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의 전쟁 개념의 이해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또 다른 사실은, 라틴어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bellum'이라는 단어가 게르만어에서 차용된 'guerra'라는 단어에게 자리를 비켜 줘야 했다는 것이다. 'guerra'의 원래 의미는 "침해된 (권리)질서"로 가정할 수 있다... 결국 'kriec'는 이런 식의 해석 보조수단에 이끌려 최정적인 의미가 '전쟁'="무력에 의한 권리중재"로 축소되었다._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4 : 전쟁>, p16


 라인하르트 코젤렉(Reinhart Koselleck, 1923 ~ 2006)의 개념사 사전 4번째 주제는 전쟁(krieg)이다. 개념사 사전은 원래 '분쟁'을 뜻하던 독일어 '전쟁 krieg'이 '무력으로 인한 권리 중재'로 의미가 축소되었고, 전쟁의 목적이 '평화'에서 '무조건적인 자기 주장'으로 바뀌었으며, 군인들 사이에서 이루어진 '추상적인 전쟁'에서 국민 단위의 '총력전'으로 변화된 역사를 보여준다.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4: 전쟁>에서는 전쟁의 의미가 무력에 의한 권리 중재로 축소되는 것은 중세(中世)의 봉건 질서 내에서 무력에 의한 내적 투쟁의 결과였음이 서술된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전쟁의 목적은 이성과 신앙이 합일된 '신의 질서로의 회귀'였다면, 이에 대한 홉스(Thomas Hobbes, 1588~1679)는 이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다.  


 토마스 홉스 Thomas Hobbes는 인간의 발명을 통해 피할 수 있는 모든 단점들과 온갖 불행의 뿌리는 말하자면 전쟁이라는, 무엇보다도 내전이라는 동일한 확신에서 출발하면서 그리고 보장된 절대적인 평화를 위한 조건들을 이론적으로 제시하겠다는 일념으로 가장 날카롭게 전통적인 독트린과 단절했다... 홉스의 경우에는 인간의 본능적인 사회성 socialitas을 거부함으로써 인간의 "자연적 상태 status naturalis"와 관련하여 평화와 전쟁의 관계를 뒤집었다. 그에게는 평화 pax가 아니라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bellum omnium in omnes이 자연 상태를 특징짓는다._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4 : 전쟁>, p36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리바이어던에게로 권력 이양. 그 결과 이전에는 전쟁의 성격이 '대내 對內'와 '대외 對外'로 나뉘어지게 되면서, 전쟁은 하나의 수단이 된다.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사회의 안정을 지키는 합법적 행위. 이로부터 무력(武力)은 개인으로부터 국가로 넘어가고, 전쟁은 정치행위가 된다. 내부의 불안을 외부로 돌리려는 일련의 행위가 바로 그것이다. 웰즈(Herbert George Wells, 1866~1946)의 <우주전쟁 War of the Words>에는 이러한 전쟁의 성격이 잘 표현된다.


 오로지 이런 외적인 전쟁에만 시선을 고정시킨 것은 어떤 혐의를 불러일으킨다. 즉 국가 간 전쟁을 찬양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발설되지는 않은 어떤 동기가 있는데, 그것은 세기 전체를 관통하는 내전에 대한 공포, 즉 혁명에 대한 고백되지 않은 공포였다는 혐의 말이다. 이미 헤겔은 "행복한 전쟁은 내적인 불안을 막아주고 국가의 내적 힘을 확고하게 했다"고 확증했다._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4 : 전쟁>, p74




19세기 프랑스 혁명 이후 근대 국민 국가의 형성은 상비군의 조직과 함께 모든 국가 구성원을 공동 운명체로 묶었고, 그 결과 근대 국가에서의 전쟁은 총력전(總力戰)의 양상을 보인다. 그 결과 19세기 남북전쟁까지만 해도 전장(戰場) 옆에서 전쟁을 구경하던 이들의 모습도, 전투 후 패잔병을 약탈하던 농부들의 모습도 이제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애국(愛國)'이라는 이데올로기 아래 수많은 이해관계자들의 욕망이 강제로 통합된 하나의 예가 아닐까 생각된다...


