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증보판 ㅣ 리라이팅 클래식 1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에서 교과서를 한번이라도 들춰본 사람이라면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대한 이야기나 일부 내용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자, 그때 인상이 어떠했는가? 유쾌함, 혹은 웃음, 아니면 역설, 이런 것들을 느껴본 적이 있었는가? 단연코 없었을 것이다. 극히 일부의 내용만 보여주거나 짤막한 촌평을 하는 정도니 <열하일기>는 교과서에 의해 지나간 역사의 한 장면으로 기억될 뿐이다. 물론 재미는커녕 지루한 것으로 말이다.
그러나 고미숙은 <열하일기>가 그렇게 치부될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무슨 뜻인가? 당당하게 열하일기에 빠져있노라고 말한 지은이는 열하일기 속에 중세 시대를 엿볼 수 있는 흔적들은 물론이거니와 웃음과 역설이 무궁무진하게 담겨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열하일기는 유쾌한 시공간과도 같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일종의 열하일기 해석 판이라고 할 수 있는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에서 <열하일기>에 찬사를 아끼지 않고 있다.
그럼 구체적으로 <열하일기>에는 무엇이 있길래 지은이는 그렇게도 찬사를 던지는 것일까? 특히 교과서의 일부 지식 덕분에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의 제목을 떨떠름한 표정으로 볼 수 없는 많은 이들에게 어떻게 <열하일기>의 가치를 설득시키려고 하는 것일까?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은 그 의문들에 간단하게 답을 주고 있다. <열하일기>는 박지원을 알 수 있고, 박지원의 생각을 알 수 있으며, 변화하는 시대상을 자연스럽게 알 수 있는 변화하는 시대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당시도 그렇거니와 지금도 많은 이들은 <열하일기>의 가치를 평가 절하한다. 왜인가? 이유는 온갖 가지인데 흥미로운 것은 그 중 대다수가 읽어보지도 않고 시류에 떠도는 말로 비판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현재에도 해당된다. 아주 단편적인 모습을 보고, 아니면 당시의 일반적인 평가를 보고 <열하일기>를 아는 양 말하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알다시피 읽어보지도 않고 평가한다는 것은 위험스러움을 넘어 우매한 결과를 자초한다. 지은이도 그것을 지적하는데 그 과정에서 답은 간단히 나온다. 원래 가치가 있는데 사람들이 모르고 있다는 것, 그렇기에 읽어만 본다면 그 가치를 알 수 있기에 자연스럽게 설득할 수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연암 박지원. 김탁환의 소설 등 문학작품에서 여러 번 등장했던 그는 노론계열이었지만 실학자로 불리며 조선시대 영정조 시대의 르네상스를 이끌었던 주인공 중 한명이기도 하다. 출세를 하지 못했다고 알려진 박지원은 사실 집안이 명문가인지라 충분히 권력을 잡을 수 있었다. 허나 그는 그것을 거부했다. 과거 시험을 보러 가서 이상한 답안지를 제출하거나 그 후에 왕이 불러도 온갖 핑계를 대며 나가지 않았다.
이러한 행동은 박지원을 이해하는 동시에 <열하일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초가 된다. 박지원은 왜 권력 중심부에 나아가지 않았는가? 박지원은 '형식'적인 것을 싫어했다. 과거의 것을 끌어들여와 논하는 과거시험은 물론이거니와 그 과거시험을 거쳐 형성된 정치인들의 무리, 그리고 그것에서 나타나는 온갖 현상들을 혐오했다. 지은이는 그것과 관련해 박지원이 시 짓기에 인색했던 것도 당시 한시의 형식이 '동아시아 엘리트 집단의 공통 문법이자 문화적 징표'이기에 견디지 못해서 그랬다고 말할 정도니 오죽하겠는가.
대신에 박지원은 우정을 중시했고 인간을 하나의 벌레와도 같은 존재로 보는 생각 때문에 많은 이들과 어울릴 줄 알았다. 한마디로 고관대작들이 끼리끼리 어울리던 시대에 박지원은 이 사람이든 저 사람이든 마음이 맞으면 웃으며 술한잔 걸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덕무, 홍대용, 박제가 등 그 유명한 이른바 '연암그룹'도 그렇게 해서 역사의 한 자락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게다.
