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상업혁명‘은 대부분의 서유럽 사회를 바꿔 놓은 일종의 사회혁명이기도 했다. 사회 변화와 더불어 한 계층이 사라지는가 하면새로운 계층이 생겨났다. 특히 중북부 이탈리아의 여러 도시, 네덜란드의 여러 도시, 독일 한자동맹(Hansa 同盟)에 속했던 많은 도시  그리고  카탈루냐 지방의 여러 도시에서 새로 생겨난 눈에 띄는 중요한 사회 변화는 바로 상인 계층의 등장이었다.  장원 경제 체제에서는 가장 천한 신분으로 간주되었던 상인이 이제는 상류 계층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 P48

이탈리아에서는 이와 같은 새로운 형식의 경제 조직체가 육지 무역쪽에서 형성되었는데, 이른바 ‘콤파니아‘라고 불렸다. 콤파니아의 탄탄한 기반은 전형적인 가부장제 형태의 가족이었다. 가장 나이 많은 어르신 (vecchio)이 판단 · 결정하고, 처벌하고 명령하였다. 그리고 그 외의 사람은 예외없이 여기에 복종해야 했고 이들에게는 ‘불평‘(mugugno)할  권리조차 없었다.  가족은 콤파니아에서 일할 사람을 선별하고 콤파니아의 모든 자본을 관리하였다. 이것도 새로 생겨난 요소였다.  - P50

베네토 주의 화폐 위조 문제를 연구한 라인홀드 뮬러> 교수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가치가 높은 동전이든 낮은 동전이든 간에화폐를 위조해서 얻어내는 수익은 미미했다. 대부분의 화폐 위조범이 얼마 안 되는  돈에서 수익을 얻어 내고자 할 때 감수해야 하는 가장 큰위험은 자신의 신변 문제였다." 이런 사실은 바르디 가문의 실패한 사업에도 해당된다. 보통 동전을 위조하면 두 가지 측면에서 이익을 얻었다. 첫째, 합법적인 동전과 비교했을 때 위조 화폐에는 은이 조금밖에 포함되지 않았다. 둘째, 위조범은 정부에 세금을 내지 않고 이를 모두 자기의 수익금으로 돌렸다." - P95

특히 바르디 가문 출신의 세 사람이 확신했던두 가지 사실은, 첫째, 경찰의 손에 잡힐 확률은 거의 없다는 점, 둘째,혹 잡힌다 하더라도 그들이 실형을 받기는  힘들  것이라는 점이었다. 모든 사람이 법 앞에서 평등하지는  않았다. 바르디 가문 사람은 특권층에 속했고, 이 때문에 특별히 법에 신경 쓰지 않아도 괜찮았다. 실제로 이들은 법을 조금도 괘념치 않았다. - P96

이제 루이지노 화폐는 상품 교환을 위한 매개물이 아니라 하나의 상품이 되었고 더욱이 이 상품에 대한 수요는 아주 컸다. 따라서 이 상품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정되었다. 하지만 법적으로 이 상품은  화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이런 이유로 프랑스 상인이 루이지노 화폐를 터키로 가져가 매겼던 가격은 터무니없이 높았고 이는 모든 통화 체제에 혼란을 가져오는 일이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루이지노 화폐에 열광해 눈이 먼 터키 사람을보고 프랑스 투기꾼은 터키인의 순진함을 이용해 먹기로 마음먹었다. - P102

모순된 사실이지만 프랑스에는 상업과 관련해 내세울 만한 전통이없었을뿐더러 상업과 귀족 신분은 병행할 수도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는 신념이 당시  프랑스  사회를 강하게 지배했다. 사회적으로 신분이낮거나 역량이 부족한 사람만이 상인이 된다고 생각했다. 돈을 수억벌었다 하더라도 상인과 그의 후손은 천민 혹은 아주 낮은 사회 계층에 속하는 운명을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해상 무역만은 예외에 속했다. - P119

