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위안부 - 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 제2판 34곳 삭제판
박유하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제국의 위안부>를 본격작으로 읽기 전에 먼저 작가의 세계관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작가는 일본의 제국주의(帝國主義) 침략을 서구 제국주의로부터 아시아를 지키기 위한 정의로운 행위로 행위로 이해한다. 일본 제국은 모든 아시아인의 해방의 염원을 담은 위대한 제국이며, 식민지 조선인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는 것으로, 과거 ‘적‘들과 손을 잡고 성노예 문제를 말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작가의 세계관을 이해한 이후에야, 비로소 우리는 <제국의 위안부>를 제대로 읽을 수 있다...


무엇보다, 강자로서의 ‘제국‘에 의해 상처를 입었던 우리가 구 제국(일본)의 죄를 다른 제국(네덜란드)와 연대해 또 다른 제국(미국, 영국 등 유럽)에게 물어온 방식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p297)... 문제는 네덜란드 여성과 ‘조선인 위안부‘ 역시 ‘적‘의 관계였다는 점이다... 일본이 제국주의로 나선 것은 서양을 흉내낸 일이기도 하다. 일본의 대상은 아시아였고, 말하자면 아시아의 불행은 서양의 제국주의에서 시작된 것이기도 하다. 그건 결과적으로 아시아의 침략이 되고 말았지만, 일본의 전쟁의 명분은 서양 제국으로부터의 ‘아시아의 해방‘이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일본은 졌고, 전후 일본과 한국은 함께 미국을 중심으로 한 제국적 냉전구조 속에 안주하게 된다._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 제2판 34곳 삭제판>, p2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국의 변호인 박유하에게 묻다 - 제국의 거짓말, 위안부의 진실
손종업 외 지음 / 도서출판 말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여러 관점에서박유하가 주장하는 소위 ‘제국의 위안부‘ 주장의 논리적 허구성을 지적하는 「제국의 변호인 박유하에게 묻다」의 논리는 슬라보예 지젝과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말로 잘 표현된다...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은 그의 책 「잃어버린 대의를 옹호하며 」에서 자유주의자나 개인주의자들이 역사적사건들의 본질을 왜곡 축소하는 방법으로 개인들을 집중 부각하면서, 그 개인들간의 관계를 홈 드라마적 가족 신화로 포장하는 것에 대해  대단히  비판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즉, 집단에 의해 저질러진 명백한 폭력의 문제를 집단 구성원들인 각 개인들이 처한 이해관계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 보다 큰 단위인 ‘전체‘를 느끼지 못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 P207

"심리적 리얼리즘은 혐오스럽다. 왜냐하면, 그것은 우리가 개인적 성격의 심층에 넋을 잃고 인성의 ‘호화로움‘ 속으로 대피함으로써 불쾌한 현실을 피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때문이다. 작가의 임무는 이러한 술책을 차단하고,
참혹한 것을 덤덤한 눈으로 볼 수 있는 지점까지 우리를 몰아가는 데 있다."
- P20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1-03-25 16: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지젝이 말한 취지에서 우리나라 방송 중 가장 나쁜 방송이 <인간극장>이라고 누군가 말하더라구요. ㅎ
전형적인 휴머니즘, 인본주의 방송... ㅋ

겨울호랑이 2021-03-25 16:13   좋아요 1 | URL
개인적으로는 <인간극장> 등이 나쁜 방송이라 생각하지는 않지만, 엄밀하게 ‘감성 마케팅‘이라는 기준에서 본다면 전형적인 감성 팔이 프로그램이라 생각합니다...
 

 이 책의 논점은 전체 모집단에 대한 조사가 불가능하다면 정확한 표본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모집단을 일반화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여론조사의 역할이고 여론조사가 필요한 이유다.  - P2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론조사」에서 강조하는 사항은 모집단에 대한 조사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정확한 표본 추출 방법을 사용한 표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언론에서는 응답자의 수를 기준으로 대표성 여부를 따지지만, 이는 절반의 진실에 불과하다. random sampling 이라는 전제 하에서 비로소 조사의 신뢰구간이 충족된다고 했을 때, 과연 여론 조사 회사들이 보유한 패널들이 전체 모집단을 대표한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포인트를 획득하기 위해 응답한 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마음 깊이 숨겨둔 다수의 생각을 대신할 수 있을까?

표본 숫자가 아닌 표본 추출 과정에 전반에 대한 과정이 공시될 때, 비로소 여론 조사는 프로파간다의 수단이 아닌 신뢰성과 타당성을 획득한 진정한 사회과학으로 거듭날 수 있지 않을까를 생각해 본다...


  무작위로 선정한 표본의 크기를 1,000개에서 2,000개로 두 배 늘린다고 하면, 표본추출을 위한 비용과 시간도 궁극적으로 두 배로 늘어날 것이다. 하지만 표본의 오차 한계는 최소치까지만 줄어들 것이다. 이것이 미국이 시행하는 대부분의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표본 크기를1,000개에서 1,500개 사이로 설정하는 이유이다. 이 정도 표본 크기가 정확도 대비 소요 시간과 비용에 대한 효율성을 충족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타협점이기 때문이다. 표본 추출의 핵심은 조사 대상인 모집단 전체의 모든 요소들이 표본으로 선정될 동등한 기회를 부여하는 방법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표본을 선정하였을 때, 추출된 표본은 경험적인 오차 한계내에서 모집단을 일반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 P226

여론조사의 기본 원칙은 ‘무작위‘ 이며, 이 원칙이 바로 여론조사 전문가가 성공적인 표본을 추출할 수 있는 해답이다.
- P22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1-03-25 17: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씁쓸하지만 예전에 포커스 스터디
공부를 해보니, 여론조사는 설계자가
어떻게 질문 등을 설계하냐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는 그런 맹점이 있다고 하더군요.

겨울호랑이 2021-03-25 17:53   좋아요 1 | URL
레삭매냐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사실 여론조사 뿐이겠습니까. 회계 이익도 그렇고, 과학에서 말하는 ‘가정‘도 연구자의 판단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우리는 숫자로 만들어진 데이터로 설득당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혁명‘은 결국 새 시대를 특징있는 개념이 되었다.  처음에 ‘혁명‘은 교체, 봉기, 지배자 몰락 혹은  헌법  변동이라는 전통적인 현상을  표현했다.  그 후 헌법 변동은 전통적인, 예컨대 폴리비아누스적인 신적인 의미에서 헌법 순환므로 해석될 수 있었고,  18세기에 역사철학적으로 의미를 확장했다. 그것은  변동 자제를 의미했지만 모든 생활 영역들을 함께  진보적으로 보다 나은 미래로 미끌 변동을 의미했다. 혁명은 역사적 필면성의 후광을 얻게 되었다.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