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사이드의 <지식인의 표상>(마티, 2012)을 읽다가 문득 어제오늘 펼쳐본 책들의 공통점이 눈에 띄기에 적는다. 다름아니라 강연록이라는 점. 오르한 파묵의 <소설과 소설가>(민음사, 2012), 그리고 뇌신경과학자 마이클 가자니가의 <뇌로부터의 자유>(추수밭, 2012)가 모두 같은 성격의 책이다.

 

 

사이드의 책은 <권력의 지성인>(창, 1996/2011)이란 제목으로 나온 적이 있는데(번역이 좋지 않았다), 이번에 에드워드 사이드 선집의 하나로 새로 번역돼 나왔다. 원래의 제목을 찾은 이 책은 영국 BBC방송의 리스강좌를 단행본으로 펴낸 것이다. 사이드는 1993년에 이 강좌를 맡아 진행했었다.

 

 

<지식인의 표상>이 제대로 번역됨으로써 사르트르의 <지식인을 위한 변명>(이학사, 2007)과 함께 대표적인 지식인론을 편하게 읽을 수 있게 됐다. 거기에 한권 더 얹자면 토니 주트의 <지식인의 책임>(오월의봄, 2012)도 유력한 후보다. 사이드는 존 캐리의 <지식인과 대중>(1993)이 강연 원고를 마친 이후에 읽은 흥미로운 저작이라고 평했지만 우리말로는 번역되지 않았다.  

 

 

 

파묵의 <소설과 소설가>는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의 소설론이라 흥미를 끄는 책인데, 하버드대학의 노턴 강좌에 초빙받아 강연한 원고를 모은 것이다. 원제는 '소박한 소설가와 성찰적 소설가'로 프리드리히 실러의 저명한 논문에서 제목을 따왔다. 국내에는 <소박문학과 감상문학>(인하대출판부, 1996)으로 번역돼 있는 논문이다.

 

 

 

파묵은 강좌를 준비하면서 두 권의 책을 참고했다고 하는데, 놀랍게도 너무 친숙한 책들이다. 포스터의 <소설의 이해>와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이어서 그렇다. 1952년생인 저자와는 세대 차이가 없는 거 아닌가 싶어 좀 신기했다. 쿤데라의 소설론을 읽을 때와는 또 다른 느낌이랄까(쿤데라는 1929년생이다).

 

 

가자니가의 <뇌로부터의 자유>는 저명한 기포드 강좌를 책으로 묶은 것이다. 프롤로그에서 저자가 밝히고 있지만 윌리엄 제임스, 닐스 보어,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 등이 이 강좌의 선배 강연자들이었다. 저자의 명망을 확인하게 해주는데, 세계적인 뇌과학자가 인간과 자유의 문제를 어떻게 보는지 경청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이 주제에 관한 책들이 여럿 나와 있어서 같이 비교해보며 읽을 수도 있겠다). 

 

'강연록'이란 형식 때문에(물론 책으로 낼 때 많이 보완되지만) 세 명의 저자를 같이 묶어 보았다. 주제로 묶는다면 '지식인-소설-뇌'가 될까. 어느 쪽을 고르든지 한동안 열독할 만한 책들이 나와 있어서 반갑다(나는 파묵의 소설도 이번에 잔뜩 구했다). 이 책들과 함께 10월은 시작된다...

 

12. 10. 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난주에 나온 책 가운데 <여성, 거세당하다>(텍스트, 2012) 덕분에 안면을 트게 된 저자가 '20세기 후반의 가장 중요한 페미니스트'로 소개되는 저메인 그리어이다. 저명한 셰익스피어 학자이기도 하다는 사실에 놀라 그녀가 쓴 셰익스피어 입문서를 <여성, 거세당하다> 원서와 같이 구입하기도 했다(<셰익스피어의 아내> 같은 책도 소개되면 좋겠다).

