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해당한 여자 '귀'신이 남성 공무원 앞에 나타나 '적법한' 해결을 청하는 이야기의 대명사 <아랑의 전설>부터 이 책은 시작한다. 억울한 여성, 살아서는 목소리를 가지지 못했고, 죽어서야 말을 한다는데, 과연 그것이 여성이 목소리를 낸다는 뜻인가, 에는 저자 전혜진도 주저하며 말을 아낀다. 


강간을 당해도 말을 못하게 혀를 잘리고, 혹은 괴물로 변하고, 또 살해당했던 그리스 이야기의 여성처럼 아랑, 예쁜 아가씨는 밀양에서 어느 남자의 손에 살해당한다. 


작가 김영하는 그 아랑의 전설을 다시 쓴다. 과연 아랑은 윤 부사의 딸이었을까, 어느 이야기에서는 관비라고도 한다. 살해자는 통인, 혹은 관노, 그도 아니라면 아버지 윤 부사일 가능성은? 그렇다면 이 이야기의 성격은 어떻게 바뀌는가. 권선징악, 이라면 '징'을 내리는 건 국가권력, 새로 부임한 담대한 부사, 남성일 텐데, 그는 아랑, 여성의 목소리를 들었는가, 아니 애초에 아랑은 입을 열어 말을 한 마디라도 했는가. 


김영하의 소설은 아랑의 입을 막는다. 이 책은 소설 혹은 이야기라기 보다는 '아랑 전설'을 가지고 새로운 이야기로 만드는 과정을 함께하는 워크숍 형식이다. 등장인물 혹은 배우/페르소나는 작가의 펜 끝에서 살아나와 일단 독자 앞에서 리허설을 하다가 어느새 조선 중기로 넘어가 나름의 캐릭터를 입고 아랑과 살해자, 부임자 둘의 죽음 (그러니까 연쇄살인)의 배후를 살핀다. 작가의 간섭은 계속 이어진다. 그때, 과연, 어떤 일이 있(을 수 있)었는가. 작가 김영하는 아랑 전설이 '환상적 여성주의 소설'이 될 가능성을 품었음을, 가부장제에 희생된 여성의 한을 이야기할 수도 있음을 비추지만 그의 선택은 남성의 '힘'에 관한 이야기로 방향을 틀었다. 그에게 작화는 게임이다. 작가의 손엔 충분한 장기 말이, 카드 패가, 퍼즐 조각들이 있다. 


지방에서 벌어진 부정부패, 오랜 시간 이어진 힘들 사이의 암묵적 거래. 어느 순간, 부정한 그 여자를 향한 '욱하는 심정'으로 휘두른 칼 한 자루. 딸의 죽음 뒤에 그토록 급하게, 황망히, 직책을 내던지고 사라진 아버지 윤 부사를 더 잘 설명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리고 아랑, 은 예쁜 아가씨, 라는 이름만 제목에 남기고 결국 입도 뻥긋하지 못했다. 그러면서 아랑에게/에 대해 왜?를 묻다니. 나비, 혹은 북, 고목, 변신하고 날아가고 둥둥 소리를 울리는 모든 연상작용 상징들은 유용하게 작가의 도구가 된다. 작가의 세계에선 말을 하는 이는 작가 한 사람이면 충분하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06-14 12: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유부만두 2021-06-14 14:28   좋아요 1 | URL
김영하 작가의 ‘아랑‘은 귀신 이야기에 묻혀버린 두 명(이상)의 신임 부사와 정식 절차 없이 죽은 살해범(?) 등 최소 네 명의 죽음의 미스테리를 파헤치는 데 집중하고 있어요. 나비가 된 원혼, 순수하고 억울한 미녀라는 아랑의 틀을 깨기도 하고요.
그러니 아랑이 왜 나비가 되었는지 부터 질문하면서 시작하는 이야기에요. 여성의 목소리, 여성 서사는 가능성을 꼽아주지만 제껴둡니다. ㅎㅎㅎ
어찌보면 아랑은 죽어도 싸다? 라는 뉘앙스가 풍기기도 하고요. 뭐 김영하 작가의 다른 소설 들에서처럼 주인공은 작가, 라는 걸 확인 했습니다.
 

