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바닥에서 전합니다! - 빈민가에서 바라본 혼탁해지는 정치와 사회
브래디 미카코 지음, 김영현 옮김 / 다다서재 / 2024년 12월
평점 :

브래디 미카코의 책은 재미있다. 저자의 관심 분야인 영국 정치와 복지 제도, 대중 음악(특히 펑크, 록)에는 큰 관심이 없지만 계속해서 읽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이 책도 재미있게 읽었다. 일본어판 원서는 2022년에 나왔는데, 2013년에 발표한 책 <아나키즘 인 더 UK>에 실린 에세이 중 일부와 2015년부터 2022년 사이에 발표한 기사, 칼럼 등을 엮은 것이라서 지금 독자가 읽기에는 다소 옛날 이야기 같은 내용도 많다. 물론 영국의 정치에도 음악에도 문외한이나 다름 없는 나에게는 대부분이 새롭고 신선한 내용이었지만.
학창 시절 영국의 록 그룹 '섹스 피스톨즈'의 열광적인 팬이었던 저자는 일본과 영국을 오가다 1996년부터 아예 영국에 정착해 살고 있다. 그 때만 해도 영국은 미국만큼은 아니어도 적어도 유럽 안에서는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사회적으로 안정적이며 문화적으로 앞서나가는 이미지가 있었다. 그러나 정권이 교체되고 신자유주의가 확산되고 이민자가 늘어나면서 현재의 영국 사회는 저자가 처음 왔을 때의 영국 사회보다 살기 나쁜 공간이 되었다. 경제적으로 장기간 침체되어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는 차별과 혐오가 만연하며 문화적으로는 부자들의 생활 양식만 우러르고 가난한 사람들의 현실에는 무관심한 상태로 전락했다.
그렇다고 이 책이 '영국이 보기와는 다르고 예전보다 살기 힘들어졌으니까 오지 마세요' 이런 식의 태도를 견지하는 건 아니다. 오히려 저자는 점점 더 어려워지는 현실에 굴하지 않고 살아가는 보통의 평범한 사람들에게서 계속해서 영국에서 살아갈 힘을 발견하고 희망을 찾는다. 이를테면 기본적인 산수 문제도 풀지 못하는 성인들을 위해 무료로 강의를 하는 동료 R이라든가, 무직이어도 자원 봉사에 열심히 참여하는 이웃들이 그렇다. 젊고 가난할 때는 좌파였다가 나이 들고 부유해지면 우파로 변하는 사람들도 (전 세계적으로) 많은데, 영국에는 경제적으로는 부유층에 속하지만 정치적, 사회적으로는 여전히 좌파인 뮤지션, 유명인들이 많은 점도 희망적이다.
영국 사회의 보수화, 우경화 현상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다. 저자의 남편은 아일랜드계 영국인으로, 원래는 런던에서 화이트칼라 계통의 직업에 종사했으나 현재는 블루칼라 계통의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 오랫동안 노동당 지지자였던 남편이 (책 속 시점으로) 최근에 보수당도 아니고 극우 정당을 지지하겠다고 해서 저자에게 큰 충격을 주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저자의 옆집에 사는 (저자의 남편과 마찬가지로 블루 칼라 직업에 종사하는) 청년도 극우 정당을 지지한다고 해서 저자는 이게 그저 놀랄 일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저자의 관찰에 따르면 이들은 직장에서 외국인 노동자들과 경쟁하는 상황인데, 외국인 노동자들은 시급이 낮아도 군말 없이 일하는 반면 영국인들은 노조니 뭐니 시끄럽기 때문에 회사는 외국인을 선호할 수 밖에 없고, 그렇게 일터에서 밀려날 위기에 놓인 영국인 노동자들은 저임금 고물가를 감수하며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들어보면 이들은 외국인 자체를 혐오하는 게 아니라 외국인에 밀려 입지가 줄어드는 현실에 절망하는 것이고, 그렇다면 궁극적으로 비난 받아야 할 대상은 외국인이 아니라 영국에서 돈 벌면서 영국인을 차별하는 회사 아닌가(노동자들이여, 일어나라!).
영국은 여성 인권이 높다는 이미지가 있지만 저자의 경험상 상류층에 한정된 이야기이고 저자가 속한 하류층 사람들 사이에선 여전히 여성 인권이 낮다는 지적도 인상적이었다. 저자가 사는 동네에만 해도 십 대에 싱글맘이 된 여성이 부지기수이고, 가정폭력에 시달리는 여성도 허다하다. 하류층일수록 복지 수당을 노리고 임신 중지 대신 출산을 택하는 경향이 높고, 대체로 그 결과는 남성의 가정 폭력과 여성의 알코올 또는 마약 중독, 아이들의 낮은 삶의 질(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십 대가 되면 부모의 전철을 밟는다)이라는 관찰도 기억에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