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해자 - 부자를 만드는 주식투자의 공식
팻 도시 지음, 전광수 옮김 / 북스토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속성이 있는 기업, 즉 경쟁력이 뛰어난 기업은 가치가 높은 반면 경쟁력이 업는 기업의 가치는 한순간에 영 zero이 되어 버릴 수도 있다. 이것이 투자자로서 경제적 해자가 의미 있는 가장 큰 이유이다(p24)... 해자가 있는 기업의 가치가 더 높은 이유는 더 오랜 기간 동안 경제적 이익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자가 있는 기업의 주식을 사는 것은 오랜 세월 동안 경쟁사들로부터 보호될 현금흐름을 사는 것과 같다. _ 팻 도시, <경제적 해자>, p25

팻 도시 (Pat Dorsey)의 <경제적 해자 - 부자를 만드는 주식투자의 공식 The Little Book That Builds Wealth>은 경제적 해자(Economic Moat)를 가진 기업과 이들이 갖는 독점 이익에 대한 책이다. 저자는 다른 기업들이 쉽게 들어오지 못한 진입장벽을 보유하고 지속적인 이익을 가져갈 수 있는 기업의 발굴이 갖는 중요성과 기준에 대해 말한다. 독점(獨占, monopoly)을 추구하고 피라미드의 정점에서 이윤의 최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자본주의 기업의 목표임을 생각한다면, 경제적 해자를 구축한 기업은 자신의 영역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는 기업임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아마도 이들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성공적인 투자방법 중 하나임은 분명해 보인다. 그렇지만, 유일한 성공투자 방법일까. 경제적 해자에 대한 긍정적인 부분은 본문을 통해서도 충분히 언급되고 있으니 이번 리뷰에서는 경제적 해자를 조금 다르게 보려 한다.

저자 팻 도시는 경제적 해자의 조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이라 여겨지는 우수한 제품, 규모, 뛰어난 실행력, 우수한 경영진 등은 경제적 해자의 조건이 되지 못한다고 단적으로 말한다. 여기서 잠시 생각해보자.

구조적 경쟁 우위의 네 가지 원천은 무형 자산, 전환 비용, 네트워크 효과, 그리고 원가 우위이다. 투자수익률이 높고 이와 같은 특징 중 하나가 있는 회사는 해자가 있는 회사일 가능성이 높다. _ 팻 도시, <경제적 해자>, p49

현명한 경영진은 우수한 회사를 위대한 회사로 만들 수 있으며, 나 또한 얼간이들이 경영하는 회사보다는 현명하게 자본을 배정하는 기업의 주식을 소유하고 싶다. 그러나 기업의 구조적 특성보다 경영진의 결정이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_ 팻 도시, <경제적 해자>, p185

특허권, 브랜드 등 무형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높은 고정비와 낮은 변동비가 지출되는 사업이어서 추가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사업은 이미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나 쇠퇴기에 있는 기업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이미 사회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표준화된 상태에서 차별점을 찾는다면 원가 경쟁밖에 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런 면에서 펫 도시가 말한 '경제적 해자'의 조건은 지극히 안정적인 시장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성장기 이전 시장에서 경제적 해자를 구축한다는 것은 자신만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품 등의 구매층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별화를 노린다는 것이고, 그것은 겨우 몇 달 지탱할 정도의 식량과 물을 비축한 채 해자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다리를 들어올려 자신을 주위로부터 고립시키는 행태와 무엇이 다를까.

한 가지 기억해야 할 사실은 새로운 기술 변화에 의해 힘을 얻은 기업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자신이 기술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겠지만, (하나의 산업 전체의 경제를 구조적으로 파괴하는) 파괴적 기술은 기술을 판매하는 사업보다 그 기술 변화에 의해 힘을 얻은 사업의 해자를 더욱 크게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_ 팻 도시, <경제적 해자>, p151

