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를어째.. 껌이 붙었네.. 그럼 설탕을!
옷이나 카페트에 껌이 묻어 잘 떨어지지 않을 때는 흰 설탕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네요..
껌 묻은 부분에 설탕을 한스푼 놓고 비비면 깨끗해지며, 오래되어 굳어버린 껌은 설탕을 놓고 그 위에 뜨거운 물을 조금 붓고 비벼 주세요~~!
 
◎ 피로회복에 좋은 설탕..
피로는 혈액에 필요한 당분의 농도가 극도로 떨어진 상태를 말하는데요.. 피로회복을 위해서는 섭취 후 혈당으로 전환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일반 탄수화물 식품보다는 짧은 시간에 혈당으로 전환되는 설탕의 섭취가 더 좋답니다..
 
◎ 추억속의 먹거리.. "뽑기"
엄마몰래 국자에 설탕과 탄산수소나트륨을 넣고 불에 녹여 혀가 데도록 먹다가 국자 태워서 야단맞던 기억 있으신지요..? 잊혀졌던 추억을 오늘 한번 되살려 보는 것은 어떨는지..^^
 
◎ 설탕의 색깔이 하얀 이유..
설탕의 주성분은 자당(sucrose)이라는 순백색의 달콤한 결정체입니다.. 색깔이 하얀 것은 정제할 때 사용하는 활성탄이 원료당의 불순물을 걸러 내면서 색소도 함께 뽑아 버리 때문이라네요.. 따라서 순수한 설탕은 본래 백색이랍니다..
 
◎ 설탕이 유통기한이 있나..?
설탕은 깨끗하고 청결한 곳에 보관만 잘한다면 품질의 변화는 전혀 없다고 하네요..
단 설탕이 덩어리지는 현상은 화학적인 변화가 아닌 단순한 물리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약간의 충격을 가하거나 따뜻한 곳에 두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답니다..
 
◎ 설탕의 보관방법..
설탕은 다른 냄새를 잘 흡수하기 때문에 생선, 비누, 화장품, 된장, 페인트 등 냄새가 강한 물건옆에 두면 냄새가 옮겨져 좋지 않은 냄새가 설탕에서 날 수도 있다고 하네요…
따라서, 그런곳은 피하고 공기가 통하지 않는 밀봉된 용기에 넣어서 서늘한 곳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 백설탕과 갈색설탕은 무슨 차이..?
백설탕은 설탕의 정제과정에서 처음에 생산된 것이고, 다음 단계에서 생산되는 갈색설탕은 공정의 반복과정 중 열이 가해져서 설탕에 색깔이 생긴 것인데, 백설탕이나 갈색설탕은 모두 원료당을 정제한 설탕이므로 영양학적으로 큰 차이는 없다고 하네요..
 
◎ 우리 설탕 소비량은 어느정도..?
유엔산하 국제사탕기구(International Sugar Organization)에서 발간한 통계연감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연간 1인당 설탕 소비량은 약 19kg으로 세계 155개국 중 108번째에 해당하는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하네요..

 

◎ 흑설탕이 백설탕보다 좋다고??

흑설탕이 백설탕보다 몸에 좋은가?
흑설탕이 백설탕보다 몸에 좋다는 말은 전혀 근거가 없다. 설탕은 천연원료인 원당을 정제해 만드는데, 찌꺼기나 이물질을 제거해 가장 깨끗하게 정제한 것이 백설탕이다. 흑설탕이나 황백당은 상대적으로 백설탕보다 정제가 덜 돼 일종의 '불순물'이 남아 있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흑설탕에는 원당 고유의 성분중에 미네랄이나 기타 미량 성분이 일부 남아 있는 경우도 있지만, 건강에 도움을 줄 정도는 아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완성 2004-07-25 0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정님...!!
부러워요오....!!!!

