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왜 똑똑한 사람들이 헛소리를 믿게 될까 - 이성을 마비시키는 가짜 합리성에 대항하는 논리학 백신
스티븐 로 지음, 윤경미 옮김, 이종권 감수 / 와이즈베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분류는 인문에서 논리학쪽으로 카테고리가 된다는 것을 인터넷 서점을 통해 알게 되었다. 처음 이 책을 고를 때 바로 직전에 읽은 책이 마케팅과 관련된 책이라 이 책도 역시 그 쪽이나 심리학처럼 우리가 하는 행동이 얼마나 바보같은 행동인지나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조정당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책이라 생각하고 선택을 했다. 얼핏 봤을 때 쉬운 책으로 보이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흥미는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하고 읽었다.

 

책을 한 참 읽은지 100페이지 정도 되었을 때 이 책은 내가 생각한 부분이랑은 전혀 관계가 없는 책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굳이 범주를 정한다면 믿음에 관한 이야기이고 책의 3분의 2는 종교에 대한 이야기다. 특정 종교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저자가 서양 사람이다 보니 주로 공격대상은 크리스트교이다. 잘못된 믿음을 똑똑 한 사람들이 왜 믿는지에 대해서 이야기도 하지만 그들이 어떤 식으로 자신들의 주장을 합리화하고 물타기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책에 나온 사례는 인간의 지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미스터리 카드', '어쨌든 들어맞잖아.라며 이야기를 단 하나라도 맞게하는 방법, 넓게 범주를 정하는 '핵 폭탄 터트리기', 논점을 변경하거나 다른 전개를 이야기하는 '의미적 골대 옮기기', 더이상 할 말이 없게 만드는 '난 그냥 알아'방법, 무척이나 대단한 말인듯 하는 '거짓 심오', 다수가 아닌 몇몇 개별 사례를 이야기하는 '일화 나열하기', 사람들을 교묘하게 세뇌시키는 '조종 버튼 누르기'에 대해 설명한다.

 

저자는 그렇다고 종교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 종교에서 말하는 것중에 과학적으로 지식적으로 믿음으로 설명하기에는 터무니 없다고 생각되는 것에 대해 철학적으로 논리적으로 공격을 한다. 공격 대상에는 창조론과 젊은 지구론, 외계인, 주술, 질병을 과학이 아닌 민간요법에 의한 치료 등등 그래도 꽤 재미있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내 자신도 종교를 믿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설명할 수 없는 절대적 존재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다. 그런 부분에 대해서 공격은 솔직히 없지 않아 거부감도 있지만 타당성있는 주장이며 수긍할 수 있는 논리적 전개와 상대방의 주장에 대해 과학적인 논증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하는 내용에는 공감한다. 과학은 우리가 믿고 있는 잘못된 믿음에 대해 꾸준하고 끊임없이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했고 올바른 진실과 정확한 사실을 증명하고 보여줬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내용에 공감을 한다. 특히, 외계인 부분이나 주술사가 한 개인의 과거나 미래에 대해 맞추고 이에 대해 상담을 해주는 것과 같은 일에 대해서 스스로 별로 탐탐치 못하게 느끼는 부분이 있어 이런 내용은 굳이 이 책을 읽지 않았어도 저저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었다. 특히 인간의 나약한 면을 건드려서 자신에게 유리한 방면으로 유도하고 이를 자신의 이익을 위해 활용하는 인간들을 볼 때면 더더욱 이 책의 주장에 공감하고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책에서 소개하는 8가지 방법은 그 어떤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주장에도 제대로 먹혀드는 방법이라는 것을 역설적으로 깨닫게 만들어 준다. 누군가 나에게 논리적으로 이야기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궤변을 늘어놓는 것이다. 그것도 도저히 증명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 적당하게 그럴 수도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며 하는 이야기에는 강력한 설득과 사람의 호기심을 충족시켜 자신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이는 마법이 있다. 아무리 지식을 갖고 있어도 그럴 수도 있다라고 나도 모르게 순간 긍정하게 만드는 힘은 바로 우리가 인간이라는 치명적인 약점을 갖고 있어서이다.

 

똑똑한 사람들이 헛소리를 왜 믿는지 궁금하다는 것이 저자의 이야기라면 저자는 너무 자신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말처럼 똑똑한 사람들은 굳이 이 책을 읽지 않아도 책에 나온 내용들을 이미 믿지 않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제로 똑똑하지 못하고 아주 작은 계기에도 마음이 흔들리는 나약한 인간이다. 동물들도 어느 정도 지능을 갖고 있지만 인간과 같은 행동이 없는 것은 지능만 갖고 있지 인간이 갖고 있는 지식과 감정과 같은 말로써 꼭 표현할 수 없는 그 무엇인가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들이 많은 지식과 과학을 통해 기존과는 다른 세상을 창조하고 있고 인간의 머리가 점점 발달하고 있지만 그 영역과는 조금은 다른 가슴에서 나오는 믿음의 영역은 여전히 미지의 영역이고 정복할 수 없는 부분이다. 믿음이라는 것은 인간이 갖고 있는 신비한 영역이라 인간의 지식이나 온갖 수식으로 풀 수 있거나 풀려고 하는 과학과는 달라서 도저히 답이 안나오는 경우가 많다.