 

 

 

<여성, 거세당하다>(1970)는 저메인 그리어의 데뷔작이기도 한데, 국내엔 그보다 먼저 <보이>(새물결, 2004)란 책이 소개됐었다. 이번에 알게 돼 구입한 책인데(2004년에 나왔으니 내가 모를 만하다), '아름다운 소년'이 부제. 일종의 화집 성격의 책이다. 소개에 따르면 "19세기 이후 망각 속으로 사라져버린 '소년들'을 복권해내고 있는 책"으로 저자는 "여성의 벌거벗은 육체가 미의 이상으로 규범화된 것은 19세기 이후의 일일 뿐이라며, 동물의 세계에서 아름답게 치장하는 쪽은 수컷들이듯 자본주의 이전의 문화에서도 남성들이 더 아름다웠다고 말한다. 그리고 수많은 도판자료들을 통해 19세기 이전의 '소년들'을 불러낸다."

 

 

 

한편 <여성, 거세당하다>를 표지에서 구면의 이름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바로 <비치: 음탕한 계집>(황금가지, 2003)과 <프로작 네이션>(민음사, 2011)의 저자 엘리자베스 워첼이다. 책의 발문 중 하나를 워첼이 쓰고 있는데, 그녀는 이 선배 페미니스트의 책에 대해서 이렇게 평했다. "이 책이 내 삶을 바꿔놓았다. 저메인 그리어는 무모하리만큼 용감하며 예리하고 도발적이다."(This book changed my life. Germaine Greer is brave and crazy, serious and fun, sharp and sexy.) 워첼의 책은 2004년에 나온 게 신작인 걸 보면 활동이 뜸한 듯하다.

 

여하튼 두 사람이 <여성, 거세당하다>란 책을 통해 엮인다는 걸 알게 됐다. 1970년이면 42년 전에 나온 책인데, 어떤 의미가 있을까? 책에는 1991년판 저자의 서문이 맨앞에 붙어 있는데, 저메인 그리어도 이 문제를 먼저 언급한다. "20년 전 <여성, 거세당하다> 서문에서 나는 이 책이 금방 시대에 뒤처져 사라지리라 생각한다고 썼다. 나는 20세기 후반에 선진국에서 이뤄지고 있던 성 억압에 대한 내 분석과 전혀 무관한 새로운 유형의 여성이 지구에 나타나길 바랐다."

 

 

 

그런 서두라면, 그 다음엔 실제로 새로운 여성들이 많이 등장했지만 성에 대한 억압 또한 여전히 존속하고 있기에 이 책이 던지는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런 식의 애기를 자연스레 기대해볼 수 있다. 이 서문의 제목이 번역본에는 '팔라딘 출판사의 21세기 기념판 서문'이라고 돼 있는데, 오류이다. '21st Anniversary Edition'(21주년 기념판)에 붙인 서문이다. '21주년'을 '21세기'로 옮긴 건 나름대로 전략적 판단의 결과일지도 모르겠지만, 사실과는 무관하다. 사실 '21주년 기념판'이란 게 혼동을 낳을 만하다. 보통은 '20주년'처럼 10년 단위로 끊어지니까. 추정컨대, '20주년 기념판'을 내려고 준비했지만 좀 늦어졌던 게 아닌가 싶다.

 

 

 

<여성, 거세당하다>는 다른 책들에서 보통 <거세된 여성>이나 <거세된 여자>란 제목으로 번역됐는데, 찾아보니 크리스티아네 취른트의 <책>(들녘, 2003), 데보라 펠더의 <여성의 삶을 바꾼 책 50권>(부글북스, 2007) 등에서 언급된다. <게코스키의 독서편력>(뮤진트리, 2011)의 한 장도 <거세된 여자>에 할애돼 있는데, 저메인 그리어의 이런 말을 인용하고 있다. “해방 전략의 열쇠는 상황을 까발리는 데 있으며, 그렇게 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더할 나위 없이 뻔뻔한 말과 행동으로 학자와 전문가를 격분시키는 것이다.”

 

 

12. 08. 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리 말하자면 제목의 세 인명은 별다른 관련이 없다. 뜬금없이 세 사람이 호명된 건, 순전히 어제 입수한 세 권의 책 때문이다. 어제 정리한 책이 30권은 되지만 그중 좀 '얄팍한' 책 세 권이 <안철수를 읽는다>(한겨레출판, 2012), 존 버거의 <다른 방식으로 보기>(열화당, 2012), 그리고 <최재천 스타일>(명진출판, 2012)이었다. 손 가까이에 있길래 무릎에 올려놓고 간단한 소감을 적는다. 이건 '컬렉터'의 소감이다.

