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C.H.베크 세계사 : 1750~1870 - 근대 세계로 가는 길 하버드-C.H.베크 세계사
세바스찬 콘라드.위르겐 오스터함멜 책임편집, 이진모.조행복 옮김 / 민음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는 무엇보다 발전은 역동적이며, 미래는 과거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암시하는 시간 개념이었다. 전반적으로 근대 세계에 대한 생각은 새로운 시간 경험과 밀접하게 연결되었으며, 속도나 가속과 결부되었다. 증기선과 철도, 릭샤(인력거), 전신과 같은 기술의 발전은 도시의 일상생활에 이르는 모든 사회생활 영역이 새롭고 점점 더 빠르게 움직이도록 리듬을 부여했다. 이런 인상은 당시에 널리 퍼져 있었던 확신과 맞아떨어졌다. 즉 자기들이 지금 숨가쁘게 전개되는, 상상을 초월하는 광범위한 사회 변화를 겪고 있다는 확신과 맞아떨어졌다._세바스찬 콘라드, <하버드-C.H.베크 세계사 : 1750~1870>, p23/713

<하버드 -C.H 베크 세계사 : 1750~1870>은 시리즈 전체에서도 전환점에 해당하는 시기를 다룬다. 이전 시기(1350 ~ 1750)를 다룬 전편이 지역사들의 종합이었다면, ‘하나로 연결되는 세계‘라는 부제를 갖는 다음 시기(1870 ~ 1945)에서는 하나로 통합되는 세계사가 서술된다. 지역사에서 진정한 의미에서 세계사로. 그러한 전환이 이 시대에 일어나며, 시대정신은 ‘근대 近代‘다.

책에서는 ‘근대‘를 ‘빠르게 변화하는 시간‘ 개념으로 정의한다. 과거와 비교할 수 없는 빠른 시간의 변화 속에서 당대를 살았던 이들은 ‘광속 光速‘으로 진보하는 인간 이성 理性을 신뢰했으며, 빛의 속도로 일어나는 진보 속에서 공간은 하나로 통합되었다. 아직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의 시대는 오지 않았으나, 세계사는 시공간(Space- Time)이 하나임을 이미 입증하고 있었다... 이 시기 지역사에서 세계사로의 구체적 변화에 대해서는 리뷰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 특강 - 시간과 경계를 넘는 역사 여행
캔디스 고처 외 지음, 황보영조 옮김 / 삼천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사시대의 이주가 만들어 낸 가장 중요한 결과는 지구의 식민화이다._케디스 고처 외, <세계사 특강>, p24

캔디스 고처(Candice Goucher), 린다 월튼(Linda A. Walton)의 <세계사 특강 World History - 시간과 경계를 넘는 역사 여행>는 오늘날 우리 삶과 밀접한 주제의 과거와 오늘을 보여주는 입문서다. 주제별/지역별로 주제의 의미를 꿰는 구조로 되어 있는 이 책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경계 넘기 - 경계 만들기‘가 될 듯 하다.

육지 대부분이 연결되었던 선사시대 인류의 이주로부터 시작된 ‘경계 넘기‘는 농업혁명으로 정착생활을 하게 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는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많은 불평등 기원을 이 시기로부터 찾을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이제는 ‘경계 만들기‘로 넘어가게 된다. 경계가 만들어지면서, 여러 형태의 불평등이 생겨나지만, 이러한 불평등이 세계적인 양상을 띄기 위해서는 다른 한 편의 ‘경계 넘기‘가 필요했다. 산업혁명 이후 제국주의, 자본주의 침탈이 그것이다.

광범한 분포를 보인 수렵채취인과 농목업에 종사하던 이들의 후손은 집약적이고 새로운 식량 생산 방법을 모색해야 했다. 정착 농업 사회가 등장한 곳은 어디나 인구 증가와 환경 압박, 기술혁신이 나타났다. 이런 변화는 신석기 혁명이라고 부를 만큼 인류 역사를 놓고 볼 때 엄청난 사건이었지만 갑작스런 것도 아니었고 집중적인 것도 아니었다. ‘혁명‘은 수천 년에 걸쳐 일어났고 세계 곳곳에서 독립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지역 환경의 성격에 좌우되었다._케디스 고처 외, <세계사 특강>, p65

이로써 세계는 공동의 문제를 안게 되었고, 현대 문명의 문제는 인류 전체의 문제가 되었다. 문제점을 공유하면서 세계가 하나라는 사실이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 되버린 오늘날 우리의 위치를 <세계사 특강>은 알기 쉽게 보여준다. 이런 점을 고려했을 때, <세계사 특강>은 다소 교과서와 같은 딱딱한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좋은 입문서라 여겨진다...

