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가장 사랑하는 과학저술가 스티븐 제이 굴드의 에세이입니다. 제이 굴드의 에세이는 항상 좋았지만 이 에세이집은 특별히 더 좋습니다.
지엽적인 연결 고리들을 통해 시시한 내용을 폭넓은 메시지로 바꾸는 것이야말로 나의 상투적인 글쓰기 수법이므로 -p113
저도 에세이를 쓸 때 이런 식으로 써보고 싶습니다.
내가 창조성의 열쇠말로 꼽은 것이 다름 아니라 엉성함, 부적합함, 괴상한 설계,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복성이었기 때문이다. -p138
언뜻 보면 엉성함, 부적합함, 괴상한 설계, 중복성은 창조성과 어울리지 않아 보일 수 있습니다. 스티븐 제이 굴드는 생물의 진화를 통해 멋지게 이를 논증해보여줍니다. 창조성은 사실 불완전성과 맞닿아 있습니다. 완전하다면 창조할 필요가 뭐가 있겠습니까?
우주는 주고받는게 분명한 세상이다. 복잡성과 지속성은 함께 가는 짝궁이 못 된다. -p139
박테리아는 단순하지만 태초부터 지금까지 가장 성공적으로 살아남았습니다. 복잡한 것들은 한 부분만 고장나도 쓸모가 없어집니다.
기관들이 각자 하나의 기능만 가진다면(그리고 완벽에 가깝도록 그 기능을 잘 수행한다면) 진화는 정교한 구조를 생성할 수 없을 것이다. 세상은 박테리아가 지배할 것이다. 세상에 복잡한 생물이 존재하는 것은 엉성함, 다기능, 중복 덕분이다. -p143
자세한 이야기는 꼭 책을 읽어보시길.
해부학적 설계의 다채로움을 평가하자면, 어류라 통칭되는 생물들 사이의 다양성이 전체 육상 척추동물들 사이의 다양성보다 훨씬 크다. -p161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책이 떠오릅니다. 표준적인 형태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어류의 다양성이 육상 척추동물들 사이의 다양성보다 훨씬 크다니 놀라운 대목입니다.
나는 뉴질랜드의 양치기들 쪽에 돈을 걸겠고, 세상에서 비유가 사라지지 않기를 바라겠다. -p171
전체 맥락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는 글입니다. 멋진 문장입니다. 뉴질랜드는 양이 사람들보다 25배 많습니다. 컴퓨터에는 모허함이 없습니다. 우리는 실수하고 모호하고 불완전하지만 양과 컴퓨터보다 인류에게 돈을 거는 편이 낫습니다. 스티븐 제이 굴드는 현재 AI의 발달을 본다면 그래도 인간에게 돈을 걸지 궁금합니다.
다윈 바로 전 세대의 스코틀랜드 경제학자 두 명이 압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바로 토머스 맬서스와 위대한 애덤 스미스였다. -p210
역시 위대한 사상은 거인들의 어깨 위에 설 때 나옵니다. 맬서스에게서 '생존 투쟁', ''적자 생존' 의 통찰을 얻었습니다. 애덤 스미스의 자유방임 경제론에서 자연선택 이론의 통찰을 얻었습니다. 아래는 자유방임에 관한 애덤 스미스의 글입니다. 글을 읽으면서 자연선택을 떠올려 보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그는 공익을 추구하지 않으며, 자신이 얼마나 공익을 촉진하는지도 전혀 모른다...... 그는 오직 제 이득만을 추구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손에 이끌려, 전혀 제 의도가 아니었던 어떤 목적을 추구하게 된다. 다른 많은 사람도 다 마찬가지다. -p212
물론 우리는 인간의 정신을 존중해야 마땅하다. 자연이 빚어낸 것 중에서 이보다 감탄스러운 도구는 없다. 그렇지만 한편 우리는 한 발짝 물러나서 마음속 확신을 점검해보는 일도 잊지 말아야 한다. 엇갈리는 이 문장들은 완전한 모순은 아닐지 몰라도 역설임에는 틀림없다. 내게도 아무런 해결 방안이 없다. 그렇다. 우리는 물러서서 자신의 정신을 점검해봐야 한다. 하지만 대체 무엇을 가지고? -p291
스티븐 제이 굴드는 항상 이렇게 멋진 문장으로 글을 마무리합니다.
남은 부분은 Vol.2 에서 이어서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