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출처: 한겨레 ESC에서 발췌)

- 지난해 홍대 앞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던 우울한 소식 가운데 하나는 노네임노샾의 이사였다. 입주 5년 만에 다섯 배 가량 뛴 월세를 감당하지 못하고 영등포구 문래동으로 작업실을 옮겼다.

- 홍대 앞에서 먹고 자고 일하고 놀던 '동네' 사람은 어느덧 이곳에서 사라지고 강남에서, 이태원에서, 대학로에서 몰려온 '타지인'들로 북적인다.

- 홍대 앞에는 반전이 있다. 홍대 앞의 '동네' 사람들은 사라지지 않았다. 유흥가를 벗어난 구석, 구석으로 숨어 들어갔을 뿐이다.

- 홍대 앞 바 '샤'는 술집이면서 이따금 작은 공연무대로 변한다. 주말이면 테이블을 귀퉁이로 밀어놓고 허클베리핀이나 다른 밴드들이 어쿠스틱 공연을 연다.

(김은형 기자)

- 월세를 벌어 볼까라는 생각에서 차와 맥주를 파는 바의 틀을 갖춘 로베르네집은 홍대 앞 젊은 예술가들의 아지트가 됐다. 열 평 안짝의 좁은 공간이지만 무료 임대를 해 원하는 작가에게 벽과 천장 등 공간을 제공하면서 다양한 실험적 전시들이 열렸고, 원하는 음악인들은 한 귀퉁이를 빌어 공연도 열었다.

(김은형 기자)

- 제2의 카페 열풍이다. 최근에는 갤러리나 공연장, 작업실 등의 문화적 기능이 더해지고 있다. 2003년 문을 연 '이리카페'는 공연과 전시 등 문화 복합공간으로서 홍대 앞 카페의 원조 격인 장소다.

- '무대륙'처럼 작가들의 작업실을 카페로 바꿔 전시와 공연, 시낭독회 등을 수시로 여는 공간들도 생겨난다.

- 미술하는 사람들에게는 이미 입소문이 난 아트카페 '샴'도 그중 하나다.

- 노트북을 연결하기 위한 전기코드는 기본이고 스탠드와 흡연자를 위한 공간이 마련된 곳도 많다.

(김은형 기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처: 한겨레)

사물놀이의 대명사 김덕수(55·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씨가 예인 인생 50년을 되돌아보는 공연 ‘길-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꾸민다. 5~9일 서울 충무아트홀 대극장. (02)2232-7952.

그는 다섯살 때인 1957년 9월 남사당 단장으로 벅구놀이 명인인 부친 고 김문학의 손에 이끌려 조치원 난장에서 남사당 무동으로 데뷔하면서 예인의 길에 첫발을 들여놓았다. 그 뒤 남운용, 송순갑 등에게 장구와 쇳가락을 배웠고, 78년 서울국악예술학교 후배 최종실(54·중앙대 국악대학 타악과 교수)과 남사당 단원인 김용배(1986년 작고), 이광수(55·민족음악원 원장)와 함께 ‘사물놀이’를 창단해 국악 대중화와 세계화에 힘써왔다. 그는 올해 출간된 일본 음악교과서에 80년대부터 90년대를 빛낸 세계 음악가로 소개되기도 했다.

이번 공연은 서양 음악과 한국 전통의 가·무·악·극 및 영상을 한 데 모아 콘서트와 드라마를 결합한 형식으로 펼친다. 풍물과 버나를 비롯해 살판, 소고놀이, 탈춤, 무당춤, 민요 등 다양한 전통연희가 비보이(B-Boy) 댄스, 재즈, 힙합 등 서양의 춤, 소리와 어우러진다.

그가 94년 총체극 ‘영고’, 98년 콘서트라마 ‘사물이야기’, 2006년 ‘광대놀이’ 등으로 꾸준히 추구해온 ‘총체적인 전통연희’를 만들려는 노력의 연장이다. 그는 “기존 연희 형식에 ‘우리 것’으로 흘러들어 온 힙합과 새로운 한류로 각광받는 비보이와 함께 예술적 교감을 한 곳에 풀어내 새로운 연희의 가능성을 보여주려고 한다”고 소개했다.

이번 공연에는 김덕수씨와 그가 이끄는 사물놀이 한울림연희단이 주축이 되며, 논버벌 퍼포먼스 〈도깨비 스톰〉의 음악감독 이경섭씨(테마음악 작곡), 비보이 그룹 드리프터즈 크루(살판 및 비보잉), 안무가 겸 뮤지컬 배우 김사량씨(안무) 등이 참여한다. 또한 김덕수씨의 아들인 래퍼 수파사이즈(본명 김용훈)가 소속된 그룹 스퀘어(랩 공연)도 함께 무대에 설 예정이어서 부자가 다른 장르로 함께 어울리게 된다.

김덕수씨는 최근 다국적 프로젝트 재즈그룹 레드선과 함께 작업한 50년 기념 음반 〈길〉을 냈다. 음반 〈청배〉 이후 6년 만에 낸 이 음반에는 ‘덩덕궁’ ‘비나이다’ 등 모두 10곡을 담았다. 또 에세이 형식의 자기계발서 〈글로벌 광대 김덕수, 신명으로 세상을 두드리다〉(김영사)도 5일 나온다. 또한 13일에는 제18회 일본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예술문화상 수상자로 뽑혀 일본으로 건너가 상을 받는다. 아시아 문화진흥과 상호 이해, 평화에 공헌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역대 수상자는 미술가 백남준, 영화감독 구로사와 아키라, 임권택 감독 등이다.