 추상적인 전쟁은  단지 그 고유의 영역으로 여겨진 군사적인 영역 내에서만 절대적이었다... 총력전의 특징은 경계를 해체하고 전 국민을 직접 - 군대라는 수단으로뿐만 아니라 - 전쟁에 관여하도록 한다는 데 있다. 이 개념의 근본에는 현재의 전쟁에서는 "작은 정치적 목적이나 커다란 국민적 이해가" 아니라 국가와 민족 자체의 생존과 정체성이 문제가 된다는 견해가 놓여 있다. 여기서 필수적인 전제 조건은 국가 속에 근거하는 국민이 자신의 "본질"에 대해, 그리고 더불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확신하거나 또는 확신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총력전'은 단지 이데올로기적으로 합법화된 전쟁으로서 일종의 "이념 전쟁(이념의 유혈적 교체)"으로 생각할 수 있다._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4 : 전쟁>, p90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4 : 전쟁>에서 우리는 '전쟁'이 '평화'로 가는 '과정'에서, '자기 목적을 관철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바뀌어 온 것을 확인하게 된다. 전쟁이 수단으로 가장 극적으로 활용된 예가 '제국주의'라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우리가 다음으로 읽어야 할 주제가 무엇인지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다음 주제는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3 : 제국주의>,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5 : 평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4-14 23: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기 내부의 불안을 외부로 돌리려는 행위로서의 전쟁이라는 말이 콕 와닿네요. 대부분의 전쟁이 그렇지 않을까요? 그래서 전 우리 사회 내부에서 타자에 대한 증오나 혐오가 늘어나는 것을 볼때마다 좀 섬뜩해져요.

겨울호랑이 2021-04-15 07:15   좋아요 0 | URL
그렇습니다. 전쟁을 원하는 이들의 진정한 적은 내부에 있기에 외부로부터의 위협은 언제나 필요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이는 세계 평화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주요한 이유 중 하나라고 여겨집니다...
 

 1~2학년 때까지는 아이들 간에 서로 공부 스트레스 없이 다 잘 지내고 평화롭습니다. 1~2학년 때처럼 평화로운 학교 생활이 지속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런데 아이들이 3학년이 되는 순간 많은 것들이 변합니다.(p24)... 이처럼 3학년이 되면 과목도 많아지고 내용도 조금씩 깊이 들어가다 보니 아이들의 학력 격차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3학년 때부터 어느 과목이든 발생하는 학업 격차를 따라잡지 못하고 상급 학년에 올라가면 내용이 더 어려워지고 분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그때는 진짜 따라가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_해피이선생, <초3보다 중요한 학년은 없습니다>, p31


 초등학교 첫 3년은 초등학교 6년과 그 후의 중고교 6년, 대학교로 이어지는 긴 학교 생활의 출발점입니다. 이 첫 3년은 그 후의 학교생활과는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우선 시간이 충분히 있고, 아이의 생활에 여유가 있으며, 학교 생활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4학년부터 점점 본격적인 공부가 시작됩니다. 공부에 격차가 생기면서 좌절하는 아이도 생겨납니다._나카네 가쓰아키, <초3 성적보다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p16

 

 연의가 초등학교 3학년에 올라가면서 3학년이 중요하다는 말이 예사롭게 들리지 않았는다 2학년 겨울방학 때부터 기초를 잡아야 한다, 3학년부터 학업에 뒤떨어지면 걷잡을 수 없다는 말들이 많이 들려오기에, 아내와 함께 읽을 초등학교 3학년 학업과 관련한 책 두 권을 골랐다. <초3보다 중요한 학년은 없습니다>와 <초3 성적보다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얼핏 제목만 보면 둘 사이에 중대한 차이가 있는 듯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둘 다 '독서가 중요하다'로 요약된다. 


 아이가 학원을 많이 다닌다고 재능이 발현되지 않습니다. 재능이 있다면 굳이 학원을 안 다녀도 자연스럽게 나타날 것입니다... 지나치게 많은 학원을 다니는 것은 교사 입장에서 추천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주어진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고, 초등학교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독서"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_해피이선생, <초3보다 중요한 학년은 없습니다>, p155


 이 시기의 공부는 그 자체가 독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이가 열중하는 것에 독서가 하나 더 해진다면 이보다 좋은 일은 없습니다... 이 시기 공부의 기본은 독서뿐이기 때문에, 부모님도 무엇을 얼마나 공부시킬까 하는 문제로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_나카네 가쓰아키, <초3 성적보다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p37