 

분명히 잘못된 믿음은 인간을 파멸로 이끌게 되고 긍정적인 믿음은 인간을 기대 이상으로 만들어 준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중에도 스스로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모를 정도로 이 부분은 철학과도 연결이 되고 정리가 완벽하게 되지 않기도 하지만 평생 살면서 안고 가야할 영역이라 보인다. 절대 믿음이라는 것은 없지만 사실을 부정하거나 현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진실을 왜곡하는 것에는 단호히 거절한다. 문제는 그게 내 마음대로 잘 될 것인가이다. 갈수록 교묘해지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 콘서트 1 - 노자의 <도덕경>에서 마르크스의 <자본론>까지 위대한 사상가 10인과 함께하는 철학의 대향연 철학 콘서트 1
황광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생각지도 않은 이주의 리뷰에 당첨되어 생긴 사이버 머니를 써야 하기 때문에 고민을 하다 그냥 책을 구입하기로 결정을 했다. 한 달내로 써야 하기 때문에 영화와 같은 것은 써 먹기 힘들어 어떤 책을 구입할까 고민하다 두고 두고 그래도 소장할 만한 책중에 다른 사람들의 리뷰가 많고 흔하지 않은 분야를 찾다 보니 바로 이 책을 택하게 되었다.

 

제목 그대로 여러 철학자들이 - 일부는 철학자로 명명하기는 힘들다만 - 세상에 펼친 다양한 이야기를 콘서트식으로 책에 실었다는 뜻이 되어 부담스럽지 않게 여유있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말이다. 도대체, 인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했는데 인문학에 철학이 들어 가는 것은 분명히 확실한 것이니 그 잘났다고 하는 인문학 중에 한 분야에 대해 읽어 보는 것도 괜찮을 듯 싶었다.

 

인문학에는 크게 철학, 소설, 종교등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것들을 다 포함한 말이였는데 그렇게 보니 난 인문학이라는 개념자체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그렇지 꽤 인문분야에 대해 평소에 많이 읽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보통 그냥 인문학이 아니라 고전 인문을 배워야 한다고 이야기를 하지만 말이다.

 

철학은 어떻게 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삶에서 큰 부분을 차지 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생활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당연히 의식주의 해결이다. 의식주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어떤 것도 나에게 다가오지도 않고 거추장한 존재일 뿐이다. 오죽하면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기보다 배부른 돼지가 되겠다.'라는 말까지 있을까 한다. 의식주가 해결되지 않으면 음악도, 문화도, 그림도 심지어 섹스도 전혀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인간에게 철학은 아마도 누군가에게는 삶의 지침서가 되지만 누군가에게는 그걸 안다고 밥 먹여 주는 것도 아니라고 이야기하는 딴 나라 이야기다. 인류가 전부 먹고 사는데 집중을 해야 만 한다면 철학이라는 것은 탄생을 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인간이 생활하면서 저절로 계급이라는 것이 생기고 지금과 같은 자본주의는 아니였지만 똑같은 겉 모습을 하고 있는 인간 안에서도 일을 해야만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일을 하지 않아도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는 사람이 생기면서 철학이 생기지 않았을까 한다.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다면 무엇보다 심심하다. 심심하면 무엇인가를 하게 된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 중에 하나가 머리가 인간의 몸 중에 하나가 아니라 머리 안에서 생각이라는 것과 상상력이라는 것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엉뚱한 생각을 하게 되고 이런 저런 상상을 하면서 점점 처음 떠올랐던 생각이나 상상을 끊임없이 확장하고 팽창하고 변주를 하게 된다. 왜냐고?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으니 무엇이라도 해야 하니깐.

 

그렇게 하다보니 철학이라는 것이 탄생한 것이 아닐까 한다. 그 당시에는 꼭 철학이라는 용어로 사람들에게 불리지는 않았을 것이라 보지만. 소크라테스도 플라톤도 위대한 인물이다 내가 감히 그들에 대해 논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아니, 괜히 잘 못 이야기하면 많이 똑똑한 분들에게 온갖 공격을 당하지도 모른다. 그런데, 지금 이렇게 이야기한 것으로 치면 그 분들은 전부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으니 철학자가 된 것일지도 모른다.

