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노자가 생각한 문제는, 그보다 훨씬 뒤의 시대에 등장한 문제와 마찬가지로, 가능한  최대한의  자유와  공공의 선을 적절하게 결합시키는 문제였다... 정부의 일반 원리는 자유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신장시키는 것이어야만 하며 이러한 자유는 진정한 문화적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는 스피노자의 주장은, 그가 이를 처음 언급하였을 때와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 P4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송수익은 남아 있는 의병들을 해산시키고 있었다. 공허의 대원 여섯까지 합해 모두 서른넷이었다. "여러분, 오늘은 우리 모두에게 참으로 슬프고도 서운한 날입니다. 여러 가지고 사정이 여의치 못해 우리 의병대는 해산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조금치도 슬퍼하거나 서운해해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의병을 해산하고 헤어진다고 해서 의병활동을 영영 끝내고 다시는 만날 수 없게 되는 것이 아닌 까닭입니다. 한번 의병으로 나선 우리는 빼앗긴 나라를 되찾을 때까지 의병정신으로 싸워야 하고, 우리는 기필코 다시 만나게 될 것입니다..." 송수익의 어조에는 비장감이 서렸고, 대원들의 얼굴에도 비장감이 흐르고 있었다... "여러분, 이제 그만 일어들 나시오." 송수익은 웃음을 지으며 말했다. 그러나 그 웃음에는 슬픈 빛이 역연했고, 침통한 목소리에는 물기가 스며 있었다. "우리 그냥 작별허기 서럽고 지랄 같은디 속 풀고 맘 다지게 다함께 노래나 한 자락 허고 뜨는 것이 어쩌겄소!" "아리랑이 딱 좋네. 한 사람씩 돌아감스로 가락얼 먹어기로 허는 것이여. 모다 얼렁얼렁 일어나드라고."_조정래, <아리랑2> 中


 구한 말을 배경으로 하는 조정래의 장편 소설 <아리랑>. 아리랑은 의병을 해산하는 순간에도, 하와이에서 국민군단을 창설할 때에도 인물들과 함께 한다. 슬플 때에도, 그리울 때에도 이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것은 아리랑이었다. 오늘은 의병을 해산하는 송수익이 어떤 심정으로 노래를 불렀을 지 조금은 더 깊게 공감하게 된다. 나라를 빼앗긴 것도 아닌데, 소설 속 인물에 이렇듯 감정이입이 잘 되는 것을 보면서 생각보다 내 자신의 감수성이 풍부함을 느끼는 밤이다...


 그들은 진정으로 그리움이 사무쳐 몸부림이 일어나는 것처럼 아리랑을 목놓아 구성지고 서럽게 불러댔다. 술에 취하면 누구나 아리랑을 불렀다. 불러도 목놓아 불렀다. 목놓아 부르다 보니 가락은 제멋에 겨워 더 늘어지며 넌출져 휘감기며 처연해지고, 술에 젖은 가슴은 그 가락을 못 이겨 허물어지며 더 서러워지고 녹아내리며 한스러워져 이어지고 또 이어지는 가락에는 끝내 물기가 묻어나고는 했다._조정래, <아리랑4> 中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4-08 10: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런 장면은 볼 때마다 마음이 찡! 아 저는 민족주의자 안하고 싶은데도 어쩔 수 없이 찡...
조정래작가님이 그만큼 글을 잘 쓰시도 하고요. (요즘은 좀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태백산맥과 아리랑은 걸작이라고 생각합니다. ^^) 이 글 읽으면서도 찡 하잖아요. ^^

겨울호랑이 2021-04-08 12:30   좋아요 0 | URL
네... 민족에 흐르는 보편적인 감정이 있음을 문학작품을 통해 확인하게 됩니다. 이와 함께, 그러한 감정을 공유하는 것이 집단이고 역사가 이들의 공통된 경험이라면, 감정을 느끼는 경험은 온전하게 개인의 것임도 함께 생각하게 됩니다...^^:)
 
洋)The Economist 2021年 3月 26日號
日販IPS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과 부산에서 보궐 선거가 있는 날. 매일 아침 세계의 주요 뉴스를 간략하게 요약해서 제공하는 The Economist Espresso에서도 중요한 비중으로 우리나라 보궐선거가 다뤄지는 것을 보면, COVID-19동안 우리나라의 국제 위상이 많이 올라갔음을 새삼 실감한다. 동시에, 국내 정치도 언론을 못 믿어 외신으로 봐야 하는 현실이 서글프게 느껴진다. 이번 선거에 유권자는 아니지만, 많은 이들의 관심이 선거에 쏠려있음을 실감하는 오전이다...

South Koreans go to the polls today to elect new mayors for Seoul and Busan, the country‘s biggest cities...The by-elections are widely seen as a referendum on Moon Jae-in, the president, in the final year of his term. It looks unlikely to be favourable. Mr Moon‘s approval rating is the lowest since he took office; opposition candidates lead both races by wide margins... But a scandal over profitable land deals involving employees of the state housing agency hasn‘t helped. Nor has the fall of the two mayors. The opposition, though expected to win, isn‘t terribly popular; its main selling-point is the contrast with Mr Moon and Minjoo.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1-04-07 09:5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국내의 유사 언론행세를 하는 미디어들과
달리 이코노미스트의 정세 분석이 정확
한 것 같습니다.

겨울호랑이 2021-04-07 10:50   좋아요 3 | URL
그렇습니다... 개인적으로 국내 유력 일간지들을 보면서 항암 유발 물질이 포함된 광고지/전단지라는 생각을 떨치기가 힘이 드네요... 참 슬픈 일 입니다.... ㅜㅜ

단발머리 2021-04-07 11:5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국내 유력 일간지 보는 사람 얼마 없는듯 한데 포탈을 통해서인지 아직 힘이 막강하네요. 참 씁쓸합니다 ㅠㅠ

겨울호랑이 2021-04-07 12:05   좋아요 1 | URL
네... 아직 나이 드신 어르신들은 계속 구독을 하시고, 종편에 노출되어서 계속 잘못된 정보를 접하고 계시니 참 갈 길이 먼 듯합니다..ㅜㅜ

2021-04-07 20: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4-07 20: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4-07 20: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4-07 21: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뿐호빵 2021-04-07 23: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씁쓸합니다..ㅜㅜ

세상을 바꾸는 모든 일은 손으로...
아직도 그 손이 어떤 손인지 모르는 듯 하네요

겨울호랑이 2021-04-07 23:47   좋아요 1 | URL
저도 예상을 뛰어넘는 결과에 매우 놀랐습니다. 제 생각과는 많이 다르지만, 이번 결과를 통해 더 나은 내일이 있기를 바라봅니다... 씁쓸하긴 합니다만, 이번 제 평생에 있을 수많은 선거 중에서 하나일 뿐이니까요. ^^:)
 

자신의 선을 위해 노력하는 각 인간은 다른 사람의 선을 위해서도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곧 인간 사회의 공동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정리 40」 본문). 인간이 혼자 사는 것보다 함께 살면 훨씬 유익하고 이로움을 주는 것이 선이다. 반대로 국가에 공동체 사회나, 국가에 불이익을 가져다주는 것은 당연히 악이기 때문에 피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과 땅에서 생산해낸 재화와 수백 가지 물건들은 백성의 수중에 있지 않으면 관청의 창고에 들어와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러한 재산을 다만 관리하여 국가의 재정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이상한 방법을 만들어서 백성들에게 빼앗는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