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숭이와 초밥 요리사 - 동물행동학자가 다시 쓰는, 문화란 무엇인가?
프란스 드 발 지음, 박성규 옮김 / 수희재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요즘은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의 책을 즐겨보고 있다. 그의 책을 이어보고 있다. 그의 다른 책을 구해야겠다.
이 책의 동물의 문화에 대해 다룬다. 점점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는 경계선이 애매해지고 사라지고 있다. 이분법이 아닌 스펙트럼으로 이해되고 있다. 어쩌면 당연한 것 같다. 침팬지와 인간의 유전자는 1.2% 다르다. 인간 남성과 여성의 유전자는 1% 다르다.
다윈은 진작 이 모든 걸 예측했다. 인간과 동물의 능력, 감정, 생각 등은 정도의 차이지 결코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다윈의 선견지명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인간과 동물은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생각했다. 동물은 그저 자동인형, 기계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동물을 제대로 관찰해보지도 않은 철학자나 과학자들의 탁상공론이 아니었나 싶다. 관찰했더라도 대부분의 인간은 자기가 보고 싶은 데로 보는 법이다.
이 책은 침팬지 뿐 아니라 원숭이, 그 외 다른 동물들의 문화와 습성 등을 다룬다. 흥미로운 이야기. 감동적인 이야기들이 많았다.
개를 키우는 사람들은 개의 공감능력과 사고능력에 대해 의심하지 않을 것이다.(나는 키우지 않지만 책이나 유튜브 영상만 봐도 충분히 짐작가능하다.) 개는 슬퍼하고 기뻐한다. 부당한 대우에는 분노하고 공포를 느끼고 미래를 예상하기도 하고 인간의 감정을 예상하기도 한다. 특히 기억에 남은 이야기는 구조견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지진 혹은 산사태 등으로 피해자들을 구조할 때 개들은 사람을 구조하지 못하자 낙심하고 식욕을 잃고 일하러 나가기 싫어했다. 개들은 단순히 학습되고 훈련된 것이 아닌 내재적으로 인간을 구조하고 싶었다고 생각한다. 죽은 사람들을 보고 인간이 느끼는 심정을 개들도 느꼈을 것이다.
이런 해석에는 의인화가 아니냐는 반론이 뒤따른다. 정말 개가 그렇게 느끼는지 어떻게 아는가? 동물이 감정을 느끼고 생각을 하는지 어떻게 아는가? 과거에는 이런 의인화에 과학은 반감을 가졌다. 정당한 반응이다. 하지만 실험들을 통해 동물이 감정을 느끼고 생각을 한다는 사실들이 수없이 많이 관찰되고 증명되고 있다.
인간이 감정을 느끼는지 어떻게 아는가? 나는 감정을 느끼지만 타인이 감정을 느낀다는 사실을 어떻게 아는가? 같은 종이고 언어로 소통할 수 있기 때문이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동물도 그렇다. 충분히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오히려 다른 해석은 복잡하기만하고 오류를 나을 뿐이다.
문화에 대한 이야기에서 조금 빗나갔다. 다시 동물의 문화이야기로 돌아와서 동물들도 본능대로만 행동하진 않는다. 인간과 똑같이 살아가면서 부모 혹은 공동체 속에서 학습을 한다. 큰 두뇌를 갖고 사회생활을 하는 동물들의 공통된 특징이다. 침팬지, 고래 등.
침팬지와 고래의 언어는 지역마다 다르다. 방언이 있다. 일본 침팬지가 고구마를 바닷물에 씻어서 먹는 문화가 발생해서 퍼졌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우리는 외계인을 만나고 외계인과 소통하고 싶어한다. 그 전에 먼저 침팬지, 고래, 개, 고양이, 문어 등과 소통하게 될 날이 왔으면 좋겠다. 충분히 독특하고 신비로운 생명체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