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황매화'
유독 매화를 좋아하기는 좋아하나 보다. 다양한 꽃에 매화라는 이름을 붙였다. 매화를 좋아하는 것을 넘어서 꽃을 보고 구분하는 기준으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매화가 지는 것을 안타까워했을까. 노랗게 피는 꽃에 매화의 이름을 붙였다. 얼핏 보면 왜 매화일까 싶지만 눈여겨 들여다보면 이름 붙인 이유를 알듯도 하다. 꽃이 매화를 쏙 빼닮았고 색깔이 노랗다고 하여 '황매화黃梅花'라고 부른다.


뜰 끝자락 이웃집과 구분하는 담장안에 심에 삭막한 벽도 가리고 매화꽃 지고난 늦봄 꽃도 보고자 심었다. 다소 어두운 구석이 이 꽃으로 환하게 밝아져 분위기를 다르게 만들어 준다.


황매화는 홑꽃 이외에 꽃잎이 여러 겹으로 된 겹꽃 황매화가 있는데 이를 다르게 '죽단화'라고 부른다. 황매화보다 늦게 피고 더 오랫동안 꽃을 보여준다.


황매화는 꽃뿐만 아니라 진달래와 같이 화전花煎의 재료로 쓰이기도 했다고 한다. '기다려주오'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삿갓나물'
한번 눈맞춤하니 자주 보인다. 가던길 다시가도 눈에 들어오지 않으면 볼 수 없다. 그러다 문득 오랫동안 기다렸다는 듯 바로 앞에 있다. 꽃을 보는 일만 그러한 것이 아님을 알아간다. 사람과 더불어 사는 일도 마찬가지로 예쁘고 선한 마음으로 문득 그렇게 내 앞에 있다.


좌우대칭으로 조화를 이룬다. 짝수의 어울림도 홀수의 어긋남도 자연 속 그대로의 모습은 다 조화롭다. 거기에 빛의 어울림이 반영되어 빛남과 깊이까지 함께 한다. 이 만남이 이뤄내는 모습에서 인간이 창작한 그 모든 것의 원형은 자연에 있음을 다시금 확인한다.


삿갓나물이라는 이름은 잎이 돋아난 모양이 꼭 삿갓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늦봄에 피는 꽃은 녹색이나 한가운데는 노란색이며, 잎 중앙에서 꽃대가 길게 나와 1개의 꽃이 하늘을 향해 핀다. 잎이 7개 정도 되고 꽃줄기가 하나 올라온 것으로부터 '칠엽일지화'라고도 부른다.


독성을 지닌 것이 나물이라는 이름을 얻어 걱정스런 마음일까? '근심'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팥꽃나무'
곱다. 달리 무슨 말이 필요할까. 자잘한 가지가 많은 크지않은 나무에 곱디고운 꽃들이 무리지어 피었다. 멀리서 보아도 금방 알아볼 수밖에 없는 그 고운색에 과하지 않은 향기까지 은은하게 번진다.


연한 자주색으로 피는 꽃은 꽃받침이 통처럼 생기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끝이 4개로 갈라져서 꽃받침은 타원형 또는 달걀꼴의 꽃잎처럼 된다.


팥꽃나무란 이름은 꽃이 피어날 때의 빛깔이 팥알 색깔과 비슷하다 하여 ‘팥 빛을 가진 꽃나무’란 뜻으로 붙여진 것으로 본다. 팥죽이나 팥빙수를 만들기 위해 팥을 삶을 때 우러난 물색이 이와 닮은듯도 하다.


해안가의 산기슭이나 숲 가장자리의 척박한 곳에서 자라며 더위에 약하고 추위에 강하다고 한다. 꽃과 향이 좋은만큼 정원수로 가꾸어도 좋겠다.


곱디고운 꽃색깔과 함께 은은한 향기에서 비롯된 것일까. '꿈속의(달콤한) 사랑'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목나무'
가까이 두고도 때가 어긋나면 보지 못한다. 산목련 보려고 또 두릅을 따느라고 다녔던 길목에서 문득 낯선 모습으로 눈맞춤 했다. 봤을텐데 처음 보는듯 낯선 모습이 어디 식물 뿐일까.


초연이 쓸고 간 깊은 계곡 양지 녘에
비바람 긴 세월로 이름 모를 비목이여
먼 고향 초동친구 두고 온 하늘가
그리워 마디마디 이끼 되어 맺혔네


노래를 잘하지 못하는 나에게도 학창시절 음악시간에 배웠던 익숙한 가사와 멜로디로 다가오는 가곡 '비목'의 노랫말 속 그 나무다. 노랫말에 등장하는 비목은 죽은 이의 신원 따위를 새겨 무덤 앞에 세우는, 나무로 만든 비碑를 말하는 것일텐데 이 노래에 이 나무가 생각나는 것은 무엇때문일까.


비목나무의 꽃은 연한 노란빛으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작은 우산모양으로 뭉쳐서 달린다. 열매는 작은 콩알 크기 정도로 초록색이었다가 붉은빛으로 익는다. 황색으로 차츰 물들어 가는 비목나무의 단풍과 함께 가을 숲의 정취를 돋운다고 하니 늦가을 찾아 그 멋에 공감하고 싶다.


지는 햇살에 반짝이듯 빛나는 모습이 뇌리에 강하게 박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매화말발도리'
식물들의 사는 환경은 제 각각이다. 기름지고 볕 좋은 곳에 터전을 잡고 사는 식물이 있는 반면 옹삭하기 그지없는 바위틈이나 돌 위에서 사는 종류도 있다. 어쩌다 운이 나빠 그런 곳에 자리잡은 것이 아니라 척박한 곳을 근거지로 삼아 살아가는 종이 따로 있는 것을 보면서 사람들 사는 다양한 모습을 떠올려 본다.


매화말발도리도 그런 종류 중 하나다. 숲이 봄으로 옷을 갈아입기 시작하는 때에 생강나무, 히어리와 함께 핀다. 바위틈에 자리잡고 작은 종모양의 하얀 꽃을 아래로 향하여 핀다. 여린 가지에 무리지어 피어있는 모습이 무척이나 아름답다.


말발도리 종류의 꽃은 꽃이 진뒤 달리는 열매가 말발굽에 끼는 편자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매화말발도리는 다른 말발도리에 비해 일찍피며 꽃이 흰색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말발도리에 속하는 식물로는 빈도리, 만첩빈도리, 애기말발도리, 둥근잎말발도리, 말발도리, 물참대, 바위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등 10여 종이 자생한다고 하는데 구분이 쉽지 않다.


얼레지가 무리지어 피는 계곡 초입에 피었던 기억을 살려 보러갔는데 빨랐는지 핀 모습을 보지 못하다가 시골 국도를 지나는 길가 바위틈에서 만났다. 멀리서 보이는 앙증맞은 모습이 '애교'라는 꽃말을 가진 이유를 짐작케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