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폴리스, 폴리스, 포타티스모스! ㅣ 마르틴 베크 시리즈 6
마이 셰발.페르 발뢰 지음, 김명남 옮김 / 엘릭시르 / 2019년 9월
평점 :

어릴 때는 경찰이 국민의 편에 서서 국민을 위해 일하는 정의로운 집단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지만 버닝썬 같은 일련의 범죄 사건에 경찰이 연루되어 있다는 보도를 듣거나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고 흐지부지되는 모습을 보면서, 또는 가까운 사람들(전부 여자)이 스토킹을 당하거나 지하철에서 불법 촬영을 당해 경찰에 신고했으나 접수조차 해주지 않았다는 말을 들으면서, 더 이상 경찰을 믿어도 될지 고민하고 있다.
마르틴 베크 시리즈 제6권 <폴리스, 폴리스, 포타티스모스!>는 경찰 조직의 무능함을 그린다. 스웨덴의 항구 도시 말뫼에서 한낮에 살인 사건이 일어난다. 스웨덴의 이름난 갑부 중 하나인 팔름그렌이 사보이 호텔 식당에서 지인들과 식사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한 남자가 들어와 팔름그렌을 총으로 쏘고 창문을 넘어 달아났다. 워낙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라서 범인의 인상착의를 정확히 기억하는 목격자도 없고, 팔름그렌을 쏘았을 것으로 짐작되는 용의자도 딱히 없다. 이런 상황에서 마르틴 베크가 현장에 투입되는데, 마르틴 베크는 왜 자신이 스톡홀름도 아니고 말뫼에서 일어난 사건을 수사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폴리스, 폴리스, 포타티스모스!>가 경찰 조직의 무능함을 그린 소설이라는 증거는 소설 곳곳에 널려 있다. 순찰조인 크반트와 크리스티안손은 어린아이가 한 말을 잘못 듣고 분노해 실수하는가 하면, 말뫼 경찰 바클룬드는 범인이 사용한 흉기가 무엇인지 파악하기도 전에 탄피부터 찾겠다고 설친다. 비밀경찰은 누가 봐도 경찰처럼 보이는 옷을 입고 나타나고, 스카케는 하루 종일 범인의 집 앞에서 '뻗치기'한 보람이 무색하게도 내일에야 범인을 잡을 거라는 말을 듣고 망연자실한다. 우리가 생각하고 기대하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경찰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멀다.
<폴리스, 폴리스, 포타티스모스!>의 결말은 마르틴 베크 시리즈의 이전 책들의 결말과 비교해도 첫째나 둘째 손가락에 꼽힐 만큼 압권이다. 마침내 범인이 밝혀지고 사건이 정리되지만 변하는 것은 거의 없다. 팔름그렌의 최측근에서 범죄의 혐의가 짙은 일을 하던 사람들은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고, 오직 범인만이 팔름그렌을 죽인 대가를 치르게 된다. 이 중에 가장 나쁜 놈이 정말 범인일까. 팔름그렌과 그 주변인들, 그리고 그들의 범죄를 알고도 눈 감는 경찰이야말로 진짜 나쁜 놈들이 아닐까. 70년대에 발표된 소설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만큼 시의성 있고 현실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