상인은 점차 신분이 높은 층과 낮은 층으로 구분되기 시작했고 그영향은 프랑스어 사전에도 반영되었다. 상점을 직접 운영하며 소매업을 하던 자나 신분 상승을 꿈도 꿀 수 없던 사람에게는 마르샹(marchand)이라는 이름표가 그대로 남았다. 그 외의 사람, 즉 귀족 신분으로 상승할 수 있던 특권층을 위해 네고시앙(negociant)이라는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졌다. 인간사에 흔히 일어나듯이 용어 정의를 둘러싼 논쟁 때문에 싸움, 적대감,  경쟁의식이 생기곤 한다. 어떤 네고시앙을 마르샹이라고 불렀다면 그것은 엄청난 모욕이었다. 자크 사바리는 다행히도 자신이 네고시앙이라 믿었고 수많은 네고시앙을 위한 경제 입문서를 저술하였다. - P121

유대 상인은 거의 모든 세관에서 낙찰권을 따내맥주나 브랜디 혹은 럼주에 매기는 세금을 관리하기 때문에 모든 귀족은 유별날 정도로 유대인을 환대한다. 더욱이 귀족 소유의 농토를 책임지고 관리해 주는 사람도 바로 유대인이기 때문에 유대인은 귀족으로부터 항상 환대를 받는다. (중략) 폴란드의 부르주아 계층 역시 상업에 손대고 싶어 하지 않는다. 그단스크 시의 항구를 통해 이루어지는상거래는 소규모에 불과한데, 그 이유는 프러시아, 특히 그단스크 시가 거의 모든 폴란드 제품을 독점하여 외국인에게 직접 공급하기 때문이다. - P1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민이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정보’를 얻어 스스로 의료문제를 결정하면서 과학자, 보건공무원, 의사의 권위도 최근 몇 년 사이 크게 떨어졌다. 문제는 인터넷 정보가 편견 없는 과학적 증거를 보여주기보다는 상업적 목적이나 정치적 목적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과학이 항상 한목소리를 내지는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아무리 소수라도 항상 주류과학의 흐름에 반대하는 연구자와 보건 전문가가 있기 마련이다

원칙적으로 인터넷 정보의 ‘민주주의적’ 전파는 대중이 의료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의료문제를 다루는 인터넷 정보와 권위 있는 과학연구 사이의 연결고리는 아주 약하거나, 때로는 아예 존재하지도 않는다

여기서는 대중에게 정보가 없다는 점이 문제가 아니라, 대중이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잘못된 신념을 고수하면서 과학적 사실에 저항하게 된다는 점이 문제다. 만약 예방접종이 제약 산업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는 식의 예방접종 반대사이트의 주장을 받아들이게 되면, 과학적 증거는 즉시 무시당한다.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 중의 어느 것이 올바른 지표일까? 목적에 따라서 이들 모두가 타당한 척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누가 당신에게 어떤 대상의 ‘평균average’을 이야기하면, 당신은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어떤 종류의 평균을 말하는지를 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여론조사는 사람들의 생각에 대한 특정 시점의 ‘스냅사진’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그 조사결과가 반드시 다른 시점에서도 정확한 것은 아니다. 여론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영국의 정치가 디스레일리Disraeli는 거짓말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고 했다. "거짓말, 지독한 거짓말, 그리고 통계." 그러나 지식에는 오직 한 가지 종류의 지식만 있다. 그것은 바로 확률(개연성)이다. 현실세계에서 절대적 확실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동·청소년 대상 범죄는 의분을 부른다. 모두가 범죄자를 엄벌하자고 소리높이지만 사실 이렇게 외치는 데 큰 힘이드는 건 아니다. 폭로가 멎어도 스쿨 미투국면은 끝나지 않는 까닭은 성범죄자 규탄보다 훨씬 무거운 질문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어떤 말부터 어떤 행동까지 금지할 것인가? 무슨 과정을 거쳐 이런 조치에 이를 것인가? 누구의 말을 듣고 누구의 말을 흘리는 게 옳을까? 아동을 보호하는 것과 존중하는 것 중 무엇이우선인가? - P11