정신과 의사 하지현의 책과 방송을 꽤 챙겨 읽고 보고 들었다. 그래서인지 그의 '무기' 독서가 주제인 책인데도 (제목이 무려 '정신과 의사의 서재') 초반은 새롭지 않고 지루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중반부에 접어들면서 조금 나아진다. 구체적인 책 이야기가 나오고, 그의 전문 분야 이야기 비중이 많아 지기 때문이다. 그가 추천해 주는 프로이트 입문서들은 장바구에 채워넣었다. 









저자의 '서재'는 읽기 이상을 위한 공간이다. 그는 취미로 읽기는 물론, 책을 읽고 리뷰를 써서 지면에 발표하고, 좀 더 긴 호흡의 책도 묶어서 낸다. 그러니 그에게 서재의 책읽기는 '아웃풋'을 염두에 둔 활동이다. 이 책에는 그래서 책을 읽고 정리하는 법, 그에 유용한 도구/앱을 소개하는 내용도 담겨 있다. 


독서 연륜 (과 인맥)이 쌓여서 이제는 독한 리뷰를 쓰지 않는다는 저자의 말에는 절반만 공감했다. 과장 광고와 현란한 표지의 책을 먼저 읽고 '당했다'면 다른 독자들에게 경고는 해줄 수 있지 않나 싶기 때문이다. 또한 서점에서 지인의 책을 매대 위, 눈에 잘 띄는 곳에 '실수인 양' 놓아둔다고 했는데, 그것은 저자도 알고 있다시피 서점 직원들이 싫어할 행동이고 매대의 그 자리를 계약한 다른 책(의 저자와 출판사)에게 피해를 끼치는 일이다. 이런 행동을 하고 책에 남기기 까지하는 '깡'에 놀랐다. (지난번 읽은 유홍준 작가의 '남의 나라 유적지 규칙 어기기' 처럼, 성공한 남자 작가들 몇몇은 책에 자신의 비행 기록을 남기는 데 별 거부감이 없는 것 같아 보인다.)  책은 전체적으로 느슨하고 헐거운 편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1-06-13 2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 진짜 무식하면 용감한가 봐요. 성공한 남자들은 자기 비행마저 자랑스러운 듯. 으윽….

유부만두 2021-06-13 21:54   좋아요 0 | URL
실수(?)는 할 수 있겠죠. 그런데 그걸 왜 책에 쓸까요? 자랑하는 걸까요? 자긴 이런 행동을 해도 괜찮다고? 왜 기본적인 자기 ‘검열’, 아니, ‘나쁜 건 안쓰기’가 어려울까요?

북극곰 2021-06-14 17: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서점에서 지인의 책을 매대 위, 눈에 잘 띄는 곳에 ‘실수인 양‘ 놓아둔다고 했는데, 그것은 저자도 알고 있다시피 서점 직원들이 싫어할 행동이고 매대의 그 자리를 계약한 다른 책(의 저자와 출판사)에게 피해를 끼치는 일이다. --> 만두님 덕분에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됐어요. 지인에게 마음 쓰는 따뜻함을 어필하려고 한 걸까요? ㅎㅎ

유부만두 2021-06-23 14:48   좋아요 0 | URL
저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자신의 따뜻함을 어필하려는 의도가 있었겠지요. 그리고 약속이나 원칙은 무시하고요.이렇게 책 속에 자신의 의도가 원칙보다 앞선다고 새겨두는 힘이랄까, 자신감에 많이 놀랐어요.

어쨌거나... 북극곰님, 오랜만입니다. ^^
 

http://bookple.aladin.co.kr/~r/feed/509811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메리 비어드의 다른 책을 읽으려고 오랫동안 벼르기만 하다가 얇은 이 책으로 대신 했다. 여성을 침묵시키는 고전(문)학 안의 시발점을 고찰하고 공적 목소리와 권력을 여성에게 강하게 거부하는 전통을 현대 정치 사회와 함께 (비교적 쉬운 문장으로) 살핀다. 


