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피나물'
왜 자꾸 마음이 그곳으로 가는 것일까. 몇 년 전 어느 시인의 억울한 영혼들이 묻힌 곳에는 어김없이 피어난다는 피나물에 대한 이야기와 그곳 피나물 사진을 보고난 후 기회만 엿보다 얼레지 필 때 찾아갔다. 지천으로 핀 얼레지 보다는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피나물 곁에서 더 오랫동안 머물르다 떨어지지 않은 발걸음을 더디게 옮겼다. 그 후로 눈에 밟히는 그곳의 피나물 모습에 기어이 다시 찾아갔다.


샛노랗다. 꽃잎도 꽃술도 온통 노랑색이어서 더 강한 울림이 전해지는 것일까. 과한듯 하면서도 한없이 포근한 온기를 전해주는 것이 할 수만 있다면 저 무리 속에 누워 한동안 안겨있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피나물'이라는 이름은 연한 줄기와 잎을 꺾으면 피血와 비슷한 적황색의 유액이 나와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여름이 되면 잎과 줄기는 없어지고 무 열매를 닮은 열매를 맺는다. 유사한 종류로 '애기똥풀'과 '매미꽃'이 있다. 주의깊게 관찰하면 구분이 어렵지 않다.


노랑매미꽃, 선매미꽃으로도 부른다. 홀로서도 빛나지만 무리지어 그 빛남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숲에서 마주하면 나비가 날아가는 듯한 연상이 되는데 '봄나비'라는 꽃말이 잘 어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금창초'
겨우내 웅크리고 있던 땅에 풀들이 나서 파릇해질 무렵 땅바닥에 바짝 엎드린 보라색 꽃들이 여기저기 뭉쳐있다. 초록색의 풀들 사이에 있으니 더 빛난다. 어느덧 제 자리를 잡아가는 나무 사이사이 빈 공간에 민들레, 제비꽃, 광대나물들 틈 사이에 자리잡았다. 유독 작은 키지만 금방 눈에 띈다.


서리가 이슬로 바뀐 봄날 아침 털어내지 못한 이슬을 쓰고 피었다. 이슬방울과 어울어져 더 짙은 색으로 싱그럽게 다가온다. 무리지어 있기에 더 주목하게 된다. 하나하나 뜯어봐도 개성이 살아있지만 모여 그 특별함을 돋보이게 한다. 나약하고 여린 생명들이 사는 방법이다.


가지조개나물, 금란초, 섬자란초라고도 부르는 금창초金瘡草는 쇠붙이로 된 창, 화살, 칼 등으로 입은 상처가 난 곳에 이 풀을 뜯어 발라 치료 했다고 한다. 이름은 여기에서 연유한 듯 싶다.


특별히 가꾸지 않아도 때가되면 피고진다. 지금 내 뜰에 지천으로 깔렸다. 땅과 붙어서 자라는 쓰임새가 다양한 금창초는 '참사랑', '희생'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큰괭이밥'
사진으로만 보다가 실물 보면 크게는 두가지 반응을 보인다. 이쁘게 찍은 사진보다 실물이 주는 감동이 커 환호성을 지르거나 그 반대인 경우가 그것이다. 대부분의 사진은 주변 구성요소를 배재하고 주인공을 돋보이게끔 주목하여 찍기 때문에 왜곡된 인상을 심어주는 경우가 많다. 하여, 막상 야생에서 실물을 보고도 몰라보는 일이 생기곤 한다.


큰괭이밥은 야생이나 사진이나 별다른 차이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비슷하다. 첫만남에서 단번에 알아보았다. 다른 이르게 피는 봄꽃들에 비해 요란하게 꾸미지 않았으면서도 은근히 매력적인 그 순수함에 흠뻑 빠지게 되었다.


괭이밥이라는 이름은 고양이 밥이라는 뜻으로, 실제로 고양이가 먹는다고 한다. 큰괭이밥은 괭이밥보다 잎이 크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꽃은 4~5월 흰색으로 피는데, 꽃잎 가운데 붉은색 줄이 여러 개 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큰괭이밥은 꽃이 먼저 피고 꽃이 시들 무렵 잎이 올라오는 것이 다른 점이다.


