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선비의 이야기


 


옛날, 청빈한 한 선비가 살고 있었다. 선비의 생활이라 가세는 곤궁하기 이를 데 없고, 오십이 가깝도록 슬하에 자식을 두지 못했다.  어느 해 동지 섣달, 눈이 쏟아지고 모진 바람이 부는 겨울밤이었다. 이 선비 내외는 추운 방에서 잠자리에 들어 말을 주고 받았다.  

"여보, 오늘날까지 당신을 고생만 시켜 미안하기 한이 없소."

하고 선비가 말을 꺼내자 부인이,

"왜 그런 말씀을 하세요. 임자를 만나 아무것도 더 바랄 것이 없으나, 오직 슬하에 혈육이 없어 선조의 향화를 끊게 되었으니 소첩의 죄 죽어 마땅하오나 임자의 은덕으로 살고 있어 몸둘 바를 모르나니 어찌 그런 말씀을 하시나이까? 여보, 밖에 날씨가 추워지는가 봅니다. 어 서 주무세요."

하고 막 잠이 들려고 하는 때에 어디선지 '사람 살려주오' 하는 소리 가 들려왔다. 선비는,

"밖에서 사람 소리가 나는데 이 추운 날씨에 웬 사람인가?"

하고 일어나 문을 열어 보았다. 한 걸인이 눈을 맞으면 벌벌 떨면서 살려달라고 애원하였다. 선비는 걸인을 친절히 안내하여 방으로 들어왔다.

"안사람은 윗방으로 올라갔지요. 방이라고 하지만 냉방 같습니다. 아랫목 이불 속으로 들어오시지요."

하면서 이불을 들어주었다. 걸인은 미안하다는 말을 하면서 이불 속으로 들어왔다. 이 선비가 등잔불에 비친 걸인 의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니 얼굴에 종기가 난 문둥이었다. 선비는 부인을 불러 손님이 오셨으니 식사를 올리라고 했다. 부인은 밖으로 나갔다. 선비도 방에 불을 때기 위해 부엌으로 나가니 부인이,

"좁쌀이 아침거리밖에 안 되는데 지금 밥을 지으면 내 일 아침은 죽거리밖에 안 되는데요." 하자 선비는,

"여보, 손님인데 밥을 지어야지요. 불은 내가 지피겠소." 라고 했다. 얼마 후 밥상을 들고 들어간 선비는 이불을 밀어 놓고,

"어서 밥을 드시오. 얼마나 시장 하시겠습니까?"

하니 걸인은 아주 고마워하였다. 걸인은 순식간에 밥그릇을 비웠다. 상을 물리고 둘이 나란히 잠자리에 들었다. 부인은 윗방에서 자리에 누웠다. 잠시 후에 걸인은,

"주인 양반, 잠이 들었습니까?"

선비는 막 잠이 들려고 하던 참에 손님이 말을 청하여 눈을 떴다.

"주인 양반이 보다시피 저는 온 몸에 종기투성이지요. 더운 물로 목욕이라도 하고 나면 가려운 데가 좀 시원할 텐데. 어렵지만 물 좀 데워 주실 수 있을까요?"

선비는 귀찮다는 기색도 없이 부엌으로 나가 목욕할 물을 데웠다. 부엌에서 나오려고 하니 걸인은 등을 밀어달라고 부탁했다. 더럽고 악취가 났지만 선비는 아무 소리 없이 걸인을 불쌍하게 생각하여 정성껏 닦아주었다. 닦고 나서 걸인이,

"주인 양반은 들어가시지요. 저는 물기를 닦고 천천히 들어가리다."

라고 했다. 선비는 방에 먼저 들어가 누워서 걸인이 들어 올 때를 기다렸으나 걸인은 들어오지 않았다 이상해서 부엌으로 나가보니 걸인은 온데 간데가 없었다. 집안을 한 바퀴 돌아보고 아무리 기다려도 걸인은 돌아오지 않았다. 선비는 기다리다가 늦게서야 잠이 들었다.  다음 날 아침에 이들 부부가 일어났다. 선비가,

"여보, 간밤에 난 이상한 꿈을 꾸었소."

하니 , 부인도,

"예 ? 저도 기이한 꿈을 꾸었는데요."

"그럼 부인이 먼저 이야기해 보오."

부인은 간밤에 꾼 꿈을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잠이 깊이 들었는데 밖에서 '이 선비' 하고 부르기에 문을 열고 내다보니 어떤 백발 노인이 '그대들은 죽어가 는 사람을 살렸으니 활인지덕을 베풀었소. 내일 뒷산에 올라가 목욕 재계하고 천제를 지내면 옥동자를 낳아 부귀 영화를 누리리라. 명심 불망할지어다' 하면서 미처 인사도 못 했는데 백밭 노인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더군요."