꼬마요정 2004-07-25 0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뭐가요? 전 설탕이 아니어요~~~^^
 


 

카페 제뇨

재료 : 강하게 볶은 진한 커피 70cc, 그리뉼당 작은술 3

방법 : 소형컵에 그리뉼당과 커피를 넣는다.


브라질 커피 추출법 :

① 냄비에 물을 끓인다.

② 설탕을 넣는다.

③ 커피분말을 넣는다.

④ 불을 끄고 여과천으로 거른다.

※ 대표적인 브라질커피이다. 커피는 단번에 마시는데 이같은 습관은 아라비아에서 전해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커피의 성분에 대해서도 알고 싶은데요 ?

 

커피 원두는 일반 다른 씨앗과 거의 비슷한 성분조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 중 특이한 성분으로서

 

는 카페인과 볶는 과정 중에 생성되는 좋은 방향성분입니다. 이 커피의 성분은 품종, 숙성도, 가공

 

처리과정에서 크게 차이가 있으며, 절대적인 수치를 낼 수는 없지만, 커피 성분은 일반적으로 환원

 

당(1~2%), 카라멜당(17~24%), 헤이셀룰로오스(15%), 섬유(22%), 지방(15%), 조단백질(12~13%), 회분

 

(4%), 크로로제난산(4.5%), 카페인산(0.5%), 키닌산(0.5%), 수산/사과산/구연산/주석산(1.0%), 휘발

 

산(0.35%), 트리코낼린(1.0%), 카페인(1.2%), 페놀성물질(2.0%), 탄산가스(2.0%), 향기성분(0.04%)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njoy Your Coffee
 

                                          How to make a cup of good coffee...

 

 

  • 가장 먼저 ! 알기 쉬운 추출 원리

 


커피 추출은 분쇄 커피에서 엑기스 성분을 녹여 내는 과정을 말합니다. 올바른 추출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됩니다. 첫째, 볶은 커피(배전두)가 지닌 좋은 맛을 순수한 그대로 액체화하는 일. 둘째, 커피 맛과 향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일.  셋째, 보다 순도 높은 커피 액체를 뽑는 일. 또한 추가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때는 ① 분쇄 커피의 양, ② 뜨거운 물의 양, ③ 물 붓는 횟수 ④ 부을 때 마다의 물의 양, ⑤ 접촉 온도 ⑥ 추출 시간을 고려하여 뽑아야 합니다.  
침지법은 분쇄 커피를 일정 시간 뜨거운 물에 담가 추출하는 방법으로 싸이폰, 프렌치 프레스(프런저 포트), 퍼콜레이터, 이블릭 등의 경우입니다. 투과법은 분쇄 커피 층에 뜨거운 물을 투과(통과)시켜 여과 추출하는 방법으로 종이 필터식 여과기, 프란넬 식, 에스프레소(모카 포트 포함), 전기 커피 머신 등이 이 경우입니다.

 

  • 하나 더! 추출 온도와 분쇄

 

추출온도...우리가 보통 커피볶는집에서 살 수 있는 일반적인 커피는 대체로 하이 로스트에서 시티 로스트 정도입니다. 이 정도로 볶아진 커피를 뽑기에 적당한 물의 온도는 대략 98℃∼95℃라고 합니다. 팔팔 끓은 물에서 한숨 잦은 온도 정도가 됩니다. 이 온도의 물이 커피에 닿으면, 커피 추출 최적 온도인 96℃∼92℃가 되어 커피가 뽑힌다고 합니다. 즉 이 온도의 활성화 되어있는 물의 분자가, 커피 입자들을 불려서 수용성 성분(향미 성분)을 쉽게 우려내게 됩니다. 시티나 풀시티 로스트(중강 배전)의 스페셜티 커피인 경우에는 94℃ 정도의 물이 적당하겠지요.