 

 

이 중 다 읽은 건 한겨레 정치부 기자들의 라운드 토크를 엮은 <안철수를 읽는다>이다. 정말 얇아서, 그리고 쉽게 읽히는 좌담이어서 오다가다 읽었다. 뒤통수를 내리치는 내용은 없지만, '안철수'와 '안철수 현상'에 대한 생각을 깔끔하게 정리해주는 책이다. 서문에서 좌장격인 성한용 선임기자가 정치부 기자를 프로야구 해설가에 비유한 대로, 이번 대선의 관전 포인트를 잘 짚어준다. 개인적으론 <안철수의 생각>(김영사, 2012)과 <안철수의 힘>(인물과사상사, 2012)을 구해놓고도 아직 완독하지 않았다. 그가 대선출마를 선언하면 본격적으로 읽어보려고 한다. 여하튼 이 세 권이 내가 갖고 있는 '안철수 3종 세트'다.

 

 

 

이어서 존 버거. <다른 방식으로 보기>는 '오래된 새책'이다. 내가 처음 산 책이 <이미지>(동문선, 1990)였고, 이어서 <영상커뮤니케이션과 사회>(나남, 1997)도 구했었다. <어떻게 볼 것인가>(현대미학사, 1995)도 같은 책을 옮긴 것인데, 이 또한 구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여하튼 이미 두어 종의 번역본을 갖고 있지만(물론 어디에 보관돼 있는지는 신만이 아신다) 이번에 나온 새 번역본도 아예 원서와 함께 구입했다. 저자가 생존해 있으니 이 열화당판이 앞으론 정본 역할을 할 거라고 생각해서다. 뜻밖에도 책에는 1926년생인 저자의 한국어판 서문이 붙어 있다. 우리의 버거샘이 이렇게 쓰셨다.(아래 사진은 40년 전의 존 버거.) 

 

나는 이 책을 사십 년 전에 썼습니다. 그러나 나는 아직도 이 책에 담긴 생각들을 믿고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들도 이 책을 새로운 한국어 번역본으로 볼 수 있게 되었음을 축하드립니다. 이와 함께 나는 여러분들께 일본 시인 고바야시 잇사가 두 세기 전에 쓴 하이쿠 한 편을 보냅니다. 그는 단 열한 단어로 다음과 같이 노래했습니다.

 

부자들을 위해
새 눈에 대해 너절한 글을 쓴다는 것은

예술이 아니다.

 

계속 싸워 나가시기 바랍니다!

 

 

 

이어서 '지적생활인'을 자임하는 최재천 교수의 <최재천 스타일>. 작년에 나온 <과학자의 서재>와 <통섭의 식탁>에 이어지는 '최재천 스타일' 종결편이라고 할까(요즘 싸이의 '강남 스타일'이란 노래 때문에 꽤 눈에 띄는 제목이 됐다. 욕심을 내자면 나도 '로쟈 스타일'이란 걸 한번 써보고 싶다). 여하튼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의 이런저런 생각과 라이프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자연과학, 특히 생물학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이 읽으면 좋을 듯싶은데, 저자가 직접 밝힌 '좋아하는 것' 목록에 '고등학교에서 하는 특강'도 포함돼 있다.('춤 또는 댄스 본능'도 좋아하는 것으로 꼽은 건 의외다. 자연과학자의 댄스본능이라!).

 

 

<다른 방식으로 보기>와 <최재천 스타일>은 아직 다 읽은 책이 아니다. 그래도 오며가며 조만간 다 읽게 될 듯싶다. 어렵잖은 스타일의 책들이기에...

 

12. 08. 15.

 

P.S. <안철수를 읽는다>에서 오타 하나. "이명박은 경치 경험이 없고 대국민 소통이 능하지 않은 사람이었다."(80쪽)에서 '경치 경험'은 물론 '정치 경험'의 오타이겠다. '경치 경험'이야 왜 없겠는가. 최근엔 독도도 다녀온 분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랜만에 '로쟈의 콜렉션' 페이퍼를 적다가 인터넷이 불안정해 날려버렸다. 그만두려다 잠시 기분전환을 하고 다시 적는다. 할일이 많은 탓에 계획보다는 간단히 마무리해야겠다.

