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의 과학 에세이다. 너무 좋다. 도서관에 반납해야해서 슬프다. 다시 빌려 읽어야겠다. 다음 번에는 반납 전에 완독해야겠다.
내 방식은 괴상하고 지엽적인 연관성을 통해 이야기하는 것, 즉 작고 구체적인 대상이나 사건에서 시작하여 폭넓은 일반화로 나아가는 것이다. -p10
에세이를 쓸 때 저런 방식으로 다음에 글을 써봐야겠다. 개인적으로도 글을 읽을 때 저런 방식의 이야기를 좋아한다.
단, 우리가 간섭하지 않고 놔둔다면 대부분의 종은 지금으로부터 수백만 년이 지나서 그렇게 될 것이다. 해양 무척추동물 종의 평균 존속 기간은 500만 년에서 천만 년 사이다. 육상 척추동물 종은 그보다 교체가 빠르지만 그래도 평균적으로 몇백만 년은 된다. -p63
종의 평균 존속 기간이 저렇게 긴지 몰랐다. 해양 종의 멸종은 극히 드물다고 한다.
개 중 다섯 발가락인 것은 하나도 없다. 화석으로 보존된 녀석들의 사지를 보면 발가락 개수는 각각 여섯 개, 일곱 개, 여덟 개였다. -p93
발가락에 관한 에세이가 상당히 흥미로웠습니다. 왜 인간의 손발가락의 5개 일까요? 대부분의 육상 동물들의 발가락이 다섯개인 이유는 뭘까요? 참 궁금했는데 약간의 정보를 얻었습니다. 여기에 2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적응입니다. 처음에는 발가락이 5개, 6개, 7개, 8개인 종들이 있었지만 진화하면서 5개가 최적이라서 5개로 진화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두번째는 우연입니다. 스티븐 제이 굴드는 우연의 가능성에 더 주목합니다.
요즘 과학자들의 의견은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우연보다 적응에 한 표 던지고 싶습니다.
최초의 화석 파충류는 후대에 현생 개구리와 도롱뇽을 낳는 선조 양서류의 최초 화석만큼이나 오래되었다. 그러므로 양서류에서 파충류로 사다리가 올라간다기보다는, 화석 기록과 오늘날의 척추동물 해부학 연구가 말해주듯 사지동물의 둥치에서 일찌감치 굵은 가지 두 줄기가 갈라져서 양서류와 양막류(파충류, 조류, 포유류)가 된 것이다. -p95
양서류가 진화해서 파충류가 된 지 알았는데 그렇지 않나 봅니다.
그리고 오래된 논리에 따르면, 무게를 견디는 최적의 구조는 다섯 발가락이다. 셋째 발가락을 따라 중심축이 흐르면 양옆에서 다른 발가락들이 대칭적으로 잘 버텨주기 때문이다. -p105
이 논리를 괴롭히는 요소들이 있습니다. 양서류는 앞다리에 발가락이 네 개뿐입니다. (개구리 앞발가락이 네 개인 걸 처음 알았네요!) 그리고 인간은 발가락이 다섯개이긴 하지만 주된 무게 축이 엄지발가락이라고 합니다.
흥미로운 이야기, 멋진 글쓰기가 조화를 이루는 과학에세이입니다. 스티븐 제이 굴드의 책은 중고로 구하고 싶은데 가격이 비싸서 안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