"허어, 어찌 그렇게 내 꿈과 꼭 같으오. 우리 자식이 없으니 천제를 지내봅시다."

선비 내외가 천제를 정성껏 지낸 달부터 부인은 이상하게도 태기가 있었다. 얼마 후 부인은 옥동자를 낳았는데, 이 아기는 무럭무럭 자라서 학문에도 뛰어나 벼슬이 정승에 올랐다. 이리하여 이 선비 집안은 대대로 번성하였다.

<경북 고령군 전래 민담>

·향화 : 향불. 제사의 다른 말로 많이 쓰임
·활인지덕 : 사람의 목숨을 살려 준 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슬  견  설(蝨犬說)                    -이규보-


    어떤 손(客)이 나에게 이런 말을 했다.

"어제 저녁엔 아주 처참한 광경을 보았습니다. 어떤 불량한 사람이 큰 몽둥이로 돌아다니는 개를 쳐서 죽이는데, 보기에도 너무 참혹하여 실로 마음이 아파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제부터는 맹세코 개나 돼지의 고기를 먹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 말을 듣고,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어떤 사람이 불이 이글이글하는 화로를 끼고 앉아서, 이를 잡아서 그 불 속에 넣어 태워 죽이는 것을 보고, 나는 마음이 아파서 다시는 이를 잡지 않기로 맹세했습니다."

 

손이 실망하는 듯한 표정으로,

"이는 미물이 아닙니까? 나는 덩그렇게 크고 육중한 짐승이 죽는 것을 보고 불쌍히 여겨서 한 말인데, 당신은 구태여 이를 예로 들어서 대꾸하니, 이는 필연코 나를 놀리는 것이 아닙니까?"

하고 대들었다.

 

나는 좀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를 느꼈다.

"무릇 피[血]와 기운[氣]이 있는 것은 사람으로부터 소, 말, 돼지, 양, 벌레, 개미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한결같이 살기를 원하고 죽기를 싫어하는 것입니다. 어찌 큰 놈만 죽기를 싫어하고, 작은 놈만 죽기를 좋아하겠습니까? 그런즉, 개와 이의 죽음은 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서 큰 놈과 작은 놈을 적절히 대조한 것이지, 당신을 놀리기 위해서 한 말은 아닙니다. 당신이 내 말을 믿지 못하겠으면 당신의 열 손가락을 깨물어 보십시오. 엄지손가락만이 아프고 그 나머지는 아프지 않습니까? 한 몸에 붙어 있는 큰 지절(支節)과 작은 부분이 골고루 피와 고기가 있으니, 그 아픔은 같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하물며, 각기 기운과 숨을 받은 자로서 어찌 저 놈은 죽음을 싫어하고 이놈은 좋아할 턱이 있겠습니까? 당신은 물러가서 눈 감고 고요히 생각해 보십시오. 그리하여 달팽이의 뿔을 쇠뿔과 같이 보고, 메추리를 대붕(大鵬)과 동일시하도록 해 보십시오. 연후에 나는 당신과 함께 도(道)를 이야기하겠습니다."

라고 했다.

 

    # 지절 : 팔다리의 마디뼈

    # 대붕 : 하루에 9만 리를 날아간다는 상상의 아주 큰 새. 북해에 살던 곤(鯤)이라는 물고기의 화신이라고 함. 붕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삽석남(首揷石枏)
머리에 석남가지를 꽂다

 

신라 최항(崔伉)은 자를 석남(石枏)이라 했다. 그가 사랑하는 첩을 부모가 허락하지 않아 만나지 못하더니 몇 달 후 죽고 말았다. 8일 후에 최항의 혼이 첩의 집에 갔는데, 첩은 최항이 죽은 줄 모르고 반가이 맞았다. 항이 머리에 꽂은 석남가지를 나누어 첩에게 주며 말하기를 "부모가 그대와 살도록 허락하여 왔다."고 하기에 첩은 항을 따라 그의 집까지 갔다. 그런데 항은 담을 넘어 들어간 뒤로 새벽이 되어도 다시 나오지 않았다. 아침에 그 집 사람이 그녀가 온 까닭을 물으매 그녀는 사실대로 대답하였다. 그러나 그 집에서는 "그게 무슨 말이냐. 항이 죽은지 이미 8일이 지났으며 오늘이 장사날이다."라고 대답하자, 그녀는 " 석남가지를 나누어 머리에 꽂았으니 가서 확인해 보라." 하였다. 이에 관을 열고 보니 정말 항의 머리에 석남가지가 꽂혀 있었다. 그리고 옷은 이슬에 젖어 있었고 신발이 신겨져 있었다. 그것을 보고 첩이 죽으려 하자, 항이 다시 살아나서 백년해로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장자못 전설

 