 다만, 차이가 있다면 <초3보다 중요한 학년은 없습니다>는 독서와 교과목을 어떻게 접목시킬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 지침이 담겨있다면, <초3 성적보다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는 '오직 독서뿐'이라고 하면 될까. 그 외 공통점은 초등학교 3학년 때 부모와 함께 공부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학교에는 다양한 아이들이 존재합니다. 이들 중 소위 공부를 압도적으로 잘하는 초격차 아이들의 비율은 약 10퍼센트 정도입니다. 그러니까 한 반에 학생이 25명이면 그중 초격차 아이들은 2~3명 정도 입니다. 이 초격차 아이들의 특징은 다 잘한다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운동은 못해도 공부는 잘하거나 책을 많이 보는 아이들이 다수였다면, 요즘에는 공부를 잘하는 초격차 아이들이 운동도 잘하고 예체능에도 능합니다._해피이선생, <초3보다 중요한 학년은 없습니다>, p55


 <초3보다 중요한 학년은 없습니다>에서는 이른바 '초격차'학생들이 되기 위한 전술이 잘 소개된다. 개인적으로는 르네상스 맨(Renaissance man)을 만들기 위한 매뉴얼인 듯하여 별로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학년별로 읽을 책 추천 등은 나름의 기준이 될 수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어 보인다. <초3 성적보다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은 구체적인 방법론은 결여되었지만, '넌 할 수 있어'라며 부모의 불안감을 줄여준다는 점에서 작은 위안을 준다. 개인적으로는 '놀이'에 대해 별도의 장(章)을 할애했다는 점에 더 큰 의미를 둔다. 아쉬운 점은 어릴 때 놀아야 하는 이유가 '충분히 놀아야 나중에 공부한다'로 파악하며, 공부를 위한 수단으로 바라본다는 점일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프로그래밍'을 좋은 놀이로 보는데, 이 점은 아쉽게 느껴진다. 


 지금까지는 사회적으로 공부와 일은 '가치가 있는 것'이고, 놀이는 '가치가 없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놀이가 가치 있는 사회로 변해 갑니다. 일을 하고 싶은 사람보다 놀이를 하고 싶은 사람이 많아져서 새로운 놀이의 니즈(needs)가 차례차례 생겨나기 때문입니다.(p127)... 프로그래밍은 앞으로 아이들에게 새로운 놀이터입니다. 왜냐하면 출구가 많이 있고, 그에 따라 나아갈 길도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는  놀이이기 때문입니다._나카네 가쓰아키, <초3 성적보다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p149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놀지 않고 공부를 해야만 하며, 미래에 공부하기 위해 놀아야 한다는 현실이 참 씁쓸하게 느껴진다. 아이들이 노는 것을 좋아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지 않을까. 마음껏 발산해야 하는 시기에, 자신을 억누르거나 부모가 원하는 방법으로 발산해야 한다면 아이들이 너무도 불행하지 않을까. 이 점에 대해 레프 비고츠키(Lev Semenovich Vygotsky, 1896 ~ 1934)는 <어린이의 상상과 창조>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어린이는 그림을 그리면서 동시에 자신이 그리는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어린이는 자신의 등장인물의 말을 극화로 표현하고 작문을 한다. 이러한 혼합주의는 온갖 다양한 어린이 예술의 갈래들을 통합하는 공통된 뿌리를 가리킨다. 이 공통 근원은 어린이의 놀이이다. 놀이는 어린이의 예술적 창조를 위한 예비적 단계로서 기여한다... 어린이 창조성의 근원인 놀이의 흔적을 잘 보여주는 어린이 창조성의 특징이 있다. 어린이가 장시간에 걸쳐 창조적 작업에 몰두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의 경우 어린이는 자신의 작품을 앉은 자리에서 완성한다. 이 경우 어린이의 창조적 노력은, 어린이의 절실한 욕구로부터 생겨나며 자신의 감정을 빠르고 남김없이 발산하도록 해 주는 놀이를 연상시킨다._비고츠키, <어린이의 상상과 창조>,p124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 1872 ~ 1945)는 <호모 루덴스 Homo Ludens>에서 '놀이'의 관점에서 문명을 살폈다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어린이 놀이에 담긴 창조성은 문명 DNA 또는 일종의 밈(Meme)이 아닐까. 만약 그렇다면, 교육(敎育 educatioon)의 목적 중 하나가 개인의 숨겨진 재능을 꽃피우는 것이라면(물론, 개인의 사회화도 있겠지만), 놀이를 통해 아이들의 생각과 꿈이 잉크가 물에 번지듯 자유롭게 퍼져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코딩(coding) 교육을 통해 창의성을 기르는 것보다 훨씬 의미가 있지 않을까. 