아동이 피해자인 스쿨 미투는 그렇게 간단치 않다. ‘성범죄 은폐‘와 ‘기획 미투‘ 사이에는 넓은 영역이 있다. 상호 오인이다. 고령의 교사는 변화하는 상식에 적응이 늦고, 아동은 성인의 말을 온전히 해석하지 못한다. 아동이 개입되어 있다는 사실때문에 객관적 실체가 드러나도 제3자의생각이 갈린다. - P11

그가 읍소한 전략은 "일 잘하는 사람을 뽑아달라" 였다. 지난 8년의 구정을 살펴보고 평가해 한 번 더 기회를 달라는 뜻이었다. 일을 잘했다는 자신감을 표하는말이었다. 그 말에 유권자들이 응답했다.
그의 승리는 여러모로 여의도 정치권의 눈길을 끈다. 교차 투표를 하거나 스윙보터인 유권자 층이 선거 당락을 결정할 만큼 존재한다는 점, 이들이 반응하는 이슈는  ‘정치적 효능감‘ 과 맞닿아 있다는점, 결국 ‘일을 잘하는  것이 승리연합을만들어내는 연결고리‘라는 점 등이다. - P16

 화물차주는 원래 운수사에 고용된 정규직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자기 소유의 화물차를 운수사에 등록하고 회사 이름으로 차를 운행하면서(이를 ‘지입제‘라 한다) 월급이 아닌 건당운임을 받는 개인사업자로 속속 전환됐다. 이른바 ‘특수고용 노동자‘다. 이들은 최저임금도, 노동시간 제한도 적용받지 않고 노동조합도 만들 수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건당 운임이 오르지 않거나 떨어지니 차주들은 수입을 위해 더 오래 일하고(과로), 더 빨리 달리며 (과속), 규정보다 더 많이 물건을 실었다(과적), 결국 차주들은 2002년 화물연대‘라는 이름의 노동조합을 만들고 2003년 대대적인 파업을 벌였다. 그때 요구한 게 ‘표준요율제‘, 바로 지금의 안전운임제다. - P26

오염된 토양은 암 이외 질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를 ‘비발암 위해도‘로쓴다. 토양오염물질 위해성 평가 지침에 따르면, ‘1‘을 초과할 경우 암 이외의 질병 또는 건강상 위해를 일으킬 수 있다. 조사결과 이 부지는 주거지역으로 사용될 경우 어린이와 성인, 상공업 지역으로 사용될 경우 근로자, 오염 정화 작업자 모두 비발암 위해도 1을 초과했다. - P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구가 앞으로도 건강을 유지하면서 다른 사회에 영향력을 지속시키려면 이슬람과 아시아가 도덕적 우월감을 주장하는 추세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서구 문화는 내부의 집단들로부터 도전을 받고 있다. 그 도전의 하나는 바로 동화를 거부하고 자기가 떠나온 나라의 가치관, 풍습, 문화를 여전히 고수하고 전파하려고 애쓰는 이민자들로부터 받는다. 이런 현상은 유럽에 거주하는 이슬람교도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그들은 어디까지나 소수 집단에 지나지 않는다. 정도는 덜하지만 미국에 사는 히스패닉 집단도 비슷한 성격을 보인다. 그런데 미국의 히스패닉 인구 규모는 만만치가 않다.

서구의 보편주의가 세계에 위험을 초래하는 까닭은 핵심국들 사이의 문명 전쟁을 낳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서구에게 더더욱 위험한 까닭은 전쟁에서 서구가 패배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소련이 붕괴하자 서구인들은 자신들의 문명이 우위를 점하게 되었지만 아시아, 이슬람, 기타 문명들도 서서히 힘을 쌓아 나가고 있는 현실에 맞닥뜨렸다. 이때 서구인들은 브루투스의 호소력 있는 낯익은 논리에 의존하고 싶은 유혹에 빠진다.

