시코 정부는 카톨릭 선교사를 통해 샌디에이고, 산타바바라, 산호세, 소노마 등 총 21곳에 수도원을 설립하며 캘리포니아를 개척하기 시작했다. 그 당시 선교사들이 원주민이었던 인디언에게 선교와 더불어 권장한 것이 미사의 성찬예식 때 쓰이는 와인의 원료인 포도 경작이었다.
그후 캘리포니아 와인은 1849년의 골드러시와 이어지는 실버러시, 1869년 대륙횡단철도 완공에 의한 서부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미국 동부는 물론, 유럽에까지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흔적은 지금도 캘리포니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 사람들이 자랑으로 여기는 미식축구팀 ‘샌프란시스코 49`뢳s’의 이름에도 1849년 골드러시의 흔적이 남아 있고, 나파벨리 주변에도 실버라는 단어가 들어간 지명과 도로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1870년대 들어 유럽에서 역수입된 필록세라(Phylloxera)라는 포도에 생기는 질병에 의해 캘리포니아 포도밭은 거의 회복할 수 없을 정도의 피해를 입기도 했으나, 재기 후 본격적인 와인 만들기에 힘쓴 결과 1900년 파리만국박람회에서는 몇 개의 상을 수상할 정도까지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1919년부터 1933년까지 시행된 금주법에 의해 와인 산업은 다시 한 번 붕괴 위기에 처하게 된다. 하지만 1934년 와인 인스티튜트가 설립되고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에 포도 재배 및 와인 양조 부문의 강좌가 개설되는 등 새로운 출발의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후 유럽 고급 포도 품종으로의 전환을 급속히 추진했으며 스테인리스 탱크의 도입, 컴퓨터에 의한 관리, 과학적인 재배법을 통해 오늘날과 같은 세계적인 명성을 얻기에 이르렀다.
미국 전체의 와인 생산량은 연간 약 160만kl, 전체 포도 재배 면적은 30만ha인데, 그중 캘리포니아 와인은 미국 전체 생산량의 약 90%를 점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 전체에는 현재 약 740개 정도의 와이너리가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골든 게이트를 지나 1시간 반 정도 하이웨이를 달리면 눈앞에 펼쳐지는 캘리포니아 와인의 어제와 오늘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와인과 더불어 석양에 물든 황금빛 와이너리, 캘리포니아의 맛있는 요리와 온천을 즐겨보는 것도 훌륭한 여행이 되지 않을까. 당신도 일상을 벗어나 그곳에 간다면, 수도사 돔 페리뇽이 스스로 만든 샴페인을 마시며 “친구여! 나는 지금 행복을 마시고 있다네”라고 말한 구절을 떠올릴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캘리포니아의 와인법과 품질 분류-

미국에서는 와인의 품질 향상과 생산자 및 소비자 쌍방의 보호를 목적으로 와인법을 제정, 알코올·담배·총기류 취급관리국(Bureau of Alcohol, Tabacco and Firearms=BATF)이 그 운용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함께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제조 과정에서 당분 첨가를 금지하는 등 독자적인 규제를 통해 보다 엄격한 품질 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생산자가 각자의 자유로운 발상에 근거해 와인을 만들 수 있도록 재배 및 양조에 관한 법 규제는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는데, 이것이 캘리포니아 와인의 급속한 품질 향상과 개성화를 이끌어냈다고 할 수 있다.
1983년 제정된 와인법에서는 생산지 구분, 포도 품종과 수확년도 기재 등을 규제하고 있으나, 프랑스나 이탈리아 등 유럽의 와인법에서처럼 원산지통제 호칭제도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캘리포니아 와인의 카테고리는 다음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제네릭 와인(Generic Wine)
일상적인 테이블 와인으로, 잭 와인으로도 불린다. 유럽의 유명 와인 산지나 와인의 색을 표시한다. 실제 원료인 포도 품종과 와인의 이름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버라이어털 와인(Varietal Wine)
포도 품종명을 라벨에 기재한 품질별 상급 와인. 단일 품종을 75% 이상 사용한다. 유럽계 고급 포도 품종인 카베르네 소비뇽, 피노 누아, 샤도네이, 소비뇽 블랑, 메를로 등과 함께 진판델도 많다. 최근에는 시라, 쁘띠 시라, 피노 블랑, 산조베제(Sangiovese) 등 와인 품종이 늘어나, 저가격대의 와인 중에서도 버라이어털로 불리는 와인을 많이 볼 수 있게 되었다.

프로프리에터리 와인(Proprietary Wine)
와이너리가 독자 브랜드명이나 호칭을 기재한 와인. 화이트 진판델(White Zinfandel) 이나 블러시 와인(Blush wine) 등이 이 종류에 속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