 

 

 

빌미가 된 책은 장-뤽 낭시의 <코르푸스>(문학과지성사, 2012)와 프랑코 베라르디의 <노동하는 영혼>(갈무리, 2012). 각각 프랑스 철학자와 이탈리아 맑스주의 이론가의 책이다. 낭시의 책은 국내에 여럿 소개됐지만, 대부분 공저이고 단독 저작은 <무위의 공동체>(인간사랑, 2010)에 이어 두번째이다. 역자는 <숭고에 대하여>(문학과지성사, 2005)를 옮긴 김예령 박사로 불문학 전공자이다. <코르푸스>는 제목과 부제 '몸, 가장 멀리서 오는 지금 여기'가 말해주듯 '몸'을 주제로 한 책이다. "프랑스 철학계의 거장 장-뤽 낭시의 몸에 관한 사유"라는 문구가 뒷표지에 적혀 있다.

 

 

 

데리다의 제자로도 유명한 낭시는 영화에도 출연한 경력이 있는데(언젠가 한번 언급한 적이 있는 듯싶다), 옴니버스 영화인 <텐 미니츠 첼로>에 클레르 드니의 '낭시를 향해서'가 그에게 바쳐진 영화다. '기차여행 그리고 10분의 철학적 대화'가 이 단편영화의 내용이다. 소개는 이렇게 돼 있다(영화는 유튜브에도 떠 있다. 다만 불어 대사에 스페인어 자막이다).

 

철학자 장 뤽 낭시와 그의 학생 중 한 사람인 안나가 기차여행을 하며 서로 나누는 대화만으로 이루어진 영화이다. 낭시는 '침입자'라는 단어로 이민자들이나 타자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불안과 공포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는 또한 인종융합에 관한 미국적 개념인 '도가니'가 차이를 포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비판하며 더불어 이들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태도에 대해 반성하고 있다. 길게 이어진 대화가 끝난 후 그들의 자리에 한 흑인이 들어와 조용히 묻는다. "언제 도착하죠?"

 

 

<코르푸스>보다 먼저 뒤적인 책이 <노동하는 영혼>인데, 한국어판 서문에서 저자가 밝힌 취지는 "이 책에서 나는 전 지구적 네트워크 시대의 자본주의적 착취의 새로운 형태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는 것이다. 기본적인 문제의식은 조정환의 <인지자본주의>(갈무리, 2011)와 통한다. '아우또노미아 총서'의 한권이면서 동시에 '인지자본주의' 시리즈의 하나로 출간됐으니 당연한 일이겠지만. "인지자본주의 시대의 노동 착취의 조건과 코뮤니즘 해방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우리 시대의 필독서!"란 카피가 책의 요지를 잘 집약하고 있다.  

 

 

 

저자 프랑코 베라르디(비포)는 펠릭스 가타리와 같이 활동한 경력이 있지만 낭시와도 안면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책의 서문을 쓴 제이슨 스미스는 낭시와 긴밀한 관계가 있는 학자. 낭시의 <헤겔> 영역자이기 때문이다. 찾아보니 자크 랑시에르에 관한 공동 논문집 편집에도 관여했다. 최근에는 필립 암스트롱과 함께 낭시와의 긴 인터뷰집 <정치적인 것과 그 너머>(2011)를 출간했다고. 불어본이어서 욕심을 버렸지만 다른 책들을 모두 주문했다(낭시의 <헤겔>은 갖고 있는 책이다). 여하튼 그렇게 해서 낭시와 비포 사이에 스미스가 있는 형국이다.

 

 

낭시가 공저자로 참여하거나 낭시의 글이 포함된 나머지 책은 <문자라는 증서>(문학과지성사, 2011), <민주주의는 죽었는가?>(난장, 2010), <밝힐 수 없는 공동체/마주한 공동체>(문학과지성사, 2005)가 있다. 아직 본격적으로 도래하진 않은 철학자이지만, 존재감은 서서히 느끼게 해준다...

 

12. 05. 13.

 

 

 

P.S. <노동하는 영혼>에 부친 제이슨 스미스의 서문 제목이 '파업과 영혼'이다. 덕분에 '영혼'에 대한 관심이 촉발돼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에 관하여>(궁리, 2001)를 다시 주문했다(소재불명이어서). 같이 참고할 책은 이정우의 <영혼론 입문>(살림, 2003)과 장영란의 <영혼의 역사>(글항아리, 2010)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말에 한 무더기로 배송된 책들 가운데 하나는 새로 번역돼 나온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1,2>(나남, 2012)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문예출판사, 2004)이란 제목으로 주요 본문 번역과 주석을 펴냈던 조대호 교수가 옮긴 완역본이다.