제국주의가 서로 다른 문화들을 정치 경제적인 단일 체제로 꿰는 데 성공하고, 자본주의가 그 촉수를 전 세계로 뻗치면서 지구촌의 전혀 다른 지역들이 공동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프란츠 파농이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의 정체성이라고 일컬은 이 정체성은 모든 형태의 억압과 불법을 종식시키기 위한 공동 결정의 시작이기도 하다._케디스 고처 외, <세계사 특강>, p3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의 계몽사상은 자연을, 문명을 통해 이용하고 관리하며 개발해야 할 힘으로 보았다. 자연에 대한 이러한 태도가 19세기 제국주의의 팽창과 마주쳤다. 자연을 정복한다는 철학적 개념이 점차 비서유럽 사회의 모델이자 귀감이 되고 전 세계가 이런 생각을 수용하게 되면서 20세기 말 인류는 생태 재앙의 문턱에 놓이게 되었다. 생태제국주의가 식민 열강의 정치적 목적과 뒤엉켰다. 예를 들어 영국의 지배는1815년부터 1914년까지 히말라야산맥 서부의 숲을 개발하고 파괴하면서 매우 정교한 식민지 산림업을 만들어 냈다. 열강들이 식민지 주민들을 정복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연의 식민화도 불가피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 P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트로폴리스 - 인간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 도시의 역사로 보는 인류문명사
벤 윌슨 지음, 박수철 옮김, 박진빈 감수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명히 우리는 도시에 훌륭한 하수도 시설이 있기를 바라고, 매춘부들의 수가 줄어들기를 바란다. 그러나 위생처리된 도시는 전기 불꽃이 일어나지 않는 도시다. 한 도시의 모순과 대립적 요소와 상스러움은 그 도시에 강렬한 자극과 맥동하는 에너지를 선사한다. 도시에는 위생처리가 필요한 만큼 오물도 필요하다. 도덕적 기준이 낮은 곳, 저열한 퇴폐업소가 있는 곳, 매력과 재력을 갖춘 곳. 이것은 대도시에 에너지를 불어넣는, 대도시의 상반되고 불온한 성격이다. 도시는 유토피아인 동시에 디스토피아이다._ 벤 윌슨, <메트로폴리스> 中

유토피아이자 동시에 디스토피아. 벤 윌슨(Ben Wilson)은 <메트로폴리스 Metropolis>에서 묘사한 도시의 양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고대 비옥한 초승달 지역(Fertile Crescent)으로 불렸던 메소포타미아 일대는 오늘날과는 달리 풍요로운 지역이었지만, 동시에 위험한 지역이기도 했다. 이 지역의 "High Risk-High Return"은 많은 이들을 끌어들리는 동력이 되었고, 그 결과 이들 지역은 번성하기에 이른다. 몰려드는 사람들로 인해 사회는 한층 더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는 점이 현대 도시의 유토피아적 기원이라면, 분업(分業)과 사회 계급화의 시작은 디스토피아의 기원이기도 하다. 이렇게 사람들은 도시를 만들어왔다.

사막과 바다 사이에 위치한 습지대는 질서와 혼돈,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곳을 상징했다. 삼각주는 적대적 환경 한가운데 위치한 오아시스와도 같이 놀랍도록 풍족한 자원을 지니고 있었고 그로 인해 사람들은 그곳이 신이 천지를 창조한 가장 신성한 장소라는 믿음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삼각주가 선사하는 풍요로움에도 불구하고, 그곳은 살기에 위험한 장소였다.._ 벤 윌슨, <메트로폴리스> 中
.
우루크가 점점 성장하고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금세공인, 건축가, 예술가, 도공 같은 사람들도 마찬가지의 길을 걸었을 것이다. 식량의 의례적 분배에 뿌리를 둔 그 도시에서는 어떤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더 많은 자격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 분명해졌다. 우루크는 각자의 부와 기능과 권력에 따라 등급이 정해지는, 계층 사회가 되었다. 이는 인류사에서 엿볼 수 있는 도시화의 어두운 면이다. 서로 합의한 공동의 과업으로 출발했을 법한 것이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매우 불평등한 사회로 변질되었다._ 벤 윌슨, <메트로폴리스> 中

도시는 서로 다른 힘들이 충돌하는 곳이다. 수직 고층 건물들로 표현되는 수직의 힘이 신분 상승, 속도 등 현대성을 상징한다면, 도시 밖 교외로 확장되는 수평의 힘은 같은 신분, 여유로움을 표현한다. 도시는 이 같은 힘들이 만나는 곳이다. 그리고, 이렇게 충돌하는 힘들은 사람들을 만들어갔다.