서구 문명이 가치를 지니는 것은 그것이 보편적이어서가 아니라 남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구 지도자들의 책무는 다른 문명들을 서구의 이상에 맞춰 뜯어고치는 것이 아니다. 쇠락하는 서구로서는 그것을 감당할 능력이 없다. 서구 지도자들은 서구 문명의 고유한 특성을 견지하고 수호하고 쇄신하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미국은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러한 책무를 앞장서서 떠맡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전쟁은 그 기원과 원인, 결정과 발발, 전개와 귀결의 모든 면에서 국제적 수준, 동아시아 수준, 국내적 수준의 세 층위로 나타났다. 전쟁의 기원은 이 세 수준으로 인해 놓였고, 전쟁의 결정 역시 철저하게 그러하였다. 따라서 전쟁의 전개와 귀결은 더 말할 필요도 없었다. 이 세 층위의 밀접한 유기적 관련 속에 한국전쟁은 위치하였다. 각각, 첫번째 층위는 미소대립과 냉전이었고, 두번째 층위는 중국혁명과 일본의 존재, 그리고 세번째 층위는 남북갈등과 각각의 내부정치와 사회의 수준이었다. _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 p64


 박명림(朴明林, 1963 ~ ) 교수는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에서 한국전쟁을 여러 층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기존의 남북한 뿐 아니라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G2로 각각 자유진영과 공산진영을 대표하는 두 강대국 미국과 소련의 이익과, 국민당-공산당으로 내전을 겨우 봉합한 중공과 패전국으로 전락한 일본의 이해관계를 함께 고려했을 때 비로소 전쟁의 진면목이 보인다는 것이다. 


 분석의 영역과 관련하여 우리는 네 가지 요소의 분리와 종합을 시도하고자 한다. 즉, 남한과 북한의 사회를 분석하면서 우리는 정치, 경제, 이념과 멘탈리티, 군사영역의 분리와 종합을 시도한다(p77)... 이 네 영역 중 가장 중심적인 문제는 역시 정치이며 48년 질서에서 압도적으로 우월하였던 요소는 일부에서 말하는 이념도 경제도 아니었고 바로 정치였다. _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 p80


  저자는 이러한 한국전쟁의 지층에 대해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정치, 경제, 이념, 군사 영역의 4부분에 대해 남북 체제가 구성원들의 지지를 받기 위한 여러 노력들을 교육, 토지개혁 등의 이슈를 통해 살펴본다. 이러한 체제들의 노력은 균열과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체제를 변화시키는데, 저자는 해방 전후 한국전쟁에 이르기는 5년의 기간 중 변곡점을 1948년으로 본다. 


 필자가 이해하기에 한국전쟁의 연구를 위해서는 다음의 세 준거들이 필요하다. 즉, 농민, 민주주의, 그리고 민족주의가 그것들이다(p52)... 우리의 초점은 국가(state)와 정치사회(political society), 시민사회(civil society)의 관계에서 밑으로부터의 참여와 의사의 대표성 여부에 놓여 있다. 당연히 소련점령국과 미국점령군, 남북한 국가의 성격, 정당체제와 선거의 과정과 방법, 체제반대 세력에 대한 수용과 배제의 방법과 범위, 갈등의 정도와 수용 여부, 자율적 결사의 허용과 탄압의 문제 등에 초점이 놓일 것이다. _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 p56


 우리가 세번째로 설정한 방법론은 균열(cleavage) 또는 갈등의 구조와 위계라는 문제틀이다. 여기서 말하는 균열은 특정의제를 둘러싸고 관계된 행위 주체, 이를테면 국가와 국가, 집단과 집단, 계층과 계층 사이에 수직적 수평적으로 벌어지는 힘과 정책의 길항관계를 지칭한다. 그리고 그것이 구조라는 지형위에 어떻게 놓여 있는가 하는 측면을 포함한다(p76)... 정당성을 두고 대립하는 두 국가를 둘러싼 균열의 수준과 위계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국가(state)와 체제(regime), 정부(government)의 구별이다. _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 p76


