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 리들리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동물학 박사학위를 받고 과학 전문 기자를 거쳐 재능있는 과학저술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이기성은 동물성의 유산이며 도덕성은 문명의 유산이라는 생각을 거부합니다. 자연에서 그 증거를 찾아서 보여줍니다. 상호부조의 습성을 배운 종이 의심할 여지없이 최적자임을 보여줍니다.
인류는 본성적으로 사회적인 동물인가 아니면 반사회적인 동물인가? 이 같은 질문, 즉 <인간 사회의 뿌리>에 관한 질문이 바로 이 책에서 내가 추구하는 주제이다. (중략) 사회가 제구실을 하고 굴러가는 것은 우리가 그것을 훌륭하게 고안해 냈기 때문이 아니라, 사회가 우리의 진화된 소양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문자 그대로 우리의 본성에 내재한다. -p15
이 책은 이타성이 우리의 본성임을 증명하는 책입니다.
즉 이기적 욕구를 가지고 있는 일벌 하나하나는 그의 아들 생산을 방해하려는 이기적 욕구를 가지고 있는 수천 마리의 일벌들에게 감시당하고 있다. 따라서 벌의 사회는 셰익스피어가 생각한 것처럼 위로부터 움직여지는 전제군주 국가가 아니다. 그것은 다수의 개개인이 가진 욕망이 각자의 이기주의를 억제하는 민주주의 사회다. -p54
일벌들도 어느 정도 이기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새로웠습니다. 우리 인간들이 이기적 욕구를 가지고 있지만 사회에 의해 감시당하고 억제되듯이요.
다른 집단에게 정복당했을 때 일부일처제 사회가 일부다처제 사회보다 더 강력한 단결력을 보이고 위기를 잘 버텨낸다는 보고가 있다. -p61
인간이 일부일처제 사회를 유지하는 것은 제게는 신기한 일입니다. 매트 리틀리의 <붉은 여왕>을 읽기 시작했는데 일부일처제 사회에 형성되고 유지되는 데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물고기들에게서도 상호적 이타주의의 모습이 보입니다. 자연선택에 의한 본능입니다.
작은 물고기는 식량을 얻고 큰 물고기는 몸을 청소한다. (중략) 트리버스가 인용한 예에 따르면, 수족관에서만 6년 동안 키워 120센티미터쯤 길이로 자란 대형 열대어 그루퍼에게 청소어를 던져주자 평소 수족관에 던져주는 물고기를 덥석덥석 받아먹던 습관과는 달리 난생 처음 만난 청소어에게 입과 아가미를 벌리며 청소를 요구했다. 수족관에서 위생적으로 키웠기 때문에 기생체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p95
열대어종에게 세척은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요소라고 합니다.
우리는 <선행은 선행으로 보답받는다>는 결론에 이르기 위해 복잡한 추론을 거치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깨닫게 되는 뿌리 깊은 소양이다. 왜 그럴까? 그것은 우리 인간이 사회적 삶을 통해 좀더 많은 것을 획득하도록 적자생존이 호혜주의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p97
<기브 앤 테이크>란 책이 생각납니다. 우리는 주는 대로 돌려받습니다.
여성의 80%가 직장 생활을 하는 북유럽 국가에서도 남성의 일과 여성의 일은 뚜렷이 구분된다. 남녀 종사자의 비율이 거의 같은 직종에 종사하는 여성은 전체의 10%이다. 전체 노동자이 절반이 자기가 속한 성별의 노동자가 90%를 차지하는 직종에 종사한다. -p133
남녀는 분업을 합니다. 노동의 성적 분화는 모든 인간 사회의 공통 현상입니다. 평등주의 사회에서도 그것은 거의 예외 없이 관찰됩니다. 남녀는 선호도가 다릅니다. 주위를 관찰해보면 쉽게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냥에는 운이 많이 따르지만 과일을 따는 데는 운이 필요없다. 따라서 고기를 함께 먹는 것은 사냥의 성과뿐 아니라 불운의 위험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p145
원주민들을 관찰하면 채집한 음식은 직계 가족끼리만 나눠먹지만 사냥한 음식은 이웃과 나눕니다. 이는 두 가지로 설명가능합니다. 사냥은 협동작업에 의해 이뤄집니다. 때문에 나눕니다. 두 번째로 사냥은 행운이 필요합니다. 내가 오늘 사냥에 실패해도 이웃에게 고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에 사냥에 성공하면 이웃과 나누면 됩니다. 위험분산입니다.
우리가 자선 행위를 궁극적으로 이기적인 행위라고 치부한다고 해서 - 사람들은 평판을 높이기 위해서 자선을 한다 - 문제가 전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고 해도 우리는 자선 행위가 왜 평판을 좋게 하는지를 다시 해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p203
인간의 모든 행위를 이기적 유전자 관점으로 해석하는 사람을 보면 화가 납니다. 남에게 선을 베푸는 행위도 결국은 자신에게 이롭기 때문이라는 주장입니다. 자선을 하면 기분이 좋거나 등등. 제가 보기에 동어반복처럼 보입니다. 이런 설명은 결국 아무것도 설명하지 못합니다. 이타적 행위가 왜 우리에게 이득이 되는지를 설명해야 합니다. 왜 이타적 행위는 우리를 기분 좋게 하는가? 왜 이타적 행위는 우리의 평판을 높이는가?
집단들 내부의 협동성이 강할수록 집단 간의 투쟁도 폭력적이라는 진화 법칙에서 우리 인간도 예외가 아니다. 인간은 지구상에서 가장 협동적이고 사회적인 생물이지만, 동시에 가장 호전적인 생물이다. -p270
암울한 문장입니다. 내부의 협동성이 강할수록 집단 간의 투쟁은 폭력적이라니. 집단 내부의 협동성이 없으면 다른 무리에 대한 적대감도 없습니다. 아이러니합니다. 개미들도 내부의 협동성이 강합니다. 개미들도 무자비한 전쟁을 치룹니다. 벌도 전쟁을 합니다. 우리는 이 본성을 넘어설 수 있을까요? 집단의 크기를 지구적인 규모로 확장할 수 있을까요?? 아마 외계인과의 전쟁이 있지 않는한 어려울 것입니다. 외부의 침공은 내부를 결속시킵니다. 정치의 원리이기도 합니다.
교역의 역사는 제 예상보다 훨씬 오래 되었습니다. 노동분화와 전문화는 개체 수준뿐 아니라 집단 수준에서도 벌어졌습니다. 교역의 역사는 수십만 년 이상 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자유주의 무역, 리카도의 비교 우위의 법칙은 수십만년 전부터 행해졌습니다.
아래는 이 책의 마지막 문단입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예수의 가르침에서 사회 질서가 생겨났다고 믿었다. 홉스는 전제군주로부터, 루소는 은둔자로부터, 그리고 레닌은 당으로부터 사회 질서가 생겨난단고 믿었다. 그들은 모두 틀렸다. 사회 질서의 뿌리는 우리 인간의 머릿속에 있다. -p366
저자는 이어서 더 나은 사회를 위해 개인간에 교환을 국가 간에 교역을 조장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거래는 협동을 조장합니다. 신뢰는 거래를 통해 획득되고, 신뢰는 미덕의 기초입니다.
매우 재밌게 읽은 책입니다. 좋은 내용이 가득합니다. 나중에 다시 읽어보고 싶은 책입니다. 그 전에 우선 매트 리들리의 책들을 계속 읽어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