 


새로 나온 <형이상학> 덕분에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 주로 머물던 고대철학에 대한 관심이 아리스토텔레스에게까지 번져서 다시금 관련서들을 구입하게 됐다(이런 관심은 주기적이다. <시학>이나 <니코마코스 윤리학>이 나왔을 때 촉발됐던 것처럼). 그중엔 <형이상학>, <정치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같은 주요 저작의 영역본뿐만 아니라 해설서도 포함되는데 이번에 나온 건 전재원 교수의 <10개의 키워드로 이해하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역락, 2012)이다. 얇은 분량이긴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그의 철학의 주요 개념들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다.

 


 

보다 전문적인 해설서로는 W. D. 로스의 <아리스토텔레스: 그의 저술과 사상에 관한 총설>(누멘, 2011)이 있다. 1923년에 1판이 나온 책이니 그 자체로 '고전'급의 해설서이다. 저자는 영어권의 대표적인 아리스토텔레스 학자인데 머리말을 쓴 J. L. 아크릴에 따르면 "로스의 책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작품들에 관한 간결하고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이보다 더 나은 설명은 없다." 아크릴 자신의 책으로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서광사, 1992)도 소개됐었지만 현재는 절판됐다. 얇은 책으로 나도 오래전에 훑어본 기억이 있다(개인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외에 '프로네시스' 개념에 관심이 있었다).

 

 

영어권 입문서 가운데 요즘 가장 애호하는 건 '아주 짧은 입문서' 시리즈인데, <아리스토텔레스>(옥스포드대출판부, 2000)의 저자는 조나단 반즈이다(원래는 1982년에 나왔던 책이 이 입문서 시리즈로 재출간됐다). '반즈'라고 하면 많이 듣던 이름 아닌가? 맞다, 작년에 <예감을 틀리지 않는다>(다산책방, 2012)로 부커상을 수상한 소설가 줄리언 반즈의 친형이라고 한다. 그가 손꼽히는 아리스토텔레스 연구자인데, 현재는 절판됐지만 이 책도 예전에 번역됐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서광사, 1989)가 그것이다. 등잔 밑이 어둡다고 한번 가다듬어서 다시 내는 건 어떨까 싶다. 그리고 엊그제 주문한 책이기도 한데, 조나단 반즈가 쓴 또다른 책이 <아리스토텔레스와 마시는 한 잔의 커피>(라이프맵, 2009)다. '가장 짧은 입문서'보다 더 '짧은' 입문서라고 할까. 동생 줄리언 반즈가 추천사를 쓰고 있기도 하니 더 궁금한 책이다.

 

 

아리스토텔레스를 읽으려고 하면서 시작부터 <형이상학>을 붙드는 건 무모한 일처럼 생각되지만 어느 정도 사전 이해를 갖춘 경우라면 도전해볼 만하지 않을까 싶다. 원전 번역으론 김진성의 <형이상학>(이제이북스, 2007)이 먼저 나와 있는데, 이제는 나남판과 자웅을 겨루게 됐다. <형이상학>(동서문화사, 2008)은 일어본을 중역한 것으로 두 원전 번역과 같이 읽는다면 참고할 만하다. 영역본은 펭귄판이 저렴하다.

 

 

그리고 발췌역으로는 책세상판과 지만지판이 나와 있다. 중세 이슬람 학자 아베로에스의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한국학술정보, 2012)에까지 손이 간다면 '못 말리는 관심'이라고 할 만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다른 저작들에 대해선 앞에서 언급한 입문서들을 참고하는 게 좋겠다. 보통은 <시학>이나 <니코마코스의 윤리학>을 읽고, 이어서 <정치학>, <형이상학> 순으로 읽는 게 아닌가 싶다. <자연학>이나 <수사학>, 그리고 <변증론>, <분석론> 같은 저작들은 아직 손길이 가지 않아(<수사학>은 챙겨두고 있다) 잘 모르겠다. 이 모든 걸 혼자서 다 쓰다니!..

 

12. 04. 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