분쇄정도...커피 추출(뽑기) 기구들은 그 방식과 원리에 따라서 제각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커피가 같고, 볶은 정도가 같아도 분쇄 굵기에 따라, 뽑는 시간이 달라지고 맛도 달라 집니다. 따라서 커피 기구가 어느 정도의 시간에 맞춰 커피를 뽑도록 만들어 졌는가를 살펴보고 그에 맞춰 분쇄해야 합니다.

 

에스프레소

가루같이 아주 곱게(fine ground)

수동식 드립퍼

중간보다 약간 가늘게

싸이폰

중간 굵기(regular ground)

자동식 커피 메이커

중간 굵기

프렌치 프레스

중간보다 약간 굵게

퍼콜레이터

아주 굵게(coarse groun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주일 쯤 전, 사실 적립금에 혹해서 니브노에 나의 리뷰들을 왕창 올린 적이 있다. 막내동생에게 줄 책을 사려니 그 책들이 한 권당 4,250원이니 두 권이면 8,500원. 그 정도는 리뷰적립금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아서였다. 안 그래도 요즘 책 산다고 카드를 너무 긁은 까닭에 리뷰 한 편당 500원을 준다는 그 곳에 리뷰를 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장장 20편의 리뷰를 올렸는데...나에게 돌아온 적립금은 딱 8,500원. 한 권은 등록대기로 일주일 있었고, 두 권은 등록불가..란다. 도대체 왜?

일단 8,500원으로 책 두 권을 주문했다. 배송료가 있단다. 그래서 배송료 2,000원은 자비로 냈다. 세상에. 아직도 배송료가 있는 인터넷 서점이 있었다니. 좀 놀랐다. 어쨌든 위의 일이 심히 기분 나빠서.. 등록대기는 이해할 수 있지만(서버 오류라던지..기타 등등의 이유가 있을 수 있으니), 등록불가는 엄청 기분 나빴다. 그것도 <아르미안의 네 딸들>과 <비천무>의 리뷰가 등록불가였으니, 엄청 열 받아서 문의를 해 보았다. 답변은..

<아르미안의 네딸들><비천무>와 같은 만화 리뷰는 다른 몰의 리뷰와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괄적인 내용은 만화카페의 등록기준안내 페이지를 참고하십시오.

http://www.libro.co.kr/comic/comic_free_info.asp

특히 위 두 개의 만화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시는 인기만화기 때문에 기존에 등록된 리뷰가 상당수 있습니다. 코믹몰의 경우, 기등록 리뷰가 많아지면 해당 도서의 등록 기준이 점점 더 강화되는 특성을 가집니다. 기등록 리뷰와 차별점을 가져야만 등록이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회원님의 리뷰가 기존 등록 리뷰와 큰 차이점이 없어 부득이하게 등록불가 조치를 취했습니다.

내가 책을 읽고, 나만의 느낌을 올린 거다. 솔직히 한 내용을 두고 비슷한 견해가 있는 건 당연하다. 그런데 '튀지 않는다'는 이유로 내 리뷰는 등록거부를 당했다. 그래서 그 책들의 다른 리뷰들을 봤다. 10편.. 10편이 상당수 있는 리뷰인가...알라딘에는 리뷰가 엄청 많던데..어떤 책은 100편도 넘는 리뷰가 있던데..게다가 알라딘에서는 한 분 한 분의 리뷰를 소중히 생각해주는 반면, 거기서는 내 리뷰를 한덩어리로 취급했다. 남들과 같은 내용의 한 덩어리...

기분 나빠서 돈을 얼마 주든 거기에는 더 이상 리뷰를 올리지 않을 생각이다. 하긴, 나의 처음 의도도 나빴으니 반성도 해야겠지만..아~ 또 화가 난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꼬마요정 2004-07-24 1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쵸?
화가 나서 당장 알라딘으로 달려왔답니다..흑흑..제가 있을 곳을 이 곳 알라딘 뿐이어요~~~!!

