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울프홀 2 - 맨부커상,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수상작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52
힐러리 맨틀 지음, 강아름 옮김 / 문학동네 / 2024년 11월
평점 :
1권에서 토머스 크롬웰이 어릴 적 어떤 일을 겪었는지, 법률가가 되어 울지 추기경 밑에서 어떻게 일하는지, 앤 불린과는 어떻게 관계를 쌓았는지를 보여줬다면 2권에서는 울지 추기경 실각 이후 권력의 중심으로 급부상하는 그의 모습을 보여준다.
울지 추기경의 심복이었으면서도 울지의 실각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히려 헨리의 호감을 샀던 그, 토머스 크롬웰. 그는 이제 헨리왕이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권모술수를 부린다. 더불어 개인적인 복수까지.
왕은 수치를 모른다. 몰라야 했다. 왕은 너그럽고 가정적인 멋진 군주이자 남자이길 바랐고 크롬웰은 묵묵히 그의 행간을 살펴 그가 원하는 바를 이루도록 행동했다. 물론 자신이 원하는 일도 이뤄지도록 잘 유도하면서 말이다. 앤 불린과 결혼했다고 주장했던 해리 퍼시는 울지 추기경을 체포하러 왔던 이였다. 울지는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였고 그런 모습을 보이게 한 해리 퍼시에게 크롬웰은 복수했다. 해리 퍼시는 결국 앤과 아무 관계 없다는 서약을 하고 재산과 작위를 빼앗길 처지에 놓인다.
캐서린 왕비와 헨리 왕을 이혼시키기 위해 크롬웰은 덫을 하나 하나 던졌다. 그 중 하나가 엘리자베스 바턴이었는데, 자신이 천사들과 대화하고 사람의 앞날을 예언하던 여자였다. 성처녀라고 칭송받던 그녀는 결국 크롬웰이 바라던 대로 엑서터 후작부인과 피셔 주교를 끌어들였고 프란체스코회도 엮었다. 하지만 끝내 캐서린은 엮지 않았다.
하지만 클래런스 공작의 딸이자 에드워드 8세의 딸인 마거릿 폴 백작부인이 또 다른 덫에 걸렸다. 캐서린 왕비의 딸인 메리를 위해 자신의 두 아들이 카를 황제를 움직일 음모를 꾸민 일을 크롬웰에게 들킨 것이다. 크롬웰은 수하에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앞치마를 입고 아무렇지 않게 그들의 식탁에 들락거렸고 대화를 수집했다. 반역이란 올가미에 걸리지 않으려면 조용히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 와중에도 크롬웰은 메리 공주에게 좋은 인상을 남겼다. 여러모로 용의주도한 사람이었다.
일반인들 사이에서 앤 불린은 평판이 아주 나빴다. 토머스 크롬웰이 사기꾼에 죽음의 사자 같은 존재라면 앤은 매춘부에 사악한 여자였다. 크롬웰은 앤이 그냥 운만 좋으면 된다고 생각했지만, 그렇다면 크롬웰 역시 운만 좋으면 된 거였다. 두 사람 모두 자신이 원하는 것을 거머쥐기 위해 많은 일들을 했으니까. 공들여 누군가를 실각시키고, 누군가의 가정을 깨트리고, 누군가의 꿈을 짓밟았다.
교황의 관면을 받은 결혼을 무효로 만들기 위해 헨리는 결국 로마 교황과 갈라서게 된다. 그 과정에서 울지 추기경은 실패하여 실각했고, 토머스 모어는 교수형에 처해졌다. 실제로 처형장에서 사형집행인에게 수염은 죄가 없다는 농담을 했다고. <유토피아>의 저자로 널리 알려진 토머스 모어는 로마 가톨릭을 위해 수많은 사람들을 이단으로 화형에 처했다. 프리스의 죽음은 안타까웠다. 도망칠 기회가 있었음에도 움직이지 않았던 그는 결국 고통스럽게 죽었다. 종교가 무엇이길래 사람을 그렇게 찢고 불에 태웠을까...
이 책을 읽다보면 그 시대 영국을 엿볼 수 있어 좋았다. 포목동업조합이나 모피동업조합 사람들이 연대하거나 싸우면서 이익을 차지하려는 모습이나 크롬웰이 고리대를 하는 모습에서 상업이 발달하고 시장이 활성화 되어 있다는 점이 보였다. 인쇄술이 발달하여 종교개혁도 불러왔지만 사상의 전파가 엄청나게 빨랐다는 점이 놀라웠다. 인쇄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에 왕을 섬겼던 이들에게 질투를 느끼는 크롬웰이었다.
- 지금의 반역법이 제정되던 당시에는 주장을 책이나 전단으로 인쇄해 유통할 수 없었다. 글을 인쇄한다는 개념 자체가 없었으니까. 그는 이미 죽은 자들에게, 지금보다 더디게 흐르던 시대에 왕을 섬겼던 이들에게 순간적인 질투를 느낀다. 요즘은 매수되거나 오염된 정신의 산물이 유럽 전역에 퍼지기까지 딱 한달이면 족하다. (307~308쪽)
이 시대는 무슨 짐승의 시대 같았다. 제인 시모어의 오빠인 에드워드는 자신의 아내를 아버지에게 빼았겼다. 헨리는 자신의 형수와 결혼했다가 이를 무효화 하고 앤과 결혼하려 하고. 심지어 앤이 임신하자 금욕은 하기 싫어 다른 이의 결혼을 훼방놓는다. 크롬웰은 자신의 처형과 관계를 가진다. 그러면서 종교가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을 지배한다.
울프홀은 시모어 가문의 본거지이다. 하지만 제인 시모어나 시모어 가문은 이 책에서 거의 나오지 않는다. 사실상 앤의 몰락에 기여하는 인물들은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는다. 어쩌면 앞서 크롬웰이 생각했던 바가 진실일지도 모르겠다. 앤은 운만 좋으면 되었다. 앤이든 크롬웰이든 둘 다. 1533년 앤은 엘리자베스를 낳았다. 토머스 모어가 처형되고 이제 울프홀로 간다. 앤의 몰락이 시작된다.
추기경은 닫힌 문을 맞닥트리면 칭찬부터 했지 - 오 아름답고 순종적인 문이여! 그렇게 속여놓고 문을 여는 거예요. 당신이 딱 그렇습니다, 딱 그래요." 샤퓌는 서퍽 공작의 선물을 잔에 따른다. "하지만 결국에는 차부수고 들어가지요." - P267
별자리가 우릴 만드는 게 아니에요, 버츠 박사. 상황과 필요, 압박 속에서 우리가 하는 선택이 만드는 거지. 미덕도 우리를 만든다지만, 그것만으론 충분치 않소. 때에 따라선 우리가 가진 악덕도 동원해야 하는 법이거든." - P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