고전(문)학에서는 권력을 가진 (악용한) 여성은 괴물로 여겨지므로 (지금도 그렇다) 죽여서 입을 막고, 그 목을 따서 반면교사 삼는다. 가슴에 메두사의 머리를 달고 다니는 '여'신인 아테나가 바로 가장 여성을 침묵시키려 애쓰는 그 고전학 (호머 이전 시대 그리스 인들)의 악착스러움을 보여준다는 해설이 흥미롭다.


옛기억에 메두사는 신전에서 사랑을 나누어서 벌로 괴물이 되었다고 알고 있었는데, 그 사랑이 사랑이 아니었네? 잠깐만요, 확인 좀요. 



Medusa was astonishingly fair; [...] Her beauty led the Ruler of the Sea to rape her in Minerva‘s sanctuary(so goes the tale). Jove‘s daughter turned aside chaste eyes: the goddess hid her face behind her aegis. (book 4, 141-2) 


허영에 찬 처녀가 방종한 사랑을 하다 여신에게 벌 받는 게 아니라 바다의 신에게 강간 당했는데 자신의 장소를 더럽힌 것에 분노한 아테나가 피해자를 괴물로 만들어 버리는 것이다. 











그런데.... 

메두사는 한때 아름답기로 소문난 처녀였더랍니다. [...] 바다의 지배자가 이 메두사를 미네르바 여신의 신전으로 데려가 사랑을 했다는 이야기를 합디다. 이 유피테르의 따님으로서는 방패로 얼굴을 가려야 할 만큼 무안당하셨던 거지요. (1권, 201)

 

왜 민음사 번역은 이토록 불필요한 각색을 했을까.  강간이 사랑이 되어버렸다. 하긴, 고전문학에서 강간 아닌 사랑이 얼마나 될까. 그래도 이러진 말자. 증말. 지겹다. 사람 때리고 죽여놓고 짝사랑 운운하는 뉴스 제목이랑 뭐가 달라. 


끔찍하게 그 처벌이 피해자에게만 주어진 것도 처참하다. 오늘날 뉴스에서 거듭 접하는 그리스 비극적 상황에 더 처참하다. 누가 칼날을 휘두르고 있는가. 망내인의 상황도 겹쳐진다. 메두사는 가해자 집안 삼촌이 강간하고, 조카가 괴물로 만들더니, 또 다른 조카가 살해했다. 대단한 집안이다.  


메리 비어드의 책은 흥미롭지만 해법의 하나로 제시하는 '권력에 대한 새로운 사유'는 어쩐지 생생한 사례와 비유에서 멀리 떨어진 느낌이 들었다.  고전학 내의 여성 이야기에 나는 아직 목 마르고 .... 비어드의 다른 책을 더 읽어야 겠다. (칼은 갈아 놓고 다른 책만 찾아 읽는 나는 뭘까. 참, 칼가는 도구는 다ㅇㅅ에서 오천원 짜리를 샀는데 꽤 쓸만했다. 아주 날카로워진 부엌칼에 남편이 손을 베었다;;;) 


참, 트럼프가 격노했다는 SNL의 '여성' 코메디언에 의한 '남성' 정치인 희화화는 이것이다. 

멜리사 맥카시 만세!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미 2021-06-07 17:38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메두사가 피해자였던 거네요?!! 옛날 동화도 그렇고 알면 알수록 필요에 의해 또는 통념에 따라 각색된 것 투성이...🤔

유부만두 2021-06-08 06:41   좋아요 1 | URL
둘이 사랑을 했다니까, 그런갑다~ 시대가 그랬지~ 여자가 뭘 했겄지~ 라는 식의 답습된 태도가 더 생각해 볼 여지를 남기지 않는 것 같아요.

단발머리 2021-06-07 18:07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여성, 전적으로 권력에 관한.... 은 참 작고 비쌌던 책으로 기억합니다. 읽지는 못하고 만나기만 했던 책이에요.
메두사 이야기 때문에라도 찾아 읽어봐야겠어요.