우리나라에는 괭이밥속에 포함되는 종류로 애기괭이밥, 큰괭이밥, 괭이밥 세 가지가 있다. 흔히 사랑초라고도 불리우는 괭이밥의 '당신을 버리지 않음'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으름덩굴'
삶의 터전을 뜰이 있는 곳으로 옮기면서 들고나는 대문에 무엇을 심을까 한동안 고민이었다. 덩굴장미를 심어 붉은 꽃을 볼까도 생각했는데 남의 집 얹혀사는 어색함이 들어 이내 포기하고 고르고골라 심은 것이 어린시절 추억의 열매가 열리는 이 으름덩굴이다. 이 식물을 들고나는 대문에 심은 것은 오가는 사람들 얼굴에 꽃 닮은 미소가 번지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화려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소박한 것도 아니다. 꽃이 전하는 색감이 가슴에 차분하게도 담긴다. 이리저리 살펴보는 눈길에 새색시 붉은 볼이 떠오르는건 시집가던 고모의 볼연지 그것을 꼭 빼닮았기 때문이다.


으름덩굴은 우리나라 산지에 자생하며, 낙엽지는 덩굴나무다. 골짜기나 계곡가에 주로 군집으로 서식하며 이웃 나무에 감아 올라가거나 바위에 기대어 자란다. 꽃은 한 꽃이삭 속에 수꽃과 암꽃이 섞여 있는데 암꽃은 크고 수꽃은 작다. 열매는 맛이 달고 식용이지만 씨가 많이 들어 있다. 생김새나 맛이 바나나와 비슷하여 '토종 바나나’로 부르기도 한다.


잎, 열매, 줄기 등을 사람들의 일상에 쓰임새가 많은 으름덩굴은 '재능'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깽깽이풀'
다소 늦은 계절따라 노루귀 만큼이나 애를 태우던 꽃이다. 자생지를 발견하고 꽃을 관찰하면서 기록된 옛 날짜를 따라 몇번의 발걸음을 했는지 모른다. 그런데 애를 태우던 곳과 얼마 떨어지지 않은 의외의 곳에서 무더기로 만났다. 개발을 위해 몸살을 앓고 있는 한 복판이라 다시 볼 수 있을지 반가우면서도 염려되는 마음이다.


연보라 꽃잎이 어떤 조건에서도 제 값을 한다. 햇살 받아 환하게 빛나며 설렘을 주고, 비를 맞아도 맺힌 물방울과 함께 분명한 색감으로 감탄을 자아낸다. 진한 꽃술과 어우러지는 색감이 최고다. 작은키에 올망졸망 모여서 나고 가늘고 긴 꽃대에 보라색 꽃을 피우며 연잎처럼 생긴 잎을 가지고 있다.


왜 깽깽이풀일까?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풀을 강아지가 뜯어먹고 환각을 일으켜 ‘깽깽’거렸다고 해서 깽깽이풀이라고 불렀다고 하고, 개미에 의해 씨앗이 옮겨지고 깨금발거리에 꽃이 핀다고 하여 깽깽이풀이라 불렀다고도 하고, 농사를 준비하는 바쁜 철에 이렇게 아름답게 피어난 모습이 마치 일 안 하고 깽깽이나 켜는 것 같다고 해서 깽깽이풀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전해지는 말이니 무엇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모두 이쁜 꽃에 보는 이의 마음을 담은 것으로 보인다.


꽃쟁이들이 찍어 올린 사진을 보면 꽃술이 노란색을 띤 것과 진한 보라색의 다른 두 종류가 보인다. 특별한 이유는 모르지만 막 피어난 꽃과 지는 꽃이 같은 꽃술의 색을 가진 것으로 보아 종류가 다른듯 하다. 간혹 흰깽깽이풀도 보인다고 한다.


야생에서 무분별한 채취로 자생지가 파괴되는 수난을 겪는 대표적인 야상화 중 하나다. 그것을 알았을까. 이곳에 다시오면 또 볼 수 있다는 듯 '안심하세요'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