정상영 기자 chung@hani.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처: 한겨레) 
 
‘아마추어 예술가들은 청계천으로 모이세요!’
청계천의 배오개교 하단 등 무대가 갖추어진 네곳이 예술가들의 공연을 위해 무료로 개방된다. 서울시설공단은 7일 순수 아마추어 예술가 등 시민이 신청을 하면 심사를 거쳐서 청계천변의 공연 공간을 제공해 주겠다고 밝혔다.

무료로 제공되는 공간은,
- 청계천 4가의 배오개교 하단(250명 수용)
- 청계 6가의 오간수교 수변무대(500명 수용)
- 청계 8가 황학교 리듬벽천 앞 데크무대(33명 수용)
- 청계 9가의 고산자교 문화광장(3000명 수용)
이다.

공단은 또 공연자가 별도로 희망하는 공간이 있다면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공연을 허가해줄 계획이다. 단, 유료 공연은 할 수 없다. 지금까지는 문화기관에 등록된 예술공연 단체 소속 회원들에게만 개방되어, 아마추어 예술가들은 무대에 설 수 없었다.

공연을 희망하는 단체 및 개인은 11일부터 공단 홈페이지(www.sisul.or.kr)를 통해 신청서를 내려받아 팩스나 이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2005년 10월 복원된 청계천에서는 1476건의 문화행사 및 공연이 열렸다. 김석종 청계천 관리 센터장은 “지금까지 대부분의 공연이 청계천 상류에 집중되었는데, 이번 개방을 계기로 하류 쪽에도 문화 행사가 활성화하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김기태 기자 kkt@hani.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국의 무차별 단속에 피해" 2억 손배소  
연합뉴스 2000-07-14


신촌 대학가의 민속주점 `아름나라'의 주인 오환상(39)씨는 14일 "(당국이) 미성년자에 대한 주류제공을 무차별적으로 단속하는 바람에 물질적,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며 국가를 상대로 2억원의 손실보상 청구소송을서울행정법원에 냈다.
오씨는 소장에서 "업주와 단속 공무원과의 뒷거래가 공공연히 이뤄지는 상황아래서도 지난 9년동안 정직하게 영업해왔다"며 "그럼에도 불구 당국의 무차별 단속으로 인해 타업소에 비해 막대한 영업손실을 봤을 뿐 아니라 집요한 단속대상이 됐다"고 주장했다.

오씨는 "모든 손님들에게 신분증 제시를 요구해 심한 거부감을 샀으며 그동안 5차례의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며 "현행법은 대학생이 되면 선배.동료들과 자유롭게술자리를 갖는 보편적 사회통념과 현실을 반영하지 않고 있어 업주의 재산권과 생존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씨는 선배와 함께 온 대학 2학년 전모(당시 19세9개월21일)씨에게 술을 팔았다는 이유로 적발돼 과징금이 부과되자 지난해 2월 과징금부과처분 취소 청구소송을 내 승소했다.

오씨는 또 지난해 9월에는 대학생 3천여명의 서명을 받아 "법률상 청소년 연령을 연나이 19세 미만으로 조정해야 한다"며 헌법소원을 내기도 했다.

한편 청소년보호위원회는 최근 청소년보호법상 청소년의 기준을 `만19세 미만'에서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한 `연19세 미만'으로 개정키로 했다.

공병설기자 kong@yna.co.kr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처: 한겨레)

“신도 사람도 흥겨운 마을굿 잇고자”
‘호남 마을굿’ 답사해 민속문화지도 만드는 나경수 교수

광주 일곡지구 한 식당에서 전남대 나경수(국어교육학과) 교수의 초청으로 지난달 30일 저녁 출판 기념회가 열렸다. 〈함평군 마을굿〉(민속원 냄)과 〈호남의 몸주 천도굿〉(〃) 등 민속문화의 전통이 2권의 책으로 나온 것을 축하하는 자리였다. 연구팀은 2005~2007년 호남 마을굿을 모두 조사해 앞으로 5년동안 20권 이상의 〈호남 마을굿〉 총서를 준비하고 있다.

나 교수는 “마을굿은 축제였다”고 설명했다. 부여(영고), 고구려(동맹), 동예(무천)의 국가적 행사처럼, 마을굿도 남녀가 음주가무를 즐겼던 페스티벌이었다는 것이다. 경기 일원의 도당굿, 강원도의 성황굿, 경상도의 골맥이제, 전라도와 경남 일원의 당산제 등이 마을굿 범주에 든다. 나 교수는 “마을굿은 신을 즐겁게하는 의식이자 사람들이 스스로 흥겨운 분위기를 연출했던 놀이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농촌이 노쇠해가는 탓에 마을굿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나 교수 연구팀은 국내 민속학계에서 처음으로 마을굿을 전수조사한 뒤 지도에 표기해 ‘민속문화지도’를 그린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를 위해 마을굿 연행 현장을 일일히 찾아가 촬영하고 위도와 경도를 표기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민속을 지도상에 올려 등속선(等俗線)을 얻게 되면 민속문화의 분포와 경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사방천지에 굿(구경거리)이 깔려있는 현대에 마을굿은 어떤 의미일까? 나 교수는 “마을굿엔 참여와 체험을 통해 공동체를 통합시키는 강력한 에너지가 있다”며 전통을 현대적으로 계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례식장에서 굿의 원형 가운데 씻김-길닦음-고풀이 등 정수만을 뽑아 연행하는 것도 창조적 계승의 한 방법이라는 것이다. 또 “도시에서 학교굿, 직장굿, 공장굿, 아파트 단지굿으로 마을굿을 확장시켜가야 한다”고 말했다. 물론 “전남 벌교 대포리 등 대표적 마을굿의 원형을 보존하는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