유부만두 2021-06-08 06:43   좋아요 1 | URL
그쵸. 작고 비싼... 전 더 두껍고 더 비싼 책도 있는데 ... 이 책은 주로 영미 여성 정치인들 이야기를 다루지만 (얇아서 그것도 많이는 아니죠) 지금 한국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들어요. 책이 어렵지도 않아서 하루에 슥. (하지만 가슴엔 천불) 읽으세요.

붕붕툐툐 2021-06-07 18:5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런~ 어떻게 강간이 사랑이 될 수 있냐고!?!?!?!
다이소 칼갈이 너무 무서운 물건 아닙니까?ㅎㅎㅎㅎ

유부만두 2021-06-08 06:45   좋아요 1 | URL
다이소 칼갈이 다부져요.
또 하나 다이소 마늘다지기? (집게 처럼 생긴거)도 야무지네요. 마늘을 아주 잘 짜요? 찧어요? 빻아요? 이걸 뭐라고 해야할까요? 다지는 건 아니죠. 작은 구멍이 많은 틀에 넣고 뚜껑을 내리 눌러서 쓰는건데요... 여하간, 다이소에도 쓸만한 부엌템이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꼬마요정 2021-06-07 22:5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테티스와 메데이아도 희생양이라 굳건히 믿고 있습니다!!!

유부만두 2021-06-08 06:47   좋아요 2 | URL
메데이아....는 사랑에 적극성이 있지 않았었...? 아니네요. 그것도 찾아봐야 겠어요. 아무리 나중에 그녀가 피칠갑을 했어도, 처음 ‘사랑‘이 과연 비폭력 자발적 선택인지는 찾아봐야해요. ㅜ ㅜ

꼬마요정 2021-06-08 08:05   좋아요 2 | URL
그리스 신화에서 스스로 우러나와 사랑을 나눈 사례가 과연 얼마나 될까요ㅜㅜ 씁쓸하네요. 메데이아 다시 찾아봐야겠어요ㅠㅠㅠㅠ

북극곰 2021-06-14 17: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 와중에 ‘피해자‘를 괴물로 만들어버리다니 진짜.... -.-;
유부만두 님 덕분에 저도 독서욕이 막 솟네요. 읽으시는 거 슬금슬금 따라가봐야겠다.

유부만두 2021-06-23 15:09   좋아요 0 | URL
북극곰님 독서도 제가 슬금슬금 따라가겠습니다. ^^

공쟝쟝 2021-06-25 00: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메두사///사랑이 아니었구나... 인류여 사죄해라!!! (화난다...)
앗, 맬리사 맥카시를 여기서 뵙사옵니다. 최고 ㅜㅜ 힝 ㅜㅜ.

유부만두 2021-06-25 20:15   좋아요 0 | URL
화나지요. 음청.
참, <키르케> 소설 읽어보셨습니까? 재밌는데 말이지요....

2021-06-30 16: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30 17: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바람돌이 님의 홍콩 관련 북 리뷰를 읽고 나서 삼년 전 다녀온 그 도시가 너무 그리웠다. 하지만 이젠 여러 이유로 더 멀어진 그 도시에 대한, 집에 있는 책을 먼저 읽었다. 그 책의 배경이 되는 사건은 2014년 가을, 바로 그 우산혁명의 시간, 경찰과 시위대로 지상 교통이 마비되자 더욱 붐비는 전철에서 벌어진다. 상대는 만14살 중학 2년생 샤오원. 소설의 '서장' 2015년 봄날엔 이미 투신한 상태로 누워있다.  


망내인, 이라는 제목이 낯설지만 부제 '네트워크에 사로잡힌 사람들'이 인터넷 통신, 댓글, 방구석 코난, 편견 등이 어떻게 사람을, 사람들을 서로 죽이고 있는지, 죽도록 유도하는지 그 뒤의 칼자루를 쥔 자는 누구인지 그리고 있다. 시선은 자비심없고 잔인하게 철저한 복수!를 향해 독자를 '홀려' 끌고 간다. 그 와중에 친절한 IT 수업은 덤? 나같은 문과 아줌마 독자도 쉽게 이해할 기술 개념의 (반복) 설명이 홍콩 거리의 묘사 만큼이나 큰 비중을 차지 한다. 


