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식주의자 (리마스터판)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ㅣ 창비 리마스터 소설선
한강 지음 / 창비 / 2022년 3월
평점 :

소설은 <채식주의자>, <몽고 반점>, <나무 불꽃>으로 연결되는 연작이다. <채식주의자>는 끔찍한 악몽에 시달리다 채식주의자가 된 아내 영혜를 이해하지 못하는 남편, <몽고 반점>은 처제의 엉덩이에 남은 몽고반점을 소재로 예술 작품을 만들려고 하는 형부, <나무 불꽃>은 남편과 불륜을 벌인 여동생을 보살펴야 하는 처지에 놓인 언니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언뜻 보기엔 어느 날 갑자기 채식주의자가 된 여자 영혜가 모든 일의 발단이자 원흉으로 보인다. 육식을 거부할 뿐 아니라 사람들 몸에서 나는 고기 냄새, 피 냄새에도 진저리를 치는 영혜가 지나치게 별나고 예민해 보인다. 하지만 소설을 읽을수록 영혜는 모든 일의 발단이 아니라 결과이며, 오히려 영혜 주변의 피해자처럼 보이는 인간들이야말로 발단이지 싶다. 다 큰 딸을 자기 소유물처럼 취급하는 아버지, 그런 아버지를 말리지 않는 어머니, 아내를 살림하고 성적 욕구를 해소하는 도구로만 여기는 남편, 처제를 이성의 눈으로 바라보는 형부, 그걸 알면서도 눈 감는 언니까지. 영혜 주변의 인간들은 죄다 착하고 말 잘 듣는 영혜를 잡아먹으려 드는 포식자들이다.
남들이 살점을 달라 하면 살점을 내주고, 뜯어 먹으려 하면 몸뚱이마저 내주던 영혜가 채식주의자가 된 건 어쩌면 당연한 선택이다. 자기는 도무지 그들처럼 남의 살점을 뜯어먹을 수 없음을, 초식동물에서 육식동물로는 도저히 변할 수 없음을 깨달았으니 차라리 풀꽃이 될 수밖에. 형부가 자기 몸에 물감으로 꽃을 그려주었을 때 비로소 제 몸 같고 악몽 없이 편안하게 잘 수 있었다는 영혜의 말을 오랫동안 잊지 못할 것 같다.
이 소설은 주로 남편, 아버지, 형부라는 남성들을 포식자로 그린다는 점에서 남성과 여성 간의 권력의 불평등을 그린 것으로도 읽을 수 있다. 남편과 아내, 아버지와 딸, 형부와 처제는 표면상 다른 관계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그 주체가 각각 남자와 여자인 이상 권력의 불평등이 발생하고 계급이 나뉠 수밖에 없다. 물론 그 권력은 주로 남성에게 주어지고 계급 또한 남성이 우위다. 영혜는 아내일 때나 딸일 때나 처제일 때나 앞에 있는 남자에게 성적 대상, 자기 우월감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 야망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만 착취되었다.
그걸 자각한 영혜가 똑같이 포식자가 되거나 알면서도 당하는 피식자로 남지 않고 그 모든 걸 초월한 꽃이나 풀이 되길 택했다는 점, 그걸 처음으로 알아준 사람이 같은 피식자였던 언니라는 점이 묘하게 위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