그런 면에서 이상적인 경제적 해자의 조건 - 깊고 충분한 해자 - 는 더 이상 혁신이 개입할 여지가 없는 시장에서만 구축이 가능하다 여겨진다. 충분한 무형자산을 갖추고 경쟁기업이 없는 상태에서 자사 제품을 지속적으로 구매하겠다는 충성고객이 확보될 수 있다면 기업은 안정적으로 존속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 안정은 영속적인 것이 아니다. 빠른 기술과 사회 변화의 흐름 속에서 예상치 못한 순간 그 해자는 바닥을 드러내거나 높은 진입장벽으로 오히려 자신을 고립시킬 수도 있을 것이며, 경쟁기업이 없다는 것은 더 이상 그 시장이 매력적이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 기업 자신은 경제적 해자를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어쩌면 그 해자가 기업을 세상으로부터 고립시킬 수도 있지 않을까. 이런 점은 <경제적 해자>에서 지적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생각한다면 우리는 해자를 갖춘 기업 대신 경제적 해자를 메울 수 있는,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기업에 오히려 우리는 더 주목해야 하지 않을까.

스티브 잡스(Steven Paul Jobs, 1955~2011)의 아이폰이 가져온 생활의 변화가 얼마나 많은 기업들의 경제적 해자를 메워버리고 인류의 생활양식을 바꿔버렸는지는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크고 작은 독립된 해자들을 애플 생태계로 묶어버리고 해자 대신 거대한 바다를 만들어 버린 현실 속에서 우리의 시선은 어디로 향해야 할 것인가. 물론, 신기술이라는 명목으로 과대평가된 기업에 무조건 열광하는 태도는 분명 문제다. 광기(狂氣)에 몰린 열풍이 하루아침에 패닉(panic)으로 바뀌는 주식시장의 혼란을 보면 이런 점은 더 분명해진다. 그렇지만 외부와 단절된 폐쇄계에서 소왕(小王)으로 군림하는 기업보다 개방계에서 외부와 적극적으로 연계된 기업에서 투자의 미래를 찾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저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갖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 스파이 기구를 둘러싼 에피소드의 배경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정치적 긴장감, 중국과 러시아의 긴밀한 관계,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이 깔려 있다. 필요한 건 언론의 대대적인 보도를 통해 공포를 촉발시킬 단 하나의 사건이었다. 그리고 몬태나주 상공에서 기구가 발견되고 격추되기까지 며칠간 이를추적하면서 모든 조건이 갖춰졌다.  - P178

 돌연변이는 생물 다양성의 원천이다. 우연히유전체 어딘가에 일어난 작은 돌연변이의 누적이 식물마다 독특한물질 합성을 가능하게 만든다. 물론 돌연변이가 효소의 기능에 아 ㅅ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아예 어떠한 기능도 하지 못하도록만들 가능성도 있다. - P205

우리는 아직 ‘금지된 세계‘를 만들지는 못했지만 그 기초는 다졌다고 할 수 있다. 인공지능의 힘은 아주 우려할 만하다. 양자컴퓨터의 등장으로 인공지능은 이제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의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지만, 그 존재는 여전히 오류를 쉽게 범하는 인간에게 빚을 질 것이다. 인공지능은 자신의 형상을 본 따 피조물을 만들겠다는 창조주의 오만함에 시달릴 것이다. - P230

영화에서 묘사된 좀비들은 감정 없이 살인을 저지르고 총알도 그들을 막을 수 없을 정도로 강인하다. 하지만 진정한 공포는꼭두각시처럼 자유의지가 사라진 좀비의 모습이다. 자신을 살해한남성의 즐거움을 위해 눈도 깜박하지 않는 좀비 신부가 마치 로봇처럼 피아노를 연주하는 장면은 소름을 돋게 한다. - P2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명 어떤 것은 살아남고 어떤 것은 사라질 것이다. 우리 인간은 그 기나긴 진화의 ‘결과‘로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지만 결코 우리 스스로 진화의 ‘원인‘이 되려고 해서는 안 된다. 여기까지 이해했다면 이제 다윈이 했던 당연한 말의 의미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살아남는 자가 살아남는다.  - P120