비로그인 2004-07-24 19: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흠...속상하셨겠네요. 알라딘이 따뜻한 공간이죠^^

2004-07-24 19: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물만두 2004-07-24 19: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래 거긴 그래요. 노하우를 알려드리죠. 만화, 잡지는 천원, 나머지는 오백원... 일단 만화를 노리세요. 리뷰수를 보고 많은 건 피하시구요. 가급적이면 리뷰가 올라와 있지 않은 것과 적은 것을 노리시면 됩니다. 처음엔 저도 많이 당했지만 니브노 쥑이기 작전으로 긁어내고 있습니다. 이래봐야 세발의 피겠지만요...

꼬마요정 2004-07-24 2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들... 경험이 있으시군요..저만 몰랐군요..^^;;
역시 알라디너분들이 젤 좋아요~~~!!^^*
글구 책울타리님은 다른 분의 코멘트에서 늘 뵈어서 그런지 잘 아는 사이 같은 기분..^^*
저두 인사를 했던가요? 흠..^^*

데메트리오스 2004-07-24 2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그런데... 기준만 따지면 리브로보다 더 한곳도 있어요... 반디북같은 경우는 리뷰를 왕창 올려도 절반 이상은 무시해버리는 경우도 있죠. 또 모닝365은 예고도 없이 두번 다시 리뷰를 못 올릴 수도 있거든요. 그래도 개성이 없다는 이유로 등록시키지 않은 것은 너무하네요. 너무 속상해 하지 마세요~~ 알라딘이 있잖아요^^

미완성 2004-07-24 2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정님도 결국은 당하셨군요....!
저도 정말, 살 수가 없어요. 그래서 니브노엔 이젠 아예 읽지도 않은 책을 가지고 리뷰써서 올리고 그래요 ㅠㅠ
배송비도 그렇고 리뷰정책도 그렇고 덩말 마음에 안들어요
역시 알라딘..! 알라딘밖에 없어욧욧 ㅠㅠ

꼬마요정 2004-07-25 0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세상에 인터넷 서점들..알라딘 빼곤 다 싫어할거에요~!! 알라딘이 최고얏!!^^*

starrysky 2004-07-25 0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슬픈 일을 겪으시다니, 원래 안 좋아하던 니브노지만 더더더 싫어지는군요.. ㅠㅠ
전 원체 게을러 리뷰를 잘 못 쓰기 때문에 알라딘에 올린 달랑 8편의 리뷰 말고는 다른 데 올린 게 없지만 님들 말씀 들으니 겁나서 앞으로도 절대 못 올리겠어요. ㅠ_ㅠ
'차별성 있는 리뷰'라는 정말 웃기지도 않으십니다. 게다가 배송료라니. 지네가 싸게 팔면 얼마나 싸게 판다고.. -_- 걔네 서점 본부도 저희 동네에 있는데 제가 함 뜰깝쇼??

꼬마요정 2004-07-25 0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타리님~ 감사합니다. 더운 여름 괜히 가셔셔 더 열받지 마시구, 그냥 에어컨 바람 빵빵하게 쐬시면서 공짜로 책 좀 보고 오셔요~~거기서 보고 알라딘에서 사는거죠~^^*
님께서 제 뒤에 있다고 생각하니 든든합니다.^^

물만두 2004-07-25 1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디북은 하루 한편만 올라갑니다. 많이 올려도 한편만 등록되는 시스템입니다.
모닝365는 어리버리하므로 따려야 합니다. 그러면 올려줍니다.

꼬마요정 2004-07-25 1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국 알라딘 만한 곳이 없다는 말씀...이시군요...
역시.. 에휴..리뷰가 얼마나 중요한데 그런식인지...한심합니다.^^;;

데메트리오스 2004-07-25 1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반적으로 교보, 인터파크, 알라딘이 괜찮은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최악은 모닝365...

꼬마요정 2004-07-25 18: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모닝365는 그래 스물넷을 그대로 따라했다던데요... 그래서 한 때 그래 스물넷이 막 화내고 그랬어요..^^
알라딘이 젤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