옛날 전북 옥구군 미면 지금의 미제지에 큰 부자가 살고 있었는데, 그는 욕심이 많고 포악한 사람이었다.
하루는 중이 와서 시주를 권하자 그는 심술궂게 시주 대신 소의 똥을 잔뜩 자루에 담아 주었다. 때마침 그 광경을 보던 부인이 몰래 중을 불러 쌀을 주면서 남편의 잘못을 용서해 달라고 빌었다. 중은 그 부인에게 부처님의 심부름으로 남편을 벌주기 위해서 왔다고 하고, 내일 아침 그 집에서 나와 뒷산으로 달아나되 무슨 소리가 나도 뒤돌아보지 말라고 당부하였다.
이튿날, 부인은 어린아이를 업고 뒷산으로 올라가던 중, 천지가 진동하는 소리가 나므로 금기를 어기고 뒤를 돌아보았더니 조금 전까지 있던 집은 간 곳이 없고 그곳에 물이 괴어 있었다. 여인은 놀란 나머지 소리를 지르려는 순간 어린아이와 함께 돌로 변하고 말았다.
이후로부터 큰 부잣집은 큰 못이 되어 버렸다.

● 소돔과 고모라형 이야기
이 설화는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소돔과 고모라>형 이야기다. 우리나라에도 각 지방에 골고루 전한다. 중을 학대하는 것, 금기가 있는 것, 물이 괴는 것, 돌이 되는 것 등은 중요한 화소라 변하지 않지만 나머지는 지방에 따라 다르다. 이 이야기가 품고 있는 것은 권선징악이며, 죄가 없는 자도 금기를 어기면 벌을 받아야 하는 옛날의 수수께끼를 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설화를 소재로 한 고전소설에는
<옹고집전> 전반부에 이 설화가 윤색되어 있고, 현대 소설에는 강경애의 <인간문제(1934)>가 있으며, 단순히 소재로만 이용한 것은 오영수의 <수변(1962)>, 한무숙의 <못(1955)>이 있다.
특히 한무숙의 <못>은 여러 소재 중 '돌'만을 취하여 현대적으로 잘 조화시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장자풀이(長者-)

 

 

<장자풀이>는 씻김굿의 기원을 말해주는 서사무가로 억울하게 죽은 넋을 달래는 사령제가 어떠한 연유로 마련되었나 하는 그 기원과 내력을 밝혀주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복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심이 사나운 사마장자의 악행은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는 '장자못 설화'의 수용으로 보인다.

● 장자풀이 줄거리

어느 고을에 사마장자가 살고 있었다. 부자로 살긴 해도 인심이 고약하고 조상과 신령을 잘 위하지 않았다. 이에 여러 신령이 저승왕에게 가서 사마장자를 징계해줄 것을 하소연하였다.
저승왕은 중으로 변장하여 사마장자의 집에 동냥을 갔다. 사마장자는 화를 내며 쇠두엄을 퍼주고 내쫓았다. 사마장자 며느리는 쌀 서 되를 시아버지 몰래 퍼주었다. 이러한 일이 있은 뒤에 사마장자가 꿈을 꾸었는데, 아들과 딸은 좋은 꿈이라 하였으나 며느리만은 죽을 꿈이라 하였다. 이러한 꿈 해몽을 들은 사마장자는 며느리를 내쫓았다. 그런 뒤에 사마장자는 깊은 병이 들었다. 이에 문복(
점쟁이에게 점을 침)을 하자, 점쟁이는 쫓아낸 며느리를 불러들이라고 하였다. 이 말을 좇아 며느리를 다시 부르고, 쌓아놓은 노적(곡식을 한데에 쌓아둔 것)을 헐어 동네 사람들을 초청해 먹였다. 그리고 저승사자가 오는 길목에 저승사자를 먹일 사자상을 차리고 기다렸다. 저승사자가 셋이 나타나 차려놓은 밥상을 맛있게 먹었다. 사마장자에게 융숭한 대접을 받은 세 저승사자는 머뭇거리며 난처해하였다. 사마장자와 같은 사주로 태어난 이웃의 우마장자를 잡아 가려 하였으나, 워낙 우마장자는 신령을 잘 위하였으므로 감히 범접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자 며느리가 같은 사주를 지닌 시아버지의 백마를 지목하자 저승사자는 백마에 갓을 씌우고 옷을 입혀 데려갔다. 저승왕은 백마를 칼산지옥 ·옥산지옥으로 보내서 온갖 고초를 겪게 하였다. 아무 죄 없는 백마는 사마장자를 저주하였다. 백마의 저주로 인하여 사마장자는 꿈자리도 사나워지고 몸이 말라갔다. 문복을 하니 백마의 저주 때문에 그렇다며 백마를 인간으로 환생시켜야 그러한 고난을 면할 수 있다고 일러주었다. 그래서 앞노적 뒷노적을 헐어서 씻김굿을 하였다. 백마는 사마장자의 씻김굿으로 칼을 벗고 다시 인간으로 환생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