여기에 더해 《이기적 유전자>가 가정하는 자연선택과 유전자의 완결성에 반하는 증거들이 1970년부터 충분히 축적되었다. 인간 게놈프로젝트 덕분에 인간 염기 서열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했음에도 특정한 기능을 한다고 밝혀진 유전자는 얼마 되지 않는다. 더불어 유전자 발현이 환경과 발달에 큰 영향을 받는 사실 역시 드러났다. - P126

우주발사체는 중력을 이겨내고 우주로 나가기 위해서 보통여러 개의 단으로 구성되는데, 최상단이 목표 지점에 도달하고 나서는 원하는 만큼 속도를 감속하고 위성을 임무 궤도에 살짝 올려둘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주발사체의 최상단은 액체 발사체가 되어야만 한다. 마지막 순간에는 위성체의 궤도 투입 속도를 위해서 미세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액체 발사체는 중간에점화, 재점화가 가능하고, 점화 후 추력 조절이 가능하다. 누리호는액체 연료 발사체이다. 이렇게 고체 발사체와 액체 발사체는 장단점이 분명하다.  - P1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릇 군주와 신하는 피붙이와 같은 친분이 있는 사이가 아니므로 정직한 방법으로 편안함을 얻을 수 있다면 신하는 힘을 다해 군주를 섬긴다. 그러나 정직한 방법으로 안락함을 얻을 수 없다면 신하는 사사로움을 추구해 군주에게 발탁되기를 구할 것이다. 현명한 군주는 이를 알고 있어 이롭거나 해로운 이치를 설정하여 천하에 제시할 뿐이다. 무릇 이 때문에 군주가 비록 [자신의] 입으로 많은 관리들을 가르치지 않고 [자신의] 눈으로 간사한 자를 찾아내지 않아도 나라는 잘 다스려진다.

어리석은 자는 본래 다스려지기를 바라면서도 그 다스리는 방법을 싫어하고, 모두 위태로워지는 것은 싫어하면서도 그 위태롭게 되는 방법을 좋아한다. 무엇으로써 이를 아는가? 무릇 형벌을 엄하고 무겁게 하는 것은 백성들이 싫어하는 바이지만 나라가 다스려지는 까닭이며, 백성을 가엾게 여겨 형벌을 가볍게 하는 것은 백성들이 좋아하는 바이지만 나라가 위험해지는 까닭이다.

나라가 흥할 것인가 망할 것인가 하는 관건은 반드시 그 나라가 잘 다스리는 것과 혼란스러운 것, 부강함과 쇠약함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었는가에 달려 있다.

법도가 세워지는 것은 군주의 보배이며 패거리를 갖추는 것은 신하의 보배가 된다. 신하가 그 군주를 시해하지 못하는 것은 패거리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군주는 한 치라도 잘못하게 되면 신하는 그 갑절의 이득을 얻게 될 것이다. 나라를 갖고 있는 군주는 그 신하의 도읍을 크게 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흄의 <인간 오성에 관한 탐구> 입문 컨티뉴엄 리더스 가이드
A. 베일리 외 지음, 이준호 외 옮김 / 서광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것은 (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축약이다. 흄은 독단적이지 않다. 즉 원인이 되는 능력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런 것이 있다고 믿은 이유는 없다. 즉 있을 수 있는 이유라고는 선험적이거나 경험적인 것이 전부인데, 흄은 이런 이유가 모두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우리가 앞으로 알 수 있는 유일한 인과관계는 항상적 결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상력 때문에 우리는 세계의 인과적 구조에 관해 정당화되지 않는 신념을 갖게 된다. _ A. 베일리, D. 오브리언, <흄의 인간 오성에 관한 탐구 입문>, p132

A. 베일리 (Alan Bailey)와 D. 오브리언(Dan O'Brien)의 <흄의 인간 오성에 관한 탐구 입문>(Hume's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에서 저자들은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 대한 소개와 함께 <탐구>에 대한 큰 흐름을 짚는다. 본문에는 도덕과 종교 등 <탐구>에 대한 주요 내용에 대한 해석도 함께 다루어지지만, 입문서의 특성 상 흄 사상에 있어 큰 줄기만 잡고 상세 내용은 원문을 통해 정리해도 좋을 듯 싶다.