그런데 이러한 권력의 주변부라는 것, 그리고 많은 이들과 어울릴 수 있었던 성격 덕분에 박지원은 뜻밖에도 청나라에 방문할 기회를 얻게 된다. 실상 오늘날 <열하일기>의 가치를 평가 절하하는 이들 중에는 박지원이 정식으로 사신의 자격을 얻어 중국에 갔다고 여기지만 그건 사실이 아니다. 박지원은 지인 덕분에, 얼렁뚱땅, 있는 듯 없는 듯 하는 존재로 행렬에 끼게 된다. 요즘 은어로 이야기하면 '꼽사리' 같은 존재인 것이다.
홍대용 같은 이들에게 중국 이야기를 들어서 가슴 한 곳에 부러운 마음이 가득했던 박지원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더군다나 있는 듯 없는 듯 한 존재니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 있으니 박지원은 중국에서 '물 만난 물고기'처럼 행동하는 건 당연하다. 덕분에 소중화 의식에 갇혀있던 조선 사대부들을 비꼬는 것에서 오는 유쾌함, 그들이 비판하는 것을 갖고 역으로 그들을 비판하는 역설까지 한바탕 늘어놓을 수 있게 된다.
본래 박지원이 낀 조선의 사신들이 갈 곳은 열하가 아니었다. 연경(북경)이 본래 목적지였는데 그곳에 가보니 황제가 명목상의 피서로 열하에 있다하여 어쩔 수 없이 멀고 먼 열하까지 가야 했던 것이다. 조선 사신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다시 발길을 재촉하는데 그 가운데서 박지원의 행동은 단연 돋보인다. 악동기질을 발휘해 조선 사실들에게 "황제가 열하에 거동하여 연경이 비어서 몽고 기병 십만 명이 쳐들와 왔다오"라고 말해 사람들을 기겁하게 만드는가 하면 이별하는 하인들을 보며 온갖 폼을 잡고 이별론을 펼치다가 길을 잃어버리는 어처구니없는 모습까지 보여준다.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너야 하는 빡빡한 일정 속에서 박지원이 보여주는 행동들은 웃음이 가미된 한편의 시트콤 같이 보이기도 한다. 더군다나 무지하다고 깔보던 오랑캐라 하여 청나라 사람들 앞에서 근엄한 포즈 취하던 조선 사신들 사이에서 그런 모습을 보였다는 걸 생각해보라. 상상만 해도 유쾌하지 않은가?
그러면서도 박지원은 본 목적을 잃어버리지 않는다. 언제 또 올 수 있을지 기약할 수 없기에 자연스럽게 생긴 본 목적, 그것은 무엇이든 알고 더 많이 보고 와야 한다는 일종의 사명감이었다. 그래서 박지원은 밤늦게 홀로 돌아다니고 중국의 인사들과도 적극적으로 교류하려 한다. 그 덕분에 <열하일기>에는 그 당시에 볼 수 없었던 내용들, 예컨대 코끼리와 같은 기이한 동물들이나 불교, 청나라의 새로운 문물과 그것을 대하는 조선 사대부들의 편견과도 같은 고집들이 다양하게 나타난 것이다.
자, 이쯤만 알아도 <열하일기>에 대한 생각이 달라지지 않은가?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은 교과서의 <열하일기>에 감춰진 매력을 들춰내는 기회가 된다. 덕분에 매력적인 인물 박지원은 물론이며 당시 사회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으니 어찌 이 기회를 마다하랴. 특히 지은이가 연암 박지원과 다산 정약용을 비교한, 둘 다 정조의 총애를 받았지만 서로 만난 적이 없는 동시대의 두 인물을 다룬 보론 '연암과 다산'까지 실려 있으니 어찌 기회가 매력적이지 않을까.
박지원이 코끼리를 보고 놀랐듯이 지루해보였던 그 <열하일기>를 보고도 놀랄 수 있다. 상상할 수 없었던 즐거움과 감탄으로 말이다. 자, 백문이불여일견이라, <열하일기>의 진면목을 보자. 다만 그 전에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으로 충분한 뜸을 들여 보자. 그러면 열하일기와 박지원에 매료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