 이런 내 생각이 아마도 요즘 현실을 잘 모르기 때문에 나온 철없는 생각이라 하면 사실 할 말이 없지만서도, 방향성에 대해서는 맞지 않을까라는 변명도 해본다. 이것을 장기적인 방향성과 치열한 현실 속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하는가의 문제로 생각할 수 있을까. 초등학교 3학년 교육을 통해서 이상과 현실의 차이에 대해 생각을 해본다 ... 


Ps. 만약 1년 뒤쳐졌다면, 건강하고 즐겁게 남들보다 1년 더 살면서 부족한 부분을 채우면 되지 않을까...  



어린이의 창조적 노력은, 어린이의 절실한 욕구로부터 생겨나며 자신의 감정을 빠르고 남김없이 발산하도록 해 주는 놀이를 연상시킨다. - P124


댓글(6)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21-04-11 11:0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학원은
아이에 상관 없이 학교와는 다른 또 다른 진도를 나가고
도 문제는 숙제를 내 준다는 것 샅아요 ㅜㅜ
학원 시간에 학원 숙제까지 해야하니
놀고 책 읽을 시간이 없는 것 같아요
부모가 시간이 안나니 어쩔 수 없이 학원을 산택하는데
가장 좋은 건 지도하지 않아도 부모가 공부할 때 옆에 (핸폰 안 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아주 좋은 것 같아요

겨울호랑이 2021-04-11 11:07   좋아요 2 | URL
네... 초딩님 말씀처럼 학교가 중심이 되고 학원이 보조가 되어야 하는데, 학원이 또 다른 중심이 되버리니 요즘 아이들 보기가 안쓰럽습니다... 가정에서 함께 하는 것. 이것부터 함께 해야겠지요... 동감합니다. ^^:)

행복한책읽기 2021-04-11 11:1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겨운호랑이님 위의 두 책 업어갈게요. 저런 책들의 위험성을 알지만 그럼에도 읽을 필요성은 있어서. 제목 넘 맘에 안 들어요. 어느 나이든 어느 학년이든 중요하지 않나요. 저 시기 놓치면 루저 될 수 있다는 심리적 압박 주는 제목. 열 받아요^^;;

겨울호랑이 2021-04-11 11:19   좋아요 1 | URL
네^^:) 어떤 책이든 부모가 중심을 잡고 있다면, 작은 지침이 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행복한책읽기님, 행복한 독서 되세요!

bookholic 2021-04-11 12: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늘 고민입니다. 학교와 학원 사이에서....
그래서 학원의 역할을 집에서 해보겠다는 마음이 있지만, 능력 부족, 체력 부족...ㅠㅠ

겨울호랑이 2021-04-11 12:57   좋아요 1 | URL
그렇습니다... bookholic님뿐 아니라 모든 부모들의 공통된 마음이라 여겨집니다...
 

민주주의 이론에서 현명한 출발은 보통 시민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구분하는 데 있다. 반면 민주주의라는 대의에 가해질 수 있는 최악의 폐해는, 수많은 사람들이 순전히 그 수의 힘만으로는 할 수 없는 것이 있음을 인식하지도 않은 채 보통의 시민에게 신화적이며 마술적인 전지전능함을 부여하는 경우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일반적인 민주주의 정의로 인해 우리는 자신을 바보로 만들었던 것이다.
- P219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풍오장원 2021-04-10 12: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너무 멋진 책이지요^^

겨울호랑이 2021-04-10 18:15   좋아요 0 | URL
^^:) 그렇습니다. 책을 읽으며 정당 정치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드네요.
 

평소보다 조금 이르게 집에 돌아오니 반가운 택배와 우편물이 도착했네요. 새롭게 단장한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4웛호와 이웃분께서 보내주신 커피를 반갑게 맞이해 봅니다.

이전에는 신문지 크기에 기사가 여러 면에 흩어져 있어 지하철에서 읽기 어려웠는데, 책자형으로 바뀌니 보다 쉽게 읽을 수 있을 듯합니다. 그리고, 이웃분께서 보내주신 두 커피. 아직 알라딘에서 커피를 사 마신 적이 없었는데, 덕분에 좋은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다만, 오늘은 어쩐지 쓴 맛이 강하게 느꺼질 듯하여 조금 후 개봉하겠습니다.