 

현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도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는 분들이 있다. 하지만, 그들은 과거와 달리 할 것이 너무 많다. 예전에는 먹고 사는데 지장 없을 때 딱히 할 일이 없다. 하루 종일 무엇인가 생각하거나 자신의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을 관찰하거나 별 것 아닌 것 같고 열심히 옆 사람과 토론을 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현대에는 할 것이 너무 많다. TV를 하루 종일 시청해도 되고, 인터넷 서핑을 통해 온갖 신기한 것을 봐도 되고, 인터넷 게임을 해도 되고, 그 당시와는 달리 일일 생활권이라 할만큼 세계 여행이 보편화 되었으니 세계 여행을 해도 된다. 아님, 좀 더 고차원 적이라 할 수 있는 사업을 해도 된다. 과거에는 사업이라는 개념이 있기 힘들었다.

 

이런 이유로 예전에 비해 지금 사람들은 지식은 넓어 졌을 지 몰라도 지혜는 적다는 이야기를 한다. 만약, 과거의 위대한 인물과 지금의 군인들이 동일한 조건에서 전쟁을 하게 된다면 오히려 과거의 인물들이 이길 수 있을 것이고, 단 하나의 이야기를 갖고 밤새 이야기한다면 과거의 사람들이 더 많은 이야기와 논쟁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사람들은 한 가지를 갖고 오래 생각하고  다시 생각하는 것보다는 다방면에 있어 조금씩 알고 사는데 더 익숙하기 때문이다.

 

갈수록 깊이는 없지만 앎의 넓이는 큰 세상을 살아가야 한다. 그럼에도 어느 한 분야를 깊게 파고드는 사람들이 결국 인생에 있어 성공하는 것을 보면 과거나 지금이나 한 가지를 깊게 생각하고 실천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는 것일지도 모른다.

 

'철학 콘서트'에는 동양인과 서양인이 섞여 있다. 나 자신은 한국이라는 동양에서 살고 있다. 동양에서 어릴 때부터 공자와 석가와 같은 위대한 인물들의 사상을 접하고 자라왔다. 현대화가 되어가고 동양보다 더 발전되고 상대적인 다수의 인원이 더 살기 좋은 서양세계에 대한 동경으로 인해 동양사상보다는 서양사상이 우리나라에 널리 퍼지면서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서양사상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된 것 같지만 동양사상은 우리가 의식하지 않는 곳곳에서 우리 의식을 지배하고 있다.

 

책을 읽으면 실제로 간단한 부분에는 동양의 사상이 더 쉽고 이해 가능하지만 깊게 들어가면 반대의 현상이 나타나서 서양 사상에 대한 이야기는 그래도 어느정도 이해 가능한데 동양 사상은 흔히 말하는 선문답과 같은 답변으로 인해 이해하기 힘든 측면이 많이 있다.

 

'철학 콘서트'에는 여러 인물들이 나오는데 중요한 것은 그들의 이야기만을 듣고 싶은데 그렇지 못한 점이 좀 아쉬웠다. 초반에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 대한 이야기는 서로 제자와 스승관계이기 때문에 연관이 있어 그렇다고 생각되지만 그 이후의 소개 인물들에서도 끊임없이 한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그 사람에 대해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인물에 한 이야기를 예로 들어가며 소개하는데 그 점이 한 인물의 철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방편인 것은 알지만 그래도 한 사람의 철학은 그 사람에 대한 이야기만을 했으면 어떨가 했다.

 

동양 사상와 서양 사상을 비교하여 차이점과 유사성을 이야기하는 것은 좋지만 이왕이면 한 인물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는 그 인물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면 개인적으로 좋을 것 같았다. 뒤로 갈수록 앞에 소개된 인물이 했던 이야기를 소개하는 인물의 이야기와 비교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지만 약간은 뒤죽박죽되는 면이 있다고 느껴졌기 때문이다.

 

여러 인물의 소개 중에 가장 이해 하기 어려운 위인은 마르크스였다. 워낙에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그 용어의 어려움과 이해의 난이도가 장난이 아니라는 이야기를 한다. 어떻게 생겼고 몇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정도만 알고 있는데 도대체 이 어려운 책이 1980년대 후반에 우리나라에서 학생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읽고 투쟁을 했다고 하는 데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한다. 철학을 공부한다고 하는 사람들도 이해하기 힘들어 하고 심지어 욕을 하는 사람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런 책을 읽고 이해한 후에 후배들에게 교육을 시켰다는 사실이 말이다.

 

깊지는 않아도 철학이라는 것에 대해 맛을 보기 원하는 사람에게는 안성맞춤의 책이 아닐까 한다. 나 자신도 철학이라는 학문의 깊이는 없어 자신있게 이야기할 수 없지만 이 책에는 철학사에 중요한 인물들의 사상이 조금씩 이해하기 쉽게 소개되어 있어 이 책을 통해 철학의 길로 가면 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