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래 전에 사놓고 책 표지가 구려서 잊고 있던 책인데, 최근에 읽게 되었다. 기대 이상으로 재밌는 책이었다. 투자, 도박, 카지노, 경마 등에 흥미가 있는 분들께 추천드린다. 금융투자에 관한 재밌는 책이다. 투자자라면 꼭 읽어봐야할 책.
허먼 멜빌의 소설 <필경사 바틀비>다. <모비딕>을 재밌게 읽어서 허먼 멜빌에 친숙해졌다. <필경사 바틀비>도 읽어보고 싶은데 언제 읽을지. 읽고 싶은 책은 많고 그러다보니 소설책에 손이 잘 안가게 된다.
켈리 공식은 다양한 버전이 있는듯하다. 이 책에 나온 내용을 적어보겠다.
우위 / 배당률
'우위'란 똑같은 확률로 주어진 이 내기를 계속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여러분이 평균적으로 딸 수 있다고 생각되는 기대값이다. 이익은 언제나 건 돈에 비례하기 때문에 이 값은 비례값이다.
'배당률'은 일반 대중이 생각하는 배당률, 즉 전광판에 게시된 배당률을 의미한다. 이것은 여러분이 이겼을 때 얻는 수익률이다. 배당률은 가령 8:1 따위로 게시되는데, 이것은 이긴 베터가 건 돈의 8배 더하기 원금을 돌려받는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시크릿태리어트라는 말의 전광판 배당률이 5:1이라고 하자. 배당률은 비례값이다. 5:1 이란 1분의 5, 즉 5를 의미한다. 여러분은 이것만 알면 된다.
사설통신의 정보에 의거하여 여러분은 시크릿태리어트가 실제로는 3분의 1의 우승확률을 갖고 있다고 확신한다. 이것은 시크릿태리어트에 100달러를 걸 때 여러분이 600달러를 딸 확률이 3분의 1이라고 확신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평균적으로 이 배틍은 200달러의 가치가 있으며, 기대되는 순이익은 100달러다. 이때, 우위는 수익금 100달러를 건 돈 100달러로 나눈 값, 즉 1이다. -p104
음, 이거 맞나 헷갈린다.
그날 저녁 만남이 끝날 즈음에 소프는 비비안에게 버핏이 언젠가는 미국에서 최고 부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프에 대한 버핏의 판단도 긍정적이었다. 버핏과 좋은 투자실적을 유지했던 제라드는 소프에게 투자를 맡기기로 결정했다. -p210
영웅은 영웅을 알아보는 법. 단 한 번의 만남이었지만 서로가 서로을 알아보고 인정하는 모습이 멋집니다. 소프 역시 28.5년 동안 연평률 20% 라는 경이적인 수익률을 기록합니다.
이것이 켈리 기준에 관한 논쟁의 핵심이다. 경제학자들에게 사람들이 수학적으로 정확한 (부의) 효용함수를 갖고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숨쉬기만큼이나 자연스러운 일이다. 경제학자들이 한순간도 주저하지 않고 이렇게 가정하는 것은 그들이 수학을 하는 데 효용함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수학은 경제학이 관심을 기울이는 모든 것인데, 이는 적잖이 새뮤얼슨 때문이다. -p300
약간 물리학과 비슷합니다. 소를 직육면체라 가정하고 문제를 푸는 것이지요. 경제학도 수학을 활용하기 위해 여러 가정들을 합니다. 그것이 현실을 왜곡하고 잘못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합니다.
1987년 10월 19일 검은 월요일의 대붕괴로 프린스턴뉴포트의 시장중립성이 엄정한 시험대에 올랐다. 다우존스지수가 하루 만에 23% 폭락했는데, 이것은 하루치 하락으로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였다. -p315
와. 하루에 23%라니! 진짜 블랙 먼데이라는 이름이 아깝지 않다. 그 외에 닷컴버블 때 나스닥 9.67%, 코로나 때 다우존스 12.9%, 금융위기 때 S&P 9% 가 있다. 닷컴버블 때 나스닥은 2년 반동안 78% 하락하고 회복까지 15년이 걸렸다고 한다. 이야기만 들어도 살 떨린다.
도스토옙스키의 <도박사>도 읽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