이번 달 르몽드는 운치있게 드립백과 함께 하고,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페이퍼에서 정리하겠습니다. 모두 평안한 저녁 되세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1-04-08 21: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표지사진에 시선이 확 가서, 계속 표지만 보고 또 상상하고 또 궁금해하고^^ 낙하산 타고 내려오는 것인지^^

겨울호랑이 2021-04-08 22:19   좋아요 0 | URL
얼핏 보면 땅에 발을 딛고 있는 듯한데, 얄라얄라북사랑님 말씀처럼 자세히 보면 공중에 떠 있네요. 낙하산 착지 자세를 생각에 발을 딛고 있는 듯한데, 얄라얄라북사랑님 말씀처럼 자세히 보면 공중에 떠 있네요. 낙하법을 생각해 본다면, 착지 전 무릎을 굽히지 않고 있는 것을 보면 낙하산을 타는 것은 아닌 듯 하고... 아마도 둘 중 하나일 듯 합니다. 제자리 점프 아니면 극단적 선택. 전자라면 유쾌한 장면이겠고, 후자라면 공포일 듯 하네요... 북사랑님 덕분에 저도 덩달아 여러 생각을 해봅니다. 감사합니다.^^:)
 

 송수익은 남아 있는 의병들을 해산시키고 있었다. 공허의 대원 여섯까지 합해 모두 서른넷이었다. "여러분, 오늘은 우리 모두에게 참으로 슬프고도 서운한 날입니다. 여러 가지고 사정이 여의치 못해 우리 의병대는 해산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조금치도 슬퍼하거나 서운해해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의병을 해산하고 헤어진다고 해서 의병활동을 영영 끝내고 다시는 만날 수 없게 되는 것이 아닌 까닭입니다. 한번 의병으로 나선 우리는 빼앗긴 나라를 되찾을 때까지 의병정신으로 싸워야 하고, 우리는 기필코 다시 만나게 될 것입니다..." 송수익의 어조에는 비장감이 서렸고, 대원들의 얼굴에도 비장감이 흐르고 있었다... "여러분, 이제 그만 일어들 나시오." 송수익은 웃음을 지으며 말했다. 그러나 그 웃음에는 슬픈 빛이 역연했고, 침통한 목소리에는 물기가 스며 있었다. "우리 그냥 작별허기 서럽고 지랄 같은디 속 풀고 맘 다지게 다함께 노래나 한 자락 허고 뜨는 것이 어쩌겄소!" "아리랑이 딱 좋네. 한 사람씩 돌아감스로 가락얼 먹어기로 허는 것이여. 모다 얼렁얼렁 일어나드라고."_조정래, <아리랑2> 中


 구한 말을 배경으로 하는 조정래의 장편 소설 <아리랑>. 아리랑은 의병을 해산하는 순간에도, 하와이에서 국민군단을 창설할 때에도 인물들과 함께 한다. 슬플 때에도, 그리울 때에도 이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것은 아리랑이었다. 오늘은 의병을 해산하는 송수익이 어떤 심정으로 노래를 불렀을 지 조금은 더 깊게 공감하게 된다. 나라를 빼앗긴 것도 아닌데, 소설 속 인물에 이렇듯 감정이입이 잘 되는 것을 보면서 생각보다 내 자신의 감수성이 풍부함을 느끼는 밤이다...


 그들은 진정으로 그리움이 사무쳐 몸부림이 일어나는 것처럼 아리랑을 목놓아 구성지고 서럽게 불러댔다. 술에 취하면 누구나 아리랑을 불렀다. 불러도 목놓아 불렀다. 목놓아 부르다 보니 가락은 제멋에 겨워 더 늘어지며 넌출져 휘감기며 처연해지고, 술에 젖은 가슴은 그 가락을 못 이겨 허물어지며 더 서러워지고 녹아내리며 한스러워져 이어지고 또 이어지는 가락에는 끝내 물기가 묻어나고는 했다._조정래, <아리랑4> 中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4-08 10: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런 장면은 볼 때마다 마음이 찡! 아 저는 민족주의자 안하고 싶은데도 어쩔 수 없이 찡...
조정래작가님이 그만큼 글을 잘 쓰시도 하고요. (요즘은 좀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태백산맥과 아리랑은 걸작이라고 생각합니다. ^^) 이 글 읽으면서도 찡 하잖아요. ^^

겨울호랑이 2021-04-08 12:30   좋아요 0 | URL
네... 민족에 흐르는 보편적인 감정이 있음을 문학작품을 통해 확인하게 됩니다. 이와 함께, 그러한 감정을 공유하는 것이 집단이고 역사가 이들의 공통된 경험이라면, 감정을 느끼는 경험은 온전하게 개인의 것임도 함께 생각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