그것은 자동차의 시대에 어울리는 도시적 이상향이자 르 코르뷔지에가 예견하고 권장한 도시다. 그는 "속도를 위해 만들어진 도시는 성공을 위해 만들어진 도시다"라고 썼다. 그가 볼 때, 전통적인 도시의 거리는 '비기능적이고, 진부하고, 역겨운 유물'이었다. 현대적 생활은 속도에 그리고 질서와 일관성을 갖춘 도시의 기하학적 요소에 좌우되었다. 르 코르뷔지에는 마천루를 사랑했다. 하지만 그는 업무와 거주가 모두 가능하며, 일정한 형태를 갖고 있고, 고가 간선도로 이어지는, 공원 같은 환경 속에 띄엄띄엄 서있는 거대한 고층건물을 원했다._ 벤 윌슨, <메트로폴리스> 中

오늘날, 우리는 도시 세계에서의 생활에 대해 얘기한다. 그러나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도시 세계란 도시 팽창 현상의 결과물인 교외 세계를 의미한다... 영국인과 미국인들은 되도록 빨리 도시에서 벗어나 변두리의 농촌으로 떠나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러면 경제적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했다. 교외에서 통근할 여유가 있는 사람들만 도시의 인구과밀과 질병, 공해와 범죄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기차와 노면 전차의 활약에 힘입어 부자들을 위한 그림같이 아름답고 고급스러운 교외가 도시 변두리에 조성되었다._ 벤 윌슨, <메트로폴리스> 中

벤 윌슨의 <메트로폴리스> 안에는 이 같이 사람과 함께 한 살아있는 도시의 역사가 보다 생생하게 그려진다. 사람들이 모여 만들어 낸 도시, 도시가 만들어 내는 사람들. 사람의 수직과 수평의 욕망이 도시를 만들어냈다면, 두 힘이 조각한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는 누군가에게는 희망을, 누군가에게는 절망을 안겨준다. 저자가 어떻게 도시 이야기를 그려내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각자의 몫으로 돌리기로 하고, 나름 책의 결론이라 생각되는 부분을 마지막으로 리뷰를 갈무리한다...

도시화를 촉진한 힘이 20세기에는 쇳가루를 흩어버리는 원심성을 띠고 있었다면 21세기에 쇳가루를 끌어당기는 강력한 구심성을 띠고 있다고 볼 수 있다._ 벤 윌슨, <메트로폴리스> 中

댓글(7)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21-03-31 20:0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밀리에서 호랑이님 발견했습니다 ㅎㅎㅎ

오거서 2021-03-31 20:14   좋아요 1 | URL
밀리에서 syo님을 발견할 수 있겠군요 ㅋㅋㅋ

겨울호랑이 2021-03-31 20:41   좋아요 2 | URL
이런, syo 님 시력이 좋으시네요 . 이럴 줄 알았으면, 여름호랑이로 할 걸 딱 걸렸습니다 ㅋㅋ

북다이제스터 2021-03-31 20: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밀리의서제 말씀인가요?
그곳 오디오북 빌려주는 곳 아닌가요?
겨울호랑이 님께서 어떤 활약 중이신지요?^^

겨울호랑이 2021-03-31 21:00   좋아요 1 | URL
^^:) 활약이라고 할 건 없고, 혼자 조용히 신간을 다운로드하며 공유경제의 기쁨을 누리는 중입니다 ㅋㅋ

바람돌이 2021-03-31 22:0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헉 다 읽으셨어요? 빠름 빠름 ㅎㅎ
전 지금 반쯤 읽었는데 생각만큼 진도가 팍팍 나가지는 않네요. ^^

겨울호랑이 2021-03-31 22:09   좋아요 1 | URL
제가 좀 대충대충 읽는 편이라 페이지가 빠르게 넘어간 듯 합니다. ^^:)
 

분명히 우리는 도시에 훌륭한 하수도 시설이 있기를 바라고, 매춘부들의 수가 줄어들기를 바란다. 그러나 위생처리된 도시는 전기 불꽃이 일어나지 않는 도시다. 한 도시의 모순과 대립적 요소와 상스러움은 그 도시에 강렬한 자극과 맥동하는 에너지를 선사한다. 도시에는 위생처리가 필요한 만큼 오물도 필요하다. 도덕적 기준이 낮은 곳, 저열한 퇴폐업소가 있는 곳, 매력과 재력을 갖춘 곳.
이것은 대도시에 에너지를 불어넣는, 대도시의 상반되고 불온한 성격이다. 도시는 유토피아인 동시에 디스토피아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마스 2021-03-24 18: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읽고 싶은 책이었는데 재밌는 부분을 발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겨울호랑이 2021-03-24 19:30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토마스님. <메트로폴리스>는 도시의 역사를 통해 여러 가지 면을 보여주는 재밌는 책이라 생각됩니다. 즐거운 독서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