 1948년 이전에 서울을 수도로, 태극기를 국기로 인식하는 공감대를 남북한이 공유했다면, 이후에는 각각의 체제를 국가로 인식하는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은 38선을 임시구분선에서 분할선으로 받아들이는 변화이기도 했다. 저자는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에서 한국전쟁을 내전, 지역전, 세계대전의 층위로 구분하고, 정치, 경제, 이념, 군사 영역에서 사회 체제 - 국가, 사회공동체 - 사이의 균열과 영향을 분석한다. 다만, 이러한 균열로 인한 변화는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았다. 한 체제의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는 다른 체제의 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북한의 토지개혁은 남한의 토지개혁에 영향을 미쳤고, 남한의 토지개혁 결과 또한 북한 사회에 영향을 끼쳤다. 토지개혁 뿐 아니라 거의 모든 사회분야에 있어 경쟁과 영향관계는 한국전쟁 발발 직전까지 고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전쟁 직전의 배경을 형성하는 것이 아래로부터의 움직임이라면, 전쟁을 결정짓는 것은 결국 정치의 영역이다. 이와 관련된 정치적 리더십의 관계가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에서 그려진다면,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2>에서는 농민을 중심으로 한 대중의 입장에서 바라본 한국전쟁의 배경이 서술된다. 이번 페이퍼에서는 전체적인 책의 얼개를 살펴보는 것으로 하고, 다음에는 보다 상세하게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자...


 1948년이전의 대립과 48년 이후의 대립의 근본적인 차이는 여기에 있었다. 이제는 정통성의 배타적 독점을 주장하는 '두 국가의 공존상태'가 도래한 것이다. 이 둘은 전부 사회적 갈등이라는 내적 계기가 냉정이라는 외적 계기를 매개로 하여 등장한 것이었다. 이 중첩으로 인하여 민족의 분할선으로서의 38선은 이미 세계의 분할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38선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체제에 의한 한국의 분할과, 같은 기준에 의한 동아시아와 세계의 분할의 중첩이었던 것이다. _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 p63


 전쟁은 모든 정치적 선택 중에서 두 행위주체에 의해 가장 밀접히 맞물린 채 발생하는 사건이다. 따라서 어느 일방의 인식과 정책, 사회구조만을 분석하는 것은 부분적인 설명일 수밖에 없다. 두 쪽 모두를 동시에 분석하는 것은 부분적인 설명일 수밖에 없다. 우리는 졸버그(Aristide Zolberg)가 말한 바 있는 '대쌍관계동학'(對雙關係動學, interface dynamics)이라는 개념을 빌어 1945년에서 50년, 특히 필자가 '전간기'(戰間期) '48년 질서'라고 부르는 1948년에서 50년 사이의 남한과 북한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고 본다. 대쌍관계동학을 이용한 접근은 남한과 북한 각각에 대한 독립적 이해와 그것들 사이의 관계의 다이내미즘을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_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 p69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리의화가 2022-06-24 11:00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이 책도 읽으시는군요. 읽은지 한 3-4년쯤 된 것 같은데 저도 재독하려고 찜한 책입니다. 겨울호랑이님이 이 책에 대해서 어떤 소감을 풀어내실지 궁금해집니다^^

겨울호랑이 2022-06-24 13:31   좋아요 4 | URL
여러 면에서 박명림의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은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의 기원>과 비교되면서도, 차이가 있다 생각됩니다. 커밍스의 <한국전쟁의 기원>이 외부적으로는 얄타체제와 같은 세계체제적인 측면에서, 내부적으로는 일제시대 식민지 상황으로부터 시작해 서서히 관점을 한국전쟁으로 모아간다면, 박명림의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은 해방 전후로부터 1950년 6월 25일 38선에서 시작된 한국전쟁까지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쓰나미를 표현할 때 전자가 대륙이동과 해류 등 기후적인 면에서부터 그 원인을 찾는다면, 후자는 쓰나미 전후 변화 상황을 보다 세밀하게 그렸다고 해야할까요... 한국전쟁의 거시사와 미시사. 이렇게 두 책들을 비교하게 되네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