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에서 다국적군의 폭격이 이루어지고 있단 소식을 들었다. 

리비아 사태를 내전이라고 한다면 다국적군은 인명보호를 명분으로 하고 있지만, 내정간섭이라는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 

독재자를 축출한다는 대의명분하에 리비아에 대한 폭격이 민간인 사망으로 나갈 수도 있는 상황인데. 

세계 평화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전쟁이 합리화될 수  있을까? 

전쟁이 아닌, 협상으로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없을까? 

유엔은 전쟁이 아닌 협상으로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구 아니던가. 

아무리 민주주의, 인명보호, 독재자 축출이라는 명분을 내걸어도 전쟁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세계 곳곳이 자연 재해, 또 인간이 만들어낸 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 여기에 전쟁까지 벌이다니. 

왜 갑자기 "전쟁중독"이라는 책이 생각이 나는지. 이게 미국이 일으킨 전쟁도 아니고, 영국, 프랑스, 미국의 다국적군이 일으키고 있는 일인데.

중독을 끊기 위해선 많은 금단현상을 이겨내야 하듯이 우리도 전쟁이라는 중독을 끊기 위해선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하는데... 

어떤 명분으로 전쟁을 일으키는 일을 우리는 반대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 물의 날이라고 하는데, 물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는 날이다. 

물은 너무도 당연하게 우리 곁에 있어서 소중함을 모르고 지내기도 한다. 

어떤 이는 우리나라를 물 부족 국가라고도 하고, 어떤 이는 물부족 국가라는 말은 잘못된 이야기라고도 하는데, 예로부터 금수강산이라고 우리나라는 물 좋고 산 좋은 나라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우리처럼 도처에서 강을 보고, 산을 볼 수 있는 나라가 물에 대해서 인식이 부족하다면 이는 누구의 잘못일까? 

물이 순환하지 못 하게 콘크리트로 모두 막고, 이 물들이 자연 속으로 들어가 다시 자연 속으로 나오지 못 하게 하고 있는 현대 문명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모두 알고 있는데. 

가끔 내리는 비를 보면 이 비들이 어디로 갈까? 

갈 곳이나 있을까, 오로지 하수구로 빠져 땅으로 스며들지 못 하고 사라지지 않을까. 

물의 날. 

물에 대한 여러 생각을 하는데, 세상에 물 아닌 것이 있을까? 

우리 인간도 물로 대부분 이루어졌는데, 이렇게 물을 홀대해서 어떻게 우리의 생명을 잘 유지할 수 있을까? 

물의 날이라고 해서, 눈에 보이는 물에만 관심을 갖지 말고, 시각을 달리해서 모든 생명체에 대한 관심으로 나아갔으면 좋겠다. 

물도 감정이 있는 생명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면 굳이 물의 날을 만들 필요도 없이 우리는 물을 아끼고 소중히 여기게 될텐데... 

물에 관한 이 책. 

물의 날과 관련이 없을 듯하지만, 물의 날이 아닌, 물만이 아닌 우리 모든 생명체와 관련이 있는 이 책. 한 번 읽어보자. 에모토 마사루가 쓴 "물은 답을 알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네에 어느 날 갑자기 홈플러스 익스플러스라는 가게가 들어왔다. 그러더니 빵집으로 빠리 바게트도 들어왔다. 

어느 순간부터 동네 슈퍼는 사라지고, 동네 빵집도 사라지고 말았다. 

오로지 대기업들만이 체인점들만이 동네에 살아남아 장사를 하고 있는 셈인데... 

대기업들의 동네 상점 입점을 규제하는 법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중소상인들이 다 망한다는 우려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나브로 이러한 체인점들이 하나 둘씩 자리를 잡고 있으니. 

아이엠에프를 겪으며, 많은 사람들이 자영업자로 변신을 했는데, 이러한 자영업자들이 살아갈 길을 막고 있으니...

이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나 빠리 바게트를 보며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을 떠올렸다. 