하지만, 소설의 '망'은 좀 성글다는 느낌이 든다.  '亡'삘이 날 정도로. 

샤오원의 부모 이야기부터 해서 홍콩의 역사/가족의 비극을 풀고 아이(이십대 여성인데 이름이 '아이'임)가 동생 샤오원의 죽음의 책임을 가진 인물을 추적하는 이야기다. 조금씩 그 범인들의 정체가 밝혀지고 학교에서 범인의 한 축을 밝혀가며 다른 편에선 IT기업에서 일하는 범인과 정면승부하는 .... 언니 아이가 아니라, 그녀의 전재산을 의뢰비로 받은 천재 해커, 건물주 (홍콩의 건물주!) 아녜. 


하지만 ... 학교에서의 관계는 얽히고 설켜 있었고 (하지만 결국 2013년 겨울의 사건은 잘 설명 되지 않고 흐지부지) 복수는 복수를 낳으니 류의 분위기와 깊은 산속의 까칠한 도사님 포스의 아녜의 모습은 베리 올드 스타일이다. 홍콩 소설이라 표현법이 어쩐지 초한지 분위기를 풍기기도 했다(그 점은 좋았다우). 하지만 '누명'이라는 말이 너무 당당하게 나올 때 부터 그 넘이 찐범이구나 싶었는데, 그 인물에 대한 신체 묘사는 의외로 결말부에 가서야 나온다. 초반에는 이 두 범인들의 관계도 일부러 모호하게 설정한 듯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내가 싫었던 것은...


두 어머니를 대조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점이다. 한 명은 성실한 남편이 직장에서 사고로 사망하고 (보험금이나 사회보장 보호도 못받고) 몸이 말그대로 바스러지도록 두 딸만 키우다가 병으로 사망한다. 정갈한 그 집의 두 딸은 안 보이는 속내는 의외의 모습이 있...(다고 연기만 몇백쪽 피우다가 피우다가).... 또 한 어머니는 십대에 결혼해서 두 아이들 두지만 열살이 넘은 큰 애는 놔두고 (누구에게? 어디에?) 5살 아이만 데리고 부잣집에 재가하지만 5년 후 그 막내 마저 버리고 (쪽지 한 장 남기고) 집을 나서버린다. 그 막내가 커서 뭔갈 잘못 한다면, 그건 그 무책임한 엄마 탓이라고 은근이 아니라 노골적으로 깔고 있다. 그러니 그 버려진 큰 아들이 자라나서 홍콩의 n번방 가해자가 되었으니 일본 소설 <고백>이 작중에 인용되는 건 또 다른 복선인 셈이다. 뭐든 다 엄마 탓이네, 이것들이.


그러다가....갑자기 맨 마지막은 동화 결말인건가??? 갑자기 아이의 경제 사정이 다 해결된다. 양심의 문제, 동생의 사망에 대한 상실감과 모든것을 다 해결한다. 그렇게 쉽습니다. 이 소설 속의 세계, 홍콩은. 단지 당신이 천재 (온갖 스코커 짓을 전력투구로 하는) 해커이며 건물주인 (이 부분이 더 중요함) 탐정이거나 그 친구여야한다. 


책은 중반부까지 정신없이 읽을 수 있지만 그 이후는 (완탕면에 대한) 으으리로 읽었다. 공용 wifi 이용이 무섭다는 것을 '다시' 배웠다. (모르진 않았었다고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6-08 01: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리멤버 홍콩 리뷰를 좀 제대로 쓸걸 하고 후회하고 있습니다. ㅠ.ㅠ

유부만두 2021-06-08 06:49   좋아요 0 | URL
리멤버 홍콩 책 기다리다가 집에 있는 책 먼저 읽은 과거의 저를 땟찌하고 싶습니다.

이제 제대로 리멤버 타임을 가지겠습니다. 바람돌이님의 홍콩 바람은 시기적절해요. 가슴에 좀 사무치는 면도 있... (응?) 잠깐만요, 저 bgm 으로 영웅본색 좀 틀을께요.