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집을 고른 것은 착각에서 비롯되었다. 한승태라는 이름 때문. 한승태라는 작가를 만난 건 [퀴닝], [어떤 동사의 멸종]이었다. 노동 현장을 직접 경험하면서 쓴 글들.
우리나라 노동 현장이 얼마나 열악한지, 또한 그들이 얼마나 열심히 일하고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책이었기에, 한승태라는 이름을 보고는 아, 그 작가가 시도 썼구나 하는 착각을 한 것.
그런데 아니었다. 다른 사람이었다. 이름이 같은 동명이인. 읽다 보니 시 내용 중에 나이 오십이란 말이 가끔 나온다. 시와 시인을 일치시키면 안 된다지만, 시에서 시인은 자신을 드러내는 경우가 꽤 있으니, 이 경우 분명 시인의 나이는 오십 즈음일 텐데... 앞서 말한 한승태는 이보다는 한참 젊은 나이니... 이런 우연이. 어떻게 같은 이름을 가진 작가가 비슷한 시기에 책을 내지. 참...
그럼에도 이 시집을 읽으면서 다른 한승태의 작품도 떠올랐으니... 공동체라는 말, 바로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 아니겠는가. 그 사회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또 그런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이 시집을 통해서 알 수 있으니...
여기에 '피라미드' 같은 시는 다단계 노동의 모습을, 그것을 자기 나름대로 유리하게 해석하는, 공동체라기보다는 오히려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일하는 모습을 만나게 되는데, 이것이 우리 현실 아닌가.
권력자들의 모습, 발뺌하는 그들의 모습, 그것도 자식의 안위를 위해서는 어떻게든 빠져나가려는 모습을 뉴스에서 심심치 않게 보아 왔는데, '단단해지는 것들'이란 시에서 만나게 되니... 이런 나쁜 것들이라는 상스러운 말이 절로 나오게 하는 시이기도 하고.
하지만 역시 힘 있는 자들은 어떻게든 빠져나갈 길을 마련한 것이 우리 현실이었으니, 공동체는 고독을 느끼기보다는 연대를 느껴야 하는데, 고독한 자의 공동체라고 한 것은, 공동체에서 객체로 존재하는 우리 현대인의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고.
그러나 '아전, 인수의 나라'라는 시를 읽으면서는 이런, 시대를 관통해서 이런 사람들이 꼭 있는데, 이런 사람들이 있는 것이 문제가 아니고, 이런 사람들이 권력을 쥐고 있는 것이 문제라는 생각.
아전인수(我田引水), 사람들은 자신에게 이로운 쪽으로 해석을 하고 행동을 하지만, 그것이 힘 있는 자들이 일상적으로 행했을 때, 그 사회 공동체는 무너질 수밖에 없는데... 지금도 이 시에서 한 말이 유효하다면, 그렇게 되지 않게 해야겠지.
시인이 이런 시를 쓴 것은 단지 보여주기만이 아닐 테니까. 자, 봐라, 이것이 문제다. 문제가 보이니 이제 해결할 차례다. 그것 아닌가. 그래야 공동체가 살지 않는가.
시를 읽자. 그리고 이 시에 나오는 사람, 집단을 생각해 보자. 과연 바람직한가. 이 사람들이 공동체에서 어떤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사회의 운명도 달라지지 않을까.
아전, 인수의 나라
실록에는 고려가 망하고 세종 때까지도 백성 중 자신이 고려의 신민臣民이라 여기는 자들이 여럿이라는 한탄이 보인다 임란 이후 명明을 호란 이후 청淸을 부모로 여기고 그의 신민이 되고자 하는 자도 있었다고 한다 조선이 망하고 일본 식민지가 되어서도 인민人民은 일부가 일본 신민이었을 뿐 나머지는 조선 신민이라 여겼다 태평양 전쟁에서 미국에 패한 일본이 조선에서 쫓겨나고 상해 임시정부는 국토와 인민 주권을 되찾았어도 자신이 일본 신민이라 여기는 자는 여전히 남았다 한국전쟁 이후 미국을 부모로 여기고 그의 신민이 되고자 열심인 자도 여럿이다
한승태, 고독한 자의 공동체, 걷는 사람. 2023년. 8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