80년대 서울 변두리에서 고마고만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연작소설로 쓴 작품, 

중에 '일용할 양식'이라는 단편 소설이 머리에서 사라지지 않고 있으니. 

김반장이 운영하는 형제슈퍼와 경호네가 운영하는 김포슈퍼, 그리고 나중에 들어온 싱싱청과물 가게가 서로 경쟁을 하는 내용의 소설. 

이거야 원. 이들의 치열한 경쟁이 서로에게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제 살 갉아먹기 경쟁이었으니. 이 당시에도 이렇게 작은 자영업자들은 살기가 힘들었는데, 이제는 대기업들이 이러한 유통시장에 들어와 이들끼리 경쟁하지 못 하고, 대기업의 힘에 그냥 물러나고 마는 현실이니... 

80년대의 원미동 사람들이 지금 2000년대의 우리들 모습과 다르지 않으니. 

언제, 우리는 사람답게, 생존을 걱정하지 않고, 생활을 즐기며 살 수 있을지. 

조금씩 나눌 수 있는 사회가 될지. 

그런 사회를 만들어야 하는데...  

동반성장이라는 말이 울림이 없이 사라지고 있는 이 현실이 안타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 쪽이 계속 사막으로 변해가고 있다는데... 

인간이 이룩한 문명이 결국은 우리에게 재앙으로 다가올 수도 있단 사실을 깨달아 가고 있는 중 

황사가 어떤 측면에서 도움이 되기도 한다지만, 지금의 황사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먼지덩어리로 

볼 수밖에 없으니... 

외출을 자제해라, 마스크를 써라 등등 우리는 봄이 되면 황사 때문에 긴장을 하게 된다. 

매일, 매년 우리는 얼마나 많은 나무를 죽이고 있는지... 

이 나무들의 생명으로 우리의 생명을 이어가고 있으면서도 다시 나무를 심는 수고를 별로 하지  

않으니. 

일회성 행사로 나무를 심지 말고, 늘 나무를 심는 자세를 지녀야 하는데...  

어느 나라에서는 결혼의 대가로 나무를 심게 한다는데... 

그렇게라고 해서 이 지구를 보호한다는데... 

이 땅에 나무심는 사람이 많이 나와야 하는데... 

누가 뭐라든, 얼마나 오래 걸리든, 묵묵히 자신의 나무를 심는 사람... 

그런 사람들이 많아진다면 황사를 걱정하지 않게 될텐데... 

남에게 바라지 말고, 우선 나자신도 가능하면 나무의 생명을 덜 빼앗도록 하고, 

한 그루의 나무라도 심을 기회를 찾아 심도록 해야 겠다. 

장 지오노의 "나무를 심은 사람"이 생각나는 날이다. 

황사비가 내리는 날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 

지구를 정복했다는 인간. 

이제는 우주로 발을 넓혀 나가려는 인간. 

이런 인간들에게 무서운 것이 없어야 하는데, 인간의 오만함을 비웃듯이 간간히 터져나오는 자연 재해. 

한 번 지구가 몸부림을 치면 인간이 이루어놓은 문명들이 하루아침에 사라지고 마는데... 

이중 삼중을 넘어 십중의 안전장치를 했다던 미래의 에너지, 원자력 발전소. 

이번에 일본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원자력에 대한 공포가 일어나고 있는데. 

원자력 발전에 대해서는 한 번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오늘 어느 과학자가 라디오의 대담프로그램에서 한 말.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다 했다고. 

그렇다면 자연의 힘에 어떻게 될지는?  

일본에서 일어난 일들을 보며 로버트 융크의 "원자력 제국"이라는 책이 생각났다.  

부제가 '반생명적 기술 핵에너지의 본질'이라고 붙은 책.   

또한 타까기 진자부로오라는 일본 시민과학자의 "원자력 신화로부터의 해방"을 읽어보자. 더불어 그의 책인 "시민과학자로 살다"도 좋은 책이다.

꼭 한 번은 읽어야 할 책이다. 

원자력은 과학자나 환경단체 사람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우리들 자신의 문제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