관념이 거의 변함없이 대응 인상에서 유래된다면, (예외적인) 특정 관념은 대응 인상이 없더라도 존재할 수 있다고 인정하더라도, 대응 인상이 없다면 그 인상의 관념도 있을 가망성은 거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 이것은 흄 자신이 줄곧 인정한 태도라는 것이 중요하다. _ A. 베일리, D. 오브리언, <흄의 인간 오성에 관한 탐구 입문>, p72

<흄의 인간 오성에 관한 탐구 입문>에서 보여지는 흄 사상의 가장 큰 특성은 '양립가능론'이다. 경험주의자인 흄에게 모든 관념은 감각의 결과물에 불과하다. 동물을 포함한 개체가 경험하는 결과는 축적되어 예측을 가능하게 하며, 경험의 빈도와 강도 등은 생겨나는 관념에도 영향을 미쳐, 어떤 관념은 신념으로 변화될 수 있다. 경험이 만들어 내는 관념. 이는 도덕과 종교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흄이 신념과 인상을 모두 생생하고 힘찬 관념이라고 하는 것은 직접 관찰되지 않는 사실에 관해 우리가 형성하는 신념과 인상이 강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밝히려고 진력하는 것이다. 인과추론의 결과로 발생하는 신념의 경우에 분명히 이것은 흄이 열정적으로 채택한 접근법이다... 인상의 힘과 생동성은 연합된 관념으로 곧장 전달된다. 이것은 그 관념을 생생하게 만들며, 그 관념을 한낱 관념에서 신념으로 변형시킨다. _ A. 베일리, D. 오브리언, <흄의 인간 오성에 관한 탐구 입문>, p101

개인적으로 '경험에 의해 관념이 형성된다'는 흄의 명제가 인상깊게 다가온다. 마음에 떠오르는 명석하고 판명한 관념이라는 본유관념(innate idea)과는 달리 경험의 소산이라는 프로세스는 top-down과 bottom-up의 방식처럼 차이가 있지만, 단순한 차이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본유관념으로부터 도출되는 여러 관념들은 마치 포지티브 리스트(positive list) 방식과 같이 본유관념의 속성과 연관되어 확장되기에, 본유관념과 관계가 없거나 본유관념을 거스르는 관념에 대해서는 변신론(辯神論)과 같은 별도의 논의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경험으로부터 도출된 관념에서는 네거티브 리스트(negative list) 방식처럼 보다 폭넓은 논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다 간결한 논의를 가능케 한다. 이러한 차이가 대륙의 합리론에서 신(Theos)을 제1원인으로 위치시킨 반면, 흄의 사상에서는 오컴의 면도날(Ockham's Razor)로 이를 잘라낼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이처럼 절대관념을 가정하지 않고 논의가 진행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흄의 사상이 종교보다는 과학에 가깝고, 종교에 대해 비판적이라는 큰 틀을 잡고 그의 저작으로 들어가면 좋을 듯 싶다...

우리가 어떤 것에 대해 생각할 때, 우리는 그 관념 - 정신에 떠오른 심상(image) - 을 인지하며, 그와 같은 모든 관념은 감각 인상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추정은 '관련된 관념'(relative ideas)을 포함한다. 관련된 관념을 거쳐 우리는 직접 경험하지 못한 것들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즉 우리가 그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지 못하더라도 우리는 그것을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감각 인상에서 직접 비롯된 필수적 해당관념(the requisite non-relative ideas)이 없더라도 무엇을 생각할 수 있다. _ A. 베일리, D. 오브리언, <흄의 인간 오성에 관한 탐구 입문>, p129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3-11-05 16: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에 칸트보다 흄이 더 유명해지길 기원해 봅니다. ㅎㅎ

겨울호랑이 2023-11-05 20:50   좋아요 1 | URL
저 역시 확실히 흄은 그가 남긴 업적에 비해 과소평가된 사상가라 생각합니다. 조금 더 준비를 하고 여태껏 미뤄두었던 흄의 3부작 <논고>